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건수술

Search Result 85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oracoscopic Sympathetic Nerve Reconstruction with using an Intercostal Nerve Graft after Thoracoscopic Sympathetic Clipping for Facial Hyperhidrosis (안면부 다한증에서 흉부교감신경차단수술 후 발생한 보상성 다한증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 재건술)

  • Haam, Seok-Jin;Lee, Doo-Yun;Kang, Cheong-Hee;Paik, Hyo-Ch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1 no.6
    • /
    • pp.807-810
    • /
    • 2008
  • From October 2005 to August 2006, sympathetic nerve reconstruction with using the intercostal nerve was performed in 4 patients with severe compensatory hyperhidrosis following thoracoscopic sympathetic surgery for facial hyperhidrosis. The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sympathetic clipping and the sympathetic nerve reconstruction was a median of 23.1 months. The compensatory sweating after sympathetic nerve reconstruction was improved for 2 patients, but it was not improved for 2 patients. Thoracoscopic sympathetic nerve reconstruction may be one of the useful treatment methods for the patients with severe compensatory hyperhidrosis after they under go sympathetic nerve surgery for hyperhidrosis.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 Current Concepts -

  • Lee, Byeong-Il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9 no.2
    • /
    • pp.93-101
    • /
    • 2005
  • 일반적으로 전방 십자인대 손상의 치료만큼 관심과 논쟁의 대상이 되는 분야도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 방법으로는 과거에는 보존적 요법이나 일차 수복술, 관절외 재건술 등이 시행되었으나, 근래에는 관절경하에 재건술이 가장 보편화되고 선호되는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현재까지 400개 이상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방법이 문헌상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이상적인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건술의 성공을 위하여 환자의 선택, 수술시기, 수술방법 재건술의 기본원칙에 대한 이해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며, 이에 대한 문헌고찰과 최근경향 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What Has Been Learned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전방십자인대 재건수술은 지난 20년간 어떻게 발전하였나?)

  • Ro, Du Hyun;Han, Hyuk-Soo;Lee, Myung Chul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 /
    • v.56 no.1
    • /
    • pp.1-13
    • /
    • 2021
  • Considerable progress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surgery has been made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e result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An anatomical understanding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has also changed, and the surgical technique has also changed accordingly. The double-bundle concept is still valid, but the ribbon-shap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concept, including direct fiber and indirect fiber, is gradually replacing it. The isometry point theory no longer exists, and various surgical methods, such as single-bundle anatomical reconstruction, double-bundle reconstruction, remnant preservation, and rectangular tunnel technique, are being performed. Regarding the graft, interest in the bone-patellar tendon-bone, patellar tendon, quadriceps tendon, and allogeneic tendon change over time, and this change is ongoing.

Membranous PTEE Monocusp Vlave on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막형 PTEE 단엽판막을 이용한 우심실 유출로 확장수술)

  • 박영환;홍유선;이현성;이종균;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4
    • /
    • pp.322-328
    • /
    • 2001
  • 배경: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후에는 폐동맥판막부전이 우심실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를 막기 위해 여러 재료로 판막을 제조하여 사용하는데 가피 형성이 적은 막형 ePTE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Goretex) 단엽판막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우심실유출로 재건술을 시행받고 수술 1일까지 우심실 압력을 측정할 수 있었던 47명중 막형 Goretex단엽판막을 사용한 환자(비교군) 19명, 사용하지 않은 환자(대조군) 28명에서 단엽판막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에는 나이, 체중 그리고 McGoon ratio 등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이전의 수술은 대조군에서 19번, 비교군에서 22번을 시행하였다. 우심실 유출로에 대한 수술은 대조군에서 REV수술 2예, 우심실폐동맥 연결수술 8예, 우심실 유출로 재개건술 2예, 우심실 유출로에 대한 수술은 대조군에서 16예였으며, 비교군에서는 REV 수술 5예, Rastelli 씨 수술 6예, 재우심실 유출로 재건술 5예, 그리고 우심실 재건술 3예였다. 결과: 대동맥 차단 시간이나 총심폐순환시간에는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수술직후와 수술후 1일째 측정한 우심실 압력 및 좌심방압력의 차이도 두군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후 7일째 시행한 심에코도 결과 ejection fraction., 우심실/ 좌심실 압력비 , 그리고 우심실 유출로의 압력차, 강심제 투여일수, 호흡기 사용 기간 등에서도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흉관 삽입기간이 비교군에서 의미있게 짧았다. 추적 조사 기간 중 비교군 1예에서 사망을 하였으나. Goretex 단엽판막에 의한 것은 아니였으며 심초음파검사상 우심실 유출로 압력차이나 재수술은 두군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폐동맥 폐쇄부전은 비교군에서 의미 있게 낮은 것을 보이고 있다. 결론; 막형 Goretex 단엽판막의 조기성적은 우수하였으며 폐동맥 폐쇄분전의 정도를 적게 하는 효과를 보이나 앞으로 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우심실 유출로에 폐쇄를 일으키는지는 계속적인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 PDF

Posterior and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Knee Joint (후방 및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

  • Lee, D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7 no.2
    • /
    • pp.127-136
    • /
    • 2003
  •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the knee occurs more commonly in association with an injury to anterior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combined injuries are severe injuries that result in significant functional instability and articular cartilage degeneration.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out an appropriate treatment of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result in failure of the reconstructed cruciate ligaments. Meticulous physical examinations, imaging studies, lower limb alignment and gait pattern should be evaluated. Acute grade III isolated or combined injury of the posterolateral corner is best treated within three weeks by direct repair, or augumentation, or reconstruction. The appropriate surgical method or combined methods are selected among the several methods of posterior and posterolateal reconstruction, and all injuried posterolateral and cruciate ligament structures are anatomically reconstructed simultaneously or by stages. If a varus alignment and varus thrust is disclosed in chronic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knee, soft tissue reconstructions laterally are highly unlikely to be able to correct tile problem. It is appropriate that valgus osteotomy should be done before soft tissue reconstruction and reevaluate the posterolateral instability about 6 months later.

  • PDF

Chest Wall Reconstruction Using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광배근피판을 이용한 외상성 흉벽 결손의 재건 1례)

  • 이호철;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2
    • /
    • pp.239-243
    • /
    • 1996
  • Chest wall reconstruction Is difficult because of the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functions of thoracic cavity where the thoracic cavity must be stabilized in order to prevent paradoxical motion, and adequate protection must be provided to the mediastinal structures. A 37-year-old male patient with full-thickness defect on the left anterior thoracic cavity due to traffic accident was treated.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for debridement and bleeding control, and on postoperative 25 days, chest wal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as a second-stage operation. Left anterior chest wall was reconstructed with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which had thoracodorsal arterial pedicle, and split-thickness skin grift from the left thigh was done. After chest wall reconstruction, spontaneous self-respiration was possible without ventilatory support. The pulmonary function test performed at postoperative 3 months revealed 80% of predicted values (FVC, FEV1.0). The postoperative result of chest wall reconstruction using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was excellent anatomically, physiologically and aesthetically.

  • PDF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net Reconstruction (전방 십자 인대 재재건술)

  • Ahn, Jin-Hwan;Lee, Sang-Hak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9 no.2
    • /
    • pp.115-122
    • /
    • 2005
  •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rimary ACL reconstructions, revision surgery has become more frequent. Despite arthroscopic technique and treatment advancements, the current methods of reconstruction are far from perfec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patients have an unsatisfactory. This article discusses the multiple mechanisms of failure of primary intra-articular ACL reconstruction and provides the orthopaedic surgeon with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failed ACL reconstructions.

  • PDF

Reconstruction of a Large Cricotracheal Defect Using a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 A Case of Locally Aggressiv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Tracheal Invasion (갑상선 수술 후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큰 기도 결손부 재건 1예)

  • Kim, Sang Min;Kim, Mi Ra;Kim, Yong-Wan;Baek, Moo Jin;Park, Jun-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1
    • /
    • pp.18-21
    • /
    • 2015
  • 기관을 침범한 갑상선 악성종양을 제거한 후에 성문하부에 비교적 큰 기관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단단문합술은 넓은 부위의 결손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문합부 파열, 반회후두신경마비, 재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암종을 제거한 후 윤상연골과 기관연골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재건한 사례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내원하였으며 기도침범은 윤상연골(둘레의 약 30%)과 4개의 기관연골(둘레의 약 50%)을 해당하는 넓은 부위였다. 수술 전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주위 기관연골의 상태가 좋지 않아 단단문합술 시행 후 문합부 파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기로 계획하였다. 갑상선 절제술, 경부림프절 절제술,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2일째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현재 22개월 간 기도 협착 등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지내고 있다.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은 성문하부나 기관지 전외측벽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재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Comparison of Repair and Replacement for Mitral Valve Regurgitation (승모판막폐쇄부전에 대한 외과적 치료: 승모판막재건술과 승모판막치환술의 비교)

  • 안지섭;최세영;박남희;유영선;이광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2
    • /
    • pp.118-124
    • /
    • 2001
  • 배경: 승모판막재건술이 승모판막치환술보다 술후 좌심실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수술사망율과 인공판막에 관련된 합병즈인 혈전색전증, 심내막염 및 항응고제사용에 따른 출혈빈도는 낮다고 하였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승모판막폐쇄부전으로 진단된 환자 87례를 대상으로 재건술군 59례, 치환술군 28례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환자들의 NYHA 기능분류, 흉부 X-선상 심흉곽의 비, 심초음파상 좌심실박출계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원인질환은 양군에서 퇴행성 병변이 가장 많았다. 체외순환시간은 재건술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나 수술사망은 양군에서 없었다. 술후 NYHA 기능분류, 흉부 X-선상 심흉곽의 비는 향상되었으나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술후 좌심실박출계수는 두 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승모판막폐쇄부전에 대하여 재건술이 치환술처럼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