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난강도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6초

호우 재해영향모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heavy rain disaster impact model system)

  • 강동호;최나연;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57-57
    • /
    • 2023
  • 최근 심각한 기후변화로 인한 호우, 태풍 등 기상현상의 변화로 다양한 재해가 발생하고 그로 인한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호우 재해에 대한 예보는 단순히 강수량, 강설량, 바람의 강도 등을 전달해 주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 전달의 형태는 그로 인한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다. 본 시스템은 현재의 단순한 수치만을 보여주는 예보에서 호우가 어느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시간대별 격자단위(1km×1km)로 구획하여 그 영향이클 것이라고 예상되는 9개 분야(생활, 도로, 농업, 편의, 공업, 의료복지, 교육연구. 축산업, 공용)의 정보를 전달 해 줌으로써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GIS와 호우위험영향도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며 주요 기능은 종합위험등급 현황을한 눈에 볼 수 있는 GIS 대쉬보드 상황판과 IBH-HR(예측강우분석), IBF-G(수문분석), IBF-PRA(리스크 분석) 3개의 분석 모듈 그리고 분석 모듈을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를 관리하는 ARM(분석이력관리)으로 구성되었다.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로 호우 영향정보의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도시침수 위험기준 시범운영을 통한 정확성 검토 (Accuracy Verification through Urban Flood Alert Criteria Test Operation)

  • 강호선;조재웅;이한승;문혜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0-110
    • /
    • 2022
  • 2011~2019년 평균 강수량은 100년 전(1912~1920) 보다 861mm 증가(7.4%)하였으며, 2020년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 지역에서 침수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량,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와 강우강도 증가 및 지속적인 도시침수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를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침수는 단기간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하고 좁은 범위에 발생하지만 건물, 인구 등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 발생하여 피해가 크게 발생한다. 또한 우수관 개선, 배수 펌프장 등 구조적인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예 경보 등 비구조적인 대책과 합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침수피해이력자료와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행정동에 대해 침수발생 한계강우량을 추정하였으며, 침수피해이력이 없는 행정동에 대해서는 유역특성과 한계강우량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한계강우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3,344개 행정동에 대해 한계강우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2021년 침수 예·경보에 시범적용하였다. 6월~9월 까지 운영한 결과를 대상으로 강우자료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토하고 오차가 10% 이상인 행정동에 대해서는 개선하고자 한다.

  • PDF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재해강도 분류모형 개발 (Development of disaster severity classifica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이승민;백선욱;이준학;김경탁;김수전;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4호
    • /
    • pp.261-272
    • /
    • 2023
  •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에 따라 재난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기상청에서는 표준 경보(주의보, 경보)를 전국적으로 통일된 표준 경보 기준(3시간 및 12시간 최대 누적강우량)에 따라 발령하여 재해에 따른 지역별, 재난 사상별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호우·태풍에 대한 재해 피해액 및 누적강우량을 활용하여 대상지역별 재해강도에 따른 단계별 기준을 설정하고, 강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재해의 강도를 분류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호우·태풍에 의한 재해 피해액 누적 분포 함수의 분위별로 재해강도의 범주(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를 분류하였고, 재해강도의 범주에 따른 누적강우량 기준을 대상 지자체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자체별 재해강도 분류모형 개발을 위해 4가지(의사결정나무, 서포트 벡터 머신, 랜덤 포레스트, XGBoost)의 머신러닝 모형을 활용하였는데 강우량, 누적강우량, 지속시간 최대 강우량(3시간, 12시간), 선행강우량을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지자체별 재해강도를 분류하였다. 각 모형별 F1 점수를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의사결정나무의 F1 점수가 0.56으로 가장 우수한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머신러닝 기반 재해강도 분류모형을 활용하면 호우·태풍에 의한 재해에 대한 지자체별 위험 상태를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어, 재난 담당자들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강도 콘크리트 시편의 치수 및 길이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ize and Length Effect of High Strength Concrete Specimens)

  • Kim, Dongbaek;Kim, Myunggon;Lee, Jeangtae;Song, Daegyeum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66-375
    • /
    • 2017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공시체의 치수, 형상, 길이비(h/d), 단면 처리방법 및 공시체의 건습 등을 들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어 채취 시, 배근 간격에 의한 철근 절단, 벽두께, 구조물에 미치는 악영향 등을 고려할 때, 공시체 치수나 길이비를 2/1로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품질 관리 시 공시체 치수 및 길이비에 대한 강도의 보정이 필요하다. KS의 경우,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나 보의 강도 시험 방법에서 길이비에 대한 보정 계수를 정하고 있으나, 최근 콘크리트의 고강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40~60MPa 범위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공시체 크기와 길이비의 영향(이하 길이효과)과 길이비를 2/1로 유지하면서 치수의 변화에 따른 강도추이를 검토하기 위해 공시체 직경을 ${\emptyset}5{\sim}15cm$, 길이비를 2.0~1.25로 변화시킨 경우의 압축강도 시험 값을 KS F 2422에 의한 보정 계수와 비교하고, 고강도 콘크리트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고강도(130MPa)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 평가에 관한 실험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Experiment for Ultra-high Strength (130MPa) Concrete)

  • 조춘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0-31
    • /
    • 2024
  • 연구목적: 고강도 콘크리트 연구개발은 건축물의 고층화를 가능케 하고, 단면 축소로 구조물 자중이 경감되어 보와 슬래브 두께를 얇게 함으로 보다 많은 층수를 축조할 수 있었으며, 넓은 유효공간이 확보되고, 기초 저면 지정에 사용된 자재 및 철근과 콘크리트 양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방법: 현장시공 및 품질측면에서는 낮은 물결합재비 배합를 연구하므로 건조수축 발생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콘크리트 표면의 블리딩 최소화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연구결과:고성능감수제 사용에 의한 유동성 증진으로 자체 충전성이 높아 현장 시공 용이성을 확인하고,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발현으로 거푸집 탈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 자료는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설계기준강도 10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이 확대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12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 현장 적용성이 고려된 13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성 여부를 실험, 평가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초고강도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실내기초 실험으로 연구되어진 최적의 배합비를 찾아서 모의부재 예비 실험 후 실물크기와 유사한 모의부재에 130MPa 초고강도콘크리트를 레미콘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 펌프 압송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강도 발현과 수화열에 관하여 현장 적용성을 실험한 연구다.

버켓기초를 가진 해상풍력타워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for the offshore wind tower with bucket foundation)

  • Lee, Gyehee;Kim, Sejeong;Phu, Tranduc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44-25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버켓기초로 지지된 해상풍력타워의 지진응답을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해석프로그램으로는 SASSI를 사용하였으며 연약지반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진파를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버켓기초의 형상과 강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각 매개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구조물의 응답은 타워의 하부와 나셀위치에서 얻어졌으며 응답스펙트럼으로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형상비, 버켓의 강도, 지반의 강도에 따라서 기초부와 나셀부에서 다른 경향의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지반-구조물상호작용의 고려는 암반으로 가정한 거동에 비하여 월등히 큰 응답 값을 보여 이의 고려가 버켓기초를 가진 해상풍력타워의 지진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재난치안용 멀티콥터 무인기 기체구조 개발 (Development of Airframe Structure for Disaster and Public Safety Multicopter UAV)

  • 신정우;이승규;노정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9-7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35 kg급 재난치안용 멀티콥터 무인기의 기체구조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경량화를 위해 구조재료는 T-700급 탄소 복합재료를 사용하였으며, 동체는 세미 모노코크 구조로, 제어 및 통신장비가 장착되는 판재는 샌드위치 구조로 설계하였다. 설계된 부품과 동일한 적층판과 파이프를 제작하고 시편시험을 수행하여 강도와 강성을 확인하였다. 정적강도 및 진동 해석을 수행하여 복합재료 적층순서를 결정하였고, 착륙속도 및 지상이격 요구조건과 비선형 해석을 통해 착륙장치 스트러트의 적층순서를 결정하였다. 정적강도시험을 통해 구조 건전성을 평가하고 착륙장치의 거동을 확인하였다.

긴급복구용 팽창재료의 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 및 장기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Long-term Stability of Expansion Materials for Emergency Repair by Temperature)

  • Park, Jeongjun;Kim, Kisung;Kang, Hyounhoi;Kim, Ju-Ho;Hong, Gigw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79-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긴급복구용 팽창재료의 온도에 따른 팽창량 및 강도의 변화를 컵발포 실험과 일축압축강도 실험을 통하여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장기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속 압축 크리프 시험을 진행하였다. 크리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기 크리프 시험과 가속 압축 크리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단기크리프 실험은 팽창재료의 초기 크리프 변형률을 결정하고 시간-온도 중첩정리가 적용된 단계 등온법은 가속시험방법으로 장기 압축 크리프 성능을 평가하였다.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경량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 특성 (The Chloride 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Concrete Using Metakaolin)

  • 이창수;김영욱;남창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1-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흄을 대체하고 경량 콘크리트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경량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기초물성 및 염소이온 확산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경량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와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이 실리카흄을 사용한 경량 콘크리트보다 낮게 나왔지만, 실리카흄 대비 압축강도는 약 88~95%의 성능을 보였고,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은 약 80~90%의 성능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메타카올린의 적정 치환율은 10~15%가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메타카올린은 실리카흄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고,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대체재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기계적 특성평가 (An Evaluation of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odified Asphalt Concrete Mixture)

  • 김낙석;방산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2-42
    • /
    • 2011
  • 현재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공용성을 평가하기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중에서 D사에서 개발된 Elvaloy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사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간접인장강도와 회복탄성계수 시험이 수행되었다. 시험결과, Elvaloy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간접인장강도와 회복탄성계수 값은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lvaloy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과 안정성은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보다 우수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