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수명 주택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3초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of Wall Type Apartment and Beam-Column Structural Apartment)

  • 이지희;김규리;손정욱;이준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5-43
    • /
    • 2014
  •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무분별한 재건축, 재개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은 기존 아파트 건설에 적용되는 벽식 구조와는 달리 기둥과 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 가변성, 유지관리 및 리모델링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기존의 벽식 구조방식의 주택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다소 상승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총 생애주기 관점에서 기존의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일반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초기 신축미용은 약 18% 정도 증가하지만, 50년간의 총 생애주기비용을 산정해보면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약 7% 정도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이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충분히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0년 가는 장수명 아파트 개발-미래 주거 문화 개선.건설 기술 선진화

  • 김혜영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19호
    • /
    • pp.62-63
    • /
    • 2008
  • 최근 지속 가능한 개발이 도시 및 주택 정책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주거 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중 미래 주택 문화 개선의 첫걸음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공동 주택의 장수명화다.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100년 주택 건설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 PDF

한.일 장수명 공동주택관련 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ystem concerning Long-Life Housing)

  • 이보라;황은경;김수암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8-451
    • /
    • 2006
  • Multi-residential housing in Korea has many problems basically because maintenance, management, and remodelling have been done without considering building elapse and residents' needs. Residential open building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solutions. Even though the techniqu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residential open building in Japan and the Netherlands, some obstacles are still existing. Especially in Korea, due to the lack of studies for facilitating residential open building,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residential open building are delayed. With the concern that the facilitation of process and systems is as important as technical development, the evaluation of process and systems is needed for promoting residential open building. As result, strong investigation of current situation can offer basic foundation to facilitate residential open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lans to facilitate residential open building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ystem.

  • PDF

내구성 및 가변성을 갖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가변요소 시스템 개발 : 실험주택 건립 및 적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Infill-system Development for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 Flexibility: Focused on the Constructing and Evaluating Application of Mock-up House)

  • 정소이;박준영;천영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397-406
    • /
    • 2011
  •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전략의 하나로서 100년의 내구성과 가변성을 갖는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변요소 시스템 개발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을 적용한 '실험주택'을 대상으로 개발한 각종 가변요소 시스템과 기술들을 통합하고 단계별 현장 적용성 평가, 전문가 의견조사 및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고정요소인 전체 구조체와 가변요소인 건식외벽, 창호 등을 시공함과 동시에, 전용면적 $84m^2$에 가변요소 시스템을 시공하면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2단계에서는 전용면적 $50m^2$ 3세대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수직통합형 세대(전용$50m^2$+전용$40m^2$)와 수평확장형 세대(전용$50m^2$+전용$10m^2$)를 대상으로 다양한 가변요소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식 온돌의 현장검증을 위한 각종 성능평가 실험과 기 사용한 주택부품의 해체, 이동 및 재시공을 통한 3R 구현 정도 파악 등 실용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검증 작업도 함께 실시하였다.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 개발을 위한 실험주택 건립과 현장적용성 평가 (Constructing Mock-up House and Evaluating Field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Standard Long-Life Housing Model)

  • 진주원;장한두;최경렬;박준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7-172
    • /
    • 2008
  •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technologies for the construction of 100-year housing as the first task for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100-year housing makes it possible to advance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part development, to develop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and Flexibility responding to customers' needs for future living space. At first, for this purpose,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are proposed to respond to the life-cycle of near-future demographic and socia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ock-up House execute based on the location selected during the 2nd year and the basic plan. Then the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are advanced and proposed through evaluat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Mock-Up House.

  • PDF

장수명주택 인증을 고려한 OSC공법 주택의 가변형 평면계획 연구 (Flexible Unit Floor Plan of Off-Site Construction Housing Considering Long-Lasting Housing Certification System)

  • 이지은;노정열;권수혜;김승모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103-117
    • /
    • 2021
  • 인구 및 기술의 변화속도가 빠른 현재 상황에서 장수명주택인증은 건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수명 연장 견인책이다. 장수명주택 인증요건인 가변성과 수리용이성은 인필요소를 구조와 구분하여 교체 및 변경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방식은 공업화주택의 특징과도 부합하여 설계 및 시공방법의 변화로 두 가지 주택 유형은 함께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OSC공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모델이 장수명주택 인증기준을 충족하도록 계획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평면가변성 및 설비배관의 설치방법, 화장실 공사 방법 등을 습식 공법과는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가변형 평면은 22m2와 46m2의 두 가지 타입 평면을 확장하여 69m2평면을 만드는 세대통합방법 그리고 가변 가능한 건식패널 벽체를 활용하여 69m2평면을 여러 가지로 계획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러한 가변성은 9m×10.5m 스팬의 강콘크리트 합성구조 및 일체형 슬래브로 SI시스템 중 서포트 부분을 구성하고 비내력 외벽 및 내벽, 배관 등을 인필부분으로 구분하여 건축구성재를 부품화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와 인필 분리 만으로도 시공법과 관련된 기준을 상당부분 충족할 수 있다. 현재 인필요소를 교체 용이하게 하는 기술은 탄소저감 등에서 국가에 편익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활성화를 위해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 인터페이스의 친환경적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 손영민;왕우철;최영호
    • KIEAE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sign for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Research,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is underway at the research organization of Long Life Housing. Infill system should accommodate the various changes in the space. So dismantlement,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act are essential. In this process, A lot of substance, which can damage or spoil the environment, may be produced. However, the eco-friendly aspects of the interface design of infill system is not made in the approach or evalu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in terms of eco-friendly, and it try to find a design method, complemented in the nex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