• Title/Summary/Keyword: 재난방재

Search Result 89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rrelation Analysis of Basin Characteristics and Limit Rainfall for Inundation Forecasting in Urban Area (도시지역 침수예측을 위한 유역특성과 한계강우량에 대한 상관분석)

  • Kang, Ho Seon;Cho, Jae Woong;Lee, Han Seung;Hwang, Jeong Geun;Moon, Ha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7-97
    • /
    • 2020
  • Flooding in urban areas is caused by heavy rains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drains within 1 to 2 hours. It is also characterized by a small flooding area. In addition, flooding is often caused by various and complex causes such as land use, basin slope, pipe, street inlet, drainage pumping station, making it difficult to predict flood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ach basin characteristic on the occurrence of flooding in urban areas by correlating various basin characteristics, whether or not flooding occurred, and rainfall(Limit Rainfall), and intends to use the data for urban flood predi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erviousness and the urban slope, pipe, threshold rainfall and limit rainfall, the pipe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32, and the remaining factors showed low correlation. However, the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bout 0.81 - 0.96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lation was relatively high. In the future, I will further analyze various urban characteristics data, such as area by land use, average watershed elevation, river and coastal proximity, and further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ing occurrence and urban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characteristics, the occurrence of flooding and the limiting rainfall amount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to predict urban flooding in the future.

  • PDF

Analysis of change characteristics through estimating the limit rainfall by period (기간별 한계강우량 산정을 통한 변화 특성 분석)

  • Hwang, Jeong Geun;Cho, Jae Woong;Kang, Ho Seon;Lee, Han Seung;Moon, Hy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9-99
    • /
    • 2020
  • The frequency and scale of domestic flood damage continues to increase, but the criteria for responding to flood damage have not been established. To this end, research is underway to estimate the amount of rainfall in each region so that it can be used to respond to flood damage. The limit rainfall is defined as the cumulative maximum rainfall for each duration that causes flooding, and this research purpose to improve the threshold rainfall by estimating the damage based on the damage history in units of 5 years and analyzing changes over time. The limit rainfall based on the damage history was estimated by using the NDMS past damage history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the rainfall minutes data of AWS and ASOS. The period for estimating the limit rainfall is 2013 ~ 2017, 2015 ~ 2019, and the limit rainfall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od damage history and the rainfall event in each period. Considering changes i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he data were compared using 5-year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imit rainfall based on the damage history could be estimated for less than about 10.0% of the administrative dongs nationwid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imit rainfall by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where the limit rainfall has increased or decreased This was analyzed as a change due to rainfall events or urbanization,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risk criteria of flooding.

  • PDF

Study on Design Technology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uper Long Span Bridge (초장대교량의 재난관리시스템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 Yun, Junghyun;Jang, Chunho;Ham, Eun-Gu;Kim, Moonok;Choi, Yun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93-93
    • /
    • 2011
  • 연육 연도교에 주로 건설되는 초장대교량은 시설물 특성상 이용객들의 대피공간이 제약받고 태풍, 해일 등 자연재해에 노출이 많기 때문에 다른 공공시설물보다 재난에 취약한 구조물이다. 최근 공공시설물의 건설동향이 구조물의 장대화로 되어감에 따라 재난 발생시 예상 위험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재난관리 시나리오를 토대로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초장대교량의 재난은 자연재해와 인적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재해 중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난관리 알고리즘은 자연재해의 경우 안개, 강설, 결빙, 강풍, 지진, 해일 및 풍수해이며 인적재해의 경우 화재, 교통사고, 구조물파괴 및 테러이다. 이 재난관리 알고리즘은 재난관리 전산 프로그램 구축의 기초로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재난관리 관련 사례조사를 토대로 재난 수준별 평가방법을 수립하였다. 안개, 강설, 결빙, 강풍, 지진, 해일 및 풍수해와 같은 자연재난은 심각한 재난 발생전에 교통통제가 가능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례조사를 통해 교통통제 관리기준을 설정하였다. 화재, 교통사고, 구조물 파괴 및 테러와 같은 인적재난은 상황 발생시부터 비상대응을 취해야할 재난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고발생 시나리오를 통해 대응 단계별 평가방법을 설정하였다. 또한 재난 수준별 평가방법을 토대로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자연재해와 같이 사고 발생 전에 교통통제가 가능한 재해는 교통통제 모듈로 구분하여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설정하였다. 인적재해와 같이 사고 발생 즉시 비상대응을 실시해야할 재해는 비상대응 모듈로 구분하여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설정하였다. 교통통제 모듈과 비상대응 모듈은 원칙적으로 국가재난관리등급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교통통제 모듈과 비상대응 모듈은 AAD에 의해 관리자, 외부기관 및 이용자 각각의 세부 행동지침 및 요령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Exploring Alternatives (재난관리의 성과에 대한 이해와 대안 탐색 연구)

  • Eom, Young-Ho;Jeong, Se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33-434
    • /
    • 2022
  • 본 논문은 재난관리의 성과에 대한 근원적 의문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였다. 재난관리의 성과는 재난에 대한 정부의 관리적 측면, 즉 행정관리 역량이나 산출지표 등으로 평가되어 왔다. 재난은 일상의 삶에 대한 도전이자 생존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재난에 대한 정부의 책임 요구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정부 역시 재난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 왔다. 그렇다면 재난에 대한 책임을 모두 정부에 물을 수 있는 것일까? 여기에 대하여 상황을 고려해야 하며, 반드시 정부가 책임이라고 답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할 것이다. 즉, 재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노력과 함께 개인적 차원의 관심과 노력 역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성과가 정부 조직의 책임역량이 증진되는 것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도 증진 역시 그 성과로 이해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고 실증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재난관리의 주요한 독립변수로 활용되던 재난경험, 재난위험, 조직특성 등을 주요한 독립변수로 사용하고자 하며, 종속변수는 재난조직의 책임역량과 재난현장에의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도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즉, 기존의 재난관리 성과와 대안적 성과로서 시민참여도 증진을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재난성과는 조직의 내부적 책임역량의 증진과 함께 외부적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민 참여는 재난관리의 성과로서 정부의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 시민들의 참여는 지역에 대한 재난의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그 참여도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재난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 및 환경에 대한 위험도 증진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PDF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verification of urban flooding warning criterion (도시침수 경보기준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Bae, Changyeon;Kang, ho Seon;Choi, Ch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5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이상기후 및 지구온난화 현상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강우량은 1971~2000년 1,315mm에서 2001~2010년 1,412mm으로 7.4% 증가하였으며, 호우일수는 1971~2000년 20일에서 2001~2010년 28일로 8일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강우량의 증가 및 호우일수의 증가로 도심지의 침수피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도시특성을 반영한 예 경보 체계의 부재로 그 피해는 가중되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2014년부터 도심지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한계강우량 및 도시침수 경보기준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도시침수 경보기준은 도시침수를 발생시키는 최소 강우량을 의미하는 한계강우량 개념을 도입하여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의 과거 피해이력과 강우량과의 분석을 통해 산정하였다. 2017년 까지 27개 시군구 470여개 읍면동의 경보기준을 산정하였으며, 적용성 평가를 위해 실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CCTV자료를 수집하여 한계강우량을 추정하고 경보기준 검증을 실시하였다. CCTV를 활용한 경보기준의 검증은 영상자료 확보의 어려움과 침수시간 및 정확한 침수심의 변화를 확인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침수 및 우수관 수위관측 시설을 구축하여 도시침수 발생 양상을 모니터링 하고 경보기준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구축된 모니터링 시설은 향후 실측 기반의 예 경보체계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the Value of Urban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 Focused on Gwangju City (도시홍수 방재시스템의 가치 추정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Shin,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6-22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법과 CVM을 이용하여, 도시홍수 방재시스템의 가치를 추정하였다. 방재사업은 예산의 편성과 집행과정 중에 연기 또는 집행 순서가 변경되기도 한다. 이는 즉각적인 효과가 드러나기 어려운 특징 등 때문에 시민 공감을 얻기에 어려우며,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요인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시민들이 체감하고 있는 방재사업의 가치 규모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정책 공급자들이 홍수 방재 사업의 추진 결정에 참고하는 가치와 시민들이 생각하는 가치를 다차원법과 CVM으로 각각 추정한 결과, 다차원법으로 산정된 가치보다 시민들의 필요 가치가 낮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정책 수요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PDF

Improvement Suggestion for Emergency Response Plans and Manuals (재난대응계획 및 매뉴얼 등의 발전방안)

  • Lee, Yong Jae;We, Kum Sook;Lee, Young 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29-34
    • /
    • 2013
  • Recently, scale and complexity of disaster are increasing by natural social factor, and there is limit for emergency response by single agency thereby. Therefore, when multi-agency conduct a response for disaster together at the scene, they need preparation for joint response in the advance for systematic mutual cooperation. Preparedness consist of various factors such as planning, securing of Organizations and resource,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This paper focus on emergency response plan and examine the existing state and problem of various plans and manuals. Also submit development way for establishing emergency response plan that had effectiveness through the foreign case analysis.

A Study of the Role of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and Residents' Awareness in the Event of a Natural Disaster: Focusing on the Coastal City in Japan (연안도시의 자연재해 발생 시 방재활동 주체별 역할과 주민 인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연안도시를 중심으로)

  • Jung, Won-Jo;Lee, Myung-Kwon;Itami, Koji;Iida, Tadasu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4 no.3
    • /
    • pp.203-210
    • /
    • 2020
  •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trong system of agencies fo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Also, the system of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by the residents is necessary to be strengthen the system. We examined the roles of the protection agencies and the administrational institutions against disasters. The results are: 1) The mutual assistance agency relies on the administrational institution on a hardware surface., 2) On the software surface some systems of protection from disasters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agencies, and some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administrational institution., 3) The shelters are unable to meet the needs of people in any disaster. Thus, we should use of the existing institutions as evacuation areas., 4) The people working in the city in which they live tend to know the protocols of the disaster measures and to recognize the disaster maps well.

Enhancement Plan for Overall Disaster Prevention System (종합방재시스템의 고도화 방안)

  • Hwang, Ji-Wan;Mo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1081-1084
    • /
    • 2005
  • In Korea, overall disaster prevention system or 119 emergency rescu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o protect life and fortune of citizens. This system supports command at control operation, emergency 119 caller location indicator, automatic formation of fire troops and dispatch, and emergency management. To do this, various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CIS, telematics, CTI and TTS are applied to implement the system. In the future, however, it is not impossible to prevent a large scale disasters caused by world climate environment change and complication of city culture using the current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enhancement plan for overall disaster prevention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