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착 오차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기하학적 연쇄에 의한 공작물 형상의 장착오차해석에 관한 연구

  • 신동수;정성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223-227
    • /
    • 1992
  • 산업의 발전으로 정밀가공기술 및 측정기술 및 측정기술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가공전 공작물의 장착정도, 팔레트 교환 위치정도와 가공후 가공정도 및 공작기계 자체의 정도 판별은 생산품의 정밀도와 직접 관계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정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작물의 장착오차와 기계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Denavit-Hartenberg 접근법에 의하여 레퍼런스에 대한 공간상 linkage의 기하학적 표현을 Matrix Multiplication을 사용하여 Cutting Tool 과 Workpiece에 대한 공간상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가공에 미치는 체적오차를 규명하고자 한다.

인공위성용 별추적기 장착 구조물의 열변형에 의한 지향오차 해석

  • Kim, Seon-Won;Lee, Jang-Jun;Hyeon, Beom-Seok;Kim, Gyeong-Won;Hwang, Do-Su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1.3-31.3
    • /
    • 2010
  • 인공위성은 궤도상에서 별추적기를 기준으로 자세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별추적기의 지향방향 정밀도는 위성의 운용 및 관측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별추적기의 지향방향은 초기에 설정된 지향방향으로부터 변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별추적기는 가시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장착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위성 구조물과 연결시켜 주는 장착 구조물이 적용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물에는 히터가 부착되어 온도 제어를 함으로써 별추적기의 지향오차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이 논문에서는 온도제어를 위해 히터가 작동하여 장착구조물에 온도구배가 발생할 경우 별추적기의 지향방향의 변화가 허용 가능한 수준이내에 해당하는가를 해석적으로 검토한 결과를 기술한다.

  • PDF

위성탑재장비 장착패턴을 고려한 제작 오차 분석

  • Kim, Kyung-Won;Kim, Jin-Hee;Kim, Sung-Hoon;Lee, Ju-Hun;Hwang, Do-So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2
    • /
    • pp.20-24
    • /
    • 2004
  • In this paper, a pattern/position tolerance analysis is visited on the insert to mount spacecraft electronic equipment. SQP(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is used to obtain the position tolerance. For examples, the cases of RDU(Remote Drive Unit) and OBC(On Board Computer) in the KOMPSAT-2 STM(Structure and Thermal Model) are analyzed.

  • PDF

기획특집(1) 우주 광학 산업의 기술 동향 - 인공위성 레이저추적(SLR) 시스템

  • Im, Hyeong-Cheol
    • The Optical Journal
    • /
    • s.142
    • /
    • pp.17-22
    • /
    • 2012
  •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SLR, Satellite Laser Ranging)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위성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가장 정밀한 인공위성 추적 시스템이다. SLR 시스템의 원리는 극초단파의 레이저 빔을 광학 망원경을 통해 발사하여 인공위성에 장착된 레이저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 빔의 왕복 비행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구한다. 1964년 발사된 Beacon Explorer-B 위성의 궤도결정을 위해 SLR 기술이 NASA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당시에는 거리측정 오차가 50m 수준이었다. 현재는 전자, 광학 및 제어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그 오차가 mm 수준으로 크게 향상되어 인공위성 운영, 지구물리, 우주측지 및 우주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우주 선진국은 이미 다수의 SLR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40여 개의 SLR 관측소가 국제레이저추적기구(ILRS, 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또한 인공위성의 정밀한 거리측정을 위해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된 위성 50여 개가 운영중에 있다. 고정밀 지구관측 위성 대부분에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돼 있으며 러시아의 GLONASS 항법체계를 구성하는 모든 항법위성에도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돼 있다. 또한 유럽우주기구에서 추진하는 갈릴레오 및 중국의 Compass 항법위성도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될 예정이다. 최근에는 행성탐사 및 달탐사 우주선에 SLR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SLR 시스템의 국제적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나로과학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 5호에도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돼 발사되기 때문에 국내 독자적 레이저추적을 위해서 SLR 시스템 구축이 꾸준히 요구되어 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008년부터 SLR 시스템 개발을 추진했다. 2012년 9월에 40cm 크기의 망원경을 지닌 이동형 SLR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으며 오는 2015년에는 1m급 고정형 SLR 시스템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 PDF

Measurement of road tining using Laser displacement sensor (레이저 변위센서를 이용한 도로 표면 요철의 측정)

  • Kim, Hye-Joong;Kim, Ho-Seong;Park, Ju-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581-1582
    • /
    • 2006
  • 본 논문은 그루빙(grooving), 타이닝(tining), 텍스쳐(texture) 등의 포장도로의 표면 상태를 차량에 장착된 고성능의 레이저 변위센서를 사용하여 주행 중에 정밀하게 측정하는 도로 표면 측정 장비 개발에 관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시스템을 설계 및 시험제작 하였으며, 차량 주행을 모사한 실험 모형을 이용한 실내 실험 및 시험도로에서의 실제 도로 표면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포장도면 모사장비를 이용한 실험 결과 타이닝 폭 오차 2%, 깊이 오차 4%(60km/h)를 얻었으며, 실외에서 차량에 레이저센서를 장착 후 측정한 실험에서는 폭 오차 3.24%, 깊이 오차 5% (50km/h)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시험도로 상의 실제 도로 표면 측정 실험에서는 25mm, 18mm, 26mm, 그리고 임의의 간격의 횡 방향 및 종 방향 타이닝을 측정하였고 이를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libration of rotary table with NC machine (NC 공작기계의 Rotary Table 오차 측정 및 보상에 관한 연구)

  • 정세용;서석환;이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636-642
    • /
    • 1996
  • 본 연구는 4축 또는 5축 NC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Rotary Table의 오차를 측정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일반적인 Rotary Table에 대한 오차모델이 설정되었으며, Rotary Table에서 존재하는 6가지의 오차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3개의 길이오차는 1 개의 정밀볼(Master ball)과 3개의 LVDT, 3개의 각도 오차는 6각 폴리곤과 Autocollimato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오차 성분들은 오차모델을 이용하여 보상치를 계산하였으며, 이 값은 추후 원래의 측정오차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할 것이다. NC 공작기계상에서 Rotary Table의 실제 보상 실험을 위하여 30$^{\circ}$간격으로 정밀한 볼이 장착된 볼-테이블을 설계하였다.

  • PDF

The Study of CNS(Car Navigation System) focusing on Map matching method (CNS(Car Navigation System)에서의 맵매칭 방법에 대한 고찰)

  • 정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97-399
    • /
    • 2003
  • 2001년 이후 Car Navigation System(이하 CNS)을 장착한 차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많은 기업들이 차량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 시키는 노력에 힘쓰고 있다. 본 논문은 CNS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계산되어진 차량의 위치 좌표와 차량의 실제(true) 좌표간의 오차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맵매칭(map­matching)방법을 제시한다.

  • PDF

Target Localization for DIFAR Sonobuoy compensated Bearing Estimation and Sonobuoy Position Error (방위각 추정 및 소노부이 위치 오차를 보상한 DIFAR 소노부이의 표적 위치 추정 성능 향상 기법)

  • Gwak, Sang-Yel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2
    • /
    • pp.221-228
    • /
    • 2020
  • A sonobuoy is dropped onto the surface of water to estimate the bearing of an underwater target. A Directional Frequency Analysis and Recording (DIFAR) sonobuoy has an error in the specific angular section due to the method of estimating bearing and noise, which causes an error in target localization using multiple sonobuoys.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onobuoy continues to move, but since a sonobuoy with a GPS is intermittently arranged,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exact position of the sonobuoy. This also causes target localiz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o improve the target localization performance by compensating for bearing errors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DIFAR sonobuoy and multiple-sonobuoy position errors based on the intermittently arranged active sonobuoy with a GPS.

Assessment of Dose Distribution using the MIRD Phantom at Uterine Cervix and Surrounding Organs in High Doserate Brachytheraphy (자궁주위 방사선 근접치료시 MIRD 팬텀을 이용한 주변장기의 피폭환경평가)

  • Lee, Yun-Jong;Nho, Young-Chang;Lee, Jai-K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4 no.4
    • /
    • pp.387-391
    • /
    • 2006
  •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dosimetry of Henschke applicator with respect to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using the MIRD phantom and a remote control afterloader were performed. A comparison of computational dosimetry was made between the simulated Monte Carlo dosimetry and GAMMADOT brachytherapy Planning system's dosimetry. Dose measurements was performed using ion chamber in a water phantom. Dose rates are calculated using Monte Carlo code MCNP4B and the GAMMADOT. Thecomputational models include the detailed geometry of Ir-192 source, tandem tube, and shielded ovoids for accurate estimation. And transit dose delivered during source extension to and retraction from a given dwell position was estimated by Monte Carlo simulations. Point doses at ICRU bladder/rectal pointswhich have been recommened by ICRU 38 was assessed. Calculated and measured dose distribution data agreed within 4% each other. The shielding effect of ovoids leads to 19% and 20% dose reduction at bladder surface and rectal points.

Concept Design of Arc-SAR System Mounted on a Vehicle (차량 탑재형 Arc-SAR 시스템 개념 설계)

  • Cho, Seong-Jun;Lee, Hoon-Yol;Kim, Kwang-E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3-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레일형 GB-SAR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차량에 원형레일을 탑재하여 신속한 기동을 확보하고 합성구경의 길이를 늘리며 영상영역을 확장한 Arc-SAR의 설계안을 제시한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살펴보면, 밴형 차량의 상부에 원형레일을 설치하고 마이크로파 송, 수신 안테나를 탑재한 후 레일 위를 1mm 이내의 정밀도로 이동시키며, 자료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안테나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은 차량 내부의 송, 수신장치에 연결되는데 RF대역에서 완벽히 작동하는 슬립링이 없기 때문에 내부 송, 수신 장치를 턴 테이블위에 장착하여 외부 안테나의 이동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여, 동축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게 된다. 송, 수신 장치의 구성은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기반으로 마이크로파 앰프, 마이크로파 스위치로 구성되며, 통합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외부 안테나의 이동과 함께 제어된다. 한편, Arc-SAR 영상의 구현은 원형레일을 따라 얻어지는 합성구경의 기하학적인 특수성을 감안하여 최초로 시도될 것이다. 이 시스템은 RTK-GPS를 장착하여 지반변형 모니터링 시 차량 이동 오차를 최소화 하고자 하며, 이외에 고정형 산란체를 이용하여 차량 이동 오차를 보정하고자 한다. 또한 AWS (Automatic Weather System)을 장착하여 위상의 대기보정을 동시에 수행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차량 탑재에 의한 기동성의 확보로 침수나 침하 등 긴급 재난 지역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대형 구조물의 주기적인 변형 모니터링 등에 활용성이 클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