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신구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고려~조선시대 귀이개 형태와 장식기법 (A study on the shape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earpick during the Goryeo-Joseon Period)

  • 김지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6-21
    • /
    • 2022
  • 본고는 귀이개라는 특정 공예품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통해 당대의 물질문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 귀이개에 관한 용어 정리를 하고, 조선후기 단편적인 문헌을 통해 귀이개의 사용 문화를 살펴보았다. 귀이개는 첫 번째로 개인의 수신을 위한 위생도구였고, 두 번째로 남성들의 선추에 다는 구성품으로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다. 3장에서는 시대별로 귀이개의 형태를 분류하고, 각 형태별 특징적인 장식기법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귀이개는 사용목적이 위생도구였으며, 형태에 따라 단독형, 복합형으로 구분된다. 단독형에는 각봉형, 손잡이형, 판형이 있으며, 복합형에는 족집게일체형, 리벳분리형이 있다. 손잡이형 귀이개에서 고려시대의 장식기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선각, 금도금, 바탕에 누정기법으로 찍은 첩호(疊弧)문, 납입사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조선시대 귀이개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생도구와 장신구로 크게 분류된다. 위생도구는 단독형, 복합형으로 나뉘고, 장신구로 사용되는 귀이개 종류로는 뒤꽂이, 노리개, 선추 등이 있다. 귀이개 장신구는 성별에 따라 여성은 뒤꽂이, 노리개로, 남성은 선추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귀이개의 장식기법은 주로 귀이개 뒤꽂이에서 볼 수 있었다. 칠보기법으로 다양한 색을 내거나 보석감장으로 장식하였다. 그동안 공예품 중 일상도구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일상도구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읽고 물질문화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답다』에 내재된 한국 복식 문화의 속성에 관한 연구 -두발, 화, 장신구에 표현된 성 역할을 중심으로-

  • 한명숙;하희정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4-96
    • /
    • 2003
  • 성에 따른 역할 분화는 사회적 행동의 가장 보편적인 결정적 요소이다. 모든 사회는 남성과 여성에게 서로 다른 의무와 기대를 부여한다. 이러한 의미 부여에 대한 구체적인 제한들은 문화에 의해 결정된다. 문화에 의해 결정된 성 역할은 그 사회 구성인으로서 적합한 복식 형태를 요구하거나 적어도 제안하게 된다. 현대의 복식은 자기중심적인 주장이 강하기 때문에, 남과 다르게 개성적으로 의복을 소화해내느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중략)

  • PDF

CPSC와 미국 내 규제기관들 카드뮴 사용 강력 단속 - 카드뮴 기준 마련을 위한 새로운 표준도 검토 중

  • 박진영;김여진
    • 기술표준
    • /
    • 통권101호
    • /
    • pp.28-29
    • /
    • 2010
  • 소비자 제품에서 카드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미국 전역의 연방과 주정부 차원에서 마련하고 있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향후 카드뮴 금지 법안의 실시와 더불어 발암물질 리스트인 '제안 65호'를 통해 카드뮴에 대한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경고할 방침이다. 표준제정기관인 미국재료시험학회(ASTM)도 어린이 장신구에 카드뮴을 포함한 기타 중금속 사용지침을 개발 중에 있다.

  • PDF

중국 윈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장신구 특성 - 바이족(白族), 좡족(壮族), 다이족(傣族), 장족(藏族), 하니족(哈尼族)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fashion accessories of minorities in Yunnan, China - focused on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nationality -)

  • 조선맹;윤정아;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9-124
    • /
    • 2018
  • This study focused on the accessory of clothes of minority groups in Yunnan province to further the research about specific accessories' development in the future. Among the minorities in Yunnan, this study centralized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hats and belts among five minority groups such as the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as representatives to study in detail because these five ethnicities have a relatively long history and plentiful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aggeration means large gorgeous patterns that attract attention. Generally, there are many natur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places where these minority groups live such as gems, gold, silver shells and animals' horns, bone, teeth and the like. Headdress includes combs, loops, hairp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Second, nature is a very fundamental part that people rely on for existence and development. The production and living that people need in life all depend on nature. The design of accessories is made from animal forms and patterns of clothes are presented through embroidery and wax printing. Designers always tried to add natural elements to their works. Third, symbolism consists of two aspects: One is the people's imagination, which related to actual materials, and the other is the product of imagination that provides better conditions to inspire people when they design. In China, most minority groups believe in Buddhism. The symbols in the clothing show their devout faith. Even the method of wear has many special implications like the use of accessories and length of clothing. The pattern of dragons and use of golden, red and other colors all have a proper symbolic significance in modern designs.

조선시대 규방문화를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 - 여성수식 장신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n the Fashion Design Reflecting Gyubang Culture of Chosun Era - Focusing on the Personal Ornaments of Woman's Gache -)

  • 홍은정;간호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67-81
    • /
    • 2009
  • The culture of each era make their own art, and it is certain a sense of beauty is changed according to a flow of era. We can find an unique beauty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one era. And it is formed by the local and climatically influences according to their own ethnic character. Furthermore, an unique beauty is became an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the culture. That is, it is the universality in general. What is important is to develop of one's tradition on the background of the past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ersonal ornaments of women's Gache among the Cyubang culture in Chosun era. Throughout the study of clothing design that applies various decorative elements like an ornamental hairpin, a chignon ornament, and ttoljam among the women's Gache, this study is proposed to internationalize of clothing design utilizing the Korean specific character. The concep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grasp a definition and notion about Gyubang Culture of Chosun Era. Second, consider the definition of ornamental culture and the specific characters and kinds of women's ornaments. Third, analyze the trend and examples in the modern fashion applying women's ornam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d national science and literature, fashion magazines, newspapers, internet, and the research of like materials, with the intent to set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rnamental design. Throughout these backgrounds, I try to develop and make six modern clothing design that applies women's Gache.

대학생의 의복행동과 장신구 착용에 관한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thing Behavior and Ornaments Wear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이은희;전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3-12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othing behavior and ornaments wear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241 college students who were attended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PSSWIN Program was utilized to calculated frequency(N), mean value(M) and standard deviation(SD) for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s among the populations were examined through T-test, F-test,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Cloth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grade. In general,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did male students in clothing interest, clothing conformity, self-estimation about clothing, clothing dependence, clothing aesthetic, clothing modesty, A first-year students had high tendency in clothing interest. 2. The wear of ornam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s. Buying the ornaments, most of students sot information in show window and emphasized on design. Male students wanted to have the ornaments of shoes, watch, hat & necklet, but female students wanted to have the ornaments of shoes, earring, necklet & hairpin. 3. Clothing behavior has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ornaments wea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appeared to be interested in clothes were apparently influenced by peers when selecting ornaments. Ornaments were usually bought in the department store, while belts were among the most popular choices. Students who stressed color when purchasing ornament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and dependence on clothes. On the basic of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university students' taste in clothing behavior and use of ornaments wear depend on several different facto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utline the shift in clothing attitudes during adolescence. In order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behaviour concerning clothes, much guidance and various studies on the subject are much recommended.

  • PDF

트렌치 공정을 이용한 단발난집 펜던트 주얼리의 개발 (Method for Manufacturing Single Prong Pendant Jewelry Using Trench Process)

  • 송오성;김익환;이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7-10
    • /
    • 2001
  • 보석이 포함된 장신구는 보석을 고정시키고 최대한 보석의 심미적 기능을 살리기 위해 후면부로부터 금속 난발(prongs)을 사용한다. 최근의 주얼리 산업은 빠른 유행주기 변화에 따른 신속한 개발을 위해 귀금속이 가능한한 적게 들어간 단발난집형의 목걸이 귀걸이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발난집에 보석을 세팅하여 가볍고 안정적인 신개념의 목걸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주)아메스 개발부와 함께 단발난집 공정을 연구하였다. 보석의 측면부분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트렌치를 가공하여 금속틀의 프롱을 접촉시키고 저융점을 갖는 소정의 Sn계솔더를 채용하여 트렌치부에 흡침된 솔더를 응고하여 접합을 완성하였다. 실시예로서 완성된 천연 자수정 스톤과 18K Au님의 단발난집에 적용한 결과 기존 제품에 비해 40% 이상의 Au 무게감소에 따른 비용절감과 우수한 착용감의 새로운 펜던트형 장신구의 개발이 가능하였다.

  • PDF

모꾸메가네 장신구를 위한 은/동 접합 잉곳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the Ag/Cu Ingots for Mokumegane Jewelry)

  • 송오성;김종률;김명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15
    • /
    • 2008
  • 모꾸메가네는 나무결 모양을 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가 가능한 장신구 소재이며 서로 다른 금속을 가공하기 위해 융점이 다른 두 가지 이상 금속을 적층하여 붙인 잉곳 제작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모꾸메가네용 잉곳은 숯을 이용한 환원성 분위기에서 경험에 근거한 육안 판별로 만들어져서 접합의 신뢰성과 후속 가공 도중 층간 분리가 일어나는 분제가 있었다. $900^{\circ}C$에서 2.5kg의 압력을 가하면서 진공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90% 이상 접합율이 가능한 조건을 확인하였다. 계면에서의 계면 확산계수가 통상의 벌크 확산계수보다 100배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종 접합시에 계면 확산계수를 확인하여 $700^{\circ}C$의 저온에서 10분동안 진공열처리, 90% 이상 접합율을 가진 모꾸메가네용 잉곳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잉곳으로 핸드폰 외장용 모꾸메가네 시작품을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한국 전통문양 장신구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Consumers' Attitude and Consumption about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

  • 한우리;김혜정;손진아
    • 복식
    • /
    • 제62권1호
    • /
    • pp.104-119
    • /
    • 2012
  • Fashion cultural products represents cultural trend, and they are produced a lot in Korea to express the Korean culture and style. They are also tools that embody images of Korea.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framework of consumers' attitudes and consumption behaviors about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examining how th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a quantitativ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455 questionnaires from women in their 20s and ov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luster analysis, and $x^2$-tes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possess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However, consumers had positive attitudes and tend to purchase them for their own use rather than gifts, demonstrating that the potential for the market is large enough.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 consumers were sub-divided into four groups: trend/brand oriented, practicality/pleasure oriented, convenience oriented, and passive shoppers. The trend/brand oriented group showed highest levels of preference regarding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This group also showed the strongest purchasing power on fashion items among the four groups. Third, this study presented animal, plant, geometric and abstract patterns to the respondents to examine their attitudes. It was found that consumers prefered plant-patterned ornaments rather than the others, demonstrating that they have strong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ornaments with more natural images.

옻칠과 포셀린150 페인팅의 금속 표면 색상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Color of Ottchil and Porcelaine150 Painting of Metal Surfaces)

  • 노영란;최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59-666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정신적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색채는 시지각적으로 인간의 마음에 일어나는 감정과 정서를 연출하여 메마른 감성을 치유하며, 환경은 표현된 색채에 따라 삶의 가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의 단조로운 색채표현을 해소하기 위한 측면으로 금속 장신구에 옻칠과 포슬린150물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응용시켜 다양한 색채변화를 나타내었다. 옻칠과 포슬린150물감의 금속시편을 제작하고 비교 분석하여 장 단점의 결과로 도출하였다. 장점은 이를 접목하는 방법은 금속 색채표현의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색채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표면 코팅 역할을 하므로 기물의 변색을 방지하여 가변적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었다. 단점은 옻칠은 체질에 따른 옻오름 현상이 나타나고, 포슬린150페인팅은 화학성분으로 식기류에 사용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이를 참고하여 작품에 적용하여 예술성과 실용성 구현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