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소 구축물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Plan to Improv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Records Preservation Place : Focused on the Regulation for Public Records (기록물 보존장소 변경에 따른 제도개선 방안 공공기록물법령을 중심으로)

  • Lim, Jin-su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3
    • /
    • pp.269-299
    • /
    • 2020
  • It becomes possible to conserve and manage the records also which the Head of Archives(National Archives of Korea) designated at the Records Center(Special Records Center) based on the amendment of the Article 30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on Nov. 2014. However, the right for the decision for above is given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other operation and p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different with existing ones such as that relevant Records Centers prepare preservation countermeasure of subject for the amendment and additionally perform all sorts of works about the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when the amendment treatment is executed. However, there is only the contents about the change of the preservation place is regulated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no legal basis to support the repositories for these change, so additional improvement is necessary. In this paper, present condition of preservation place change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operation condition of relative records centers and suggest the supplementary and improving items with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The Features of the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of the Glass House (글라스하우스의 파빌리온, 폴리, 인스톨레이션의 특성)

  • Kim, Ran-Soo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6 no.1
    • /
    • pp.71-82
    • /
    • 2017
  •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provide a place with a new experience beyond that of simple garden architec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onstructs in the Glass House site, which Philip Johnson has built for 50 years. After Chapter 1 Introduction, which summarized the background of the study, Chapter 2 investigated the design background of the landscape and the types of the constructs there. It also, studying literature on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defined the basic meanings of them. Chapter 3 identified the features of each construct through the case studies of it, analyzing Johnson's intentions on it. These features are such as the applications of classical follies, the quotations of architectural history, fusion with art, architectural experiments, and the monuments of personal history.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ing the site specificity as a common feature of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referred to two aspects of this, which are not only physical placeness but also cultural media.

A study on configuring deployment of digital repositories for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대량기록물 처리를 위한 영구기록물관리시스템의 디지털저장소 배치형상 연구)

  • Yim, Jin-Hee;Lee, Dae-Woo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2
    • /
    • pp.177-217
    • /
    • 2012
  •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has a mission to ingest large-scaled digital records and information from a number of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annually from 2015. There are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digital records and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NAK and agencies, and one of them is how to configure deployment of digital repositories for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the way to design it by examining the checkpoints through the whole life cycle of digital records and information in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ingested digital records and information to the systems in 2015 and deploying the digital repositorie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amount the records and information. First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in NAK should be considered and examined into at least three different parts called Ingest tier, Preservation tier and Access tier in aspect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nd process of the digital records and information. Secondly, as a results of the calculation the amount of the digital records and information ingested to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in 2015 is sum up to around 2.5 Tera bytes. This research draws several requirements related to the large-scaled data and bulk operations which should be satisfied by the database or database management system implemented on to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Thirdly, this paper configures digital repositories deploy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tiers respectively. This research triggers discussion in depth and gives specific clues about how to design the digital repositories in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for preparing the year of 2015.

Implementation of Ontology-based Service by Exploiting Massive Crime Investigation Records: Focusing on Intrusion Theft (대규모 범죄 수사기록을 활용한 온톨로지 기반 서비스 구현 - 침입 절도 범죄 분야를 중심으로 -)

  • Ko, Gun-Woo;Kim, Seon-Wu;Park, Sung-Jin;No, Yoon-Joo;Choi, Sung-P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1
    • /
    • pp.57-81
    • /
    • 2019
  • An ontology is a complex structure dictionary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s and terms related to specific knowledge in a particular fiel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construct various ontologies in Korea and abroad, but there has not been a case in which a large scale crime investigation record is constructed as an ontology and a service is implemented through the ontology.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ontology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instrusion theft field of unstructured data, a crime investigation document, and implementing an ontology-based search service and a crime spot recommendation serv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of the search service, we have tested Top-K accuracy measurement, which is one of the accuracy measurement methods for event search, and obtained a maximum accuracy of 93.52% for the experimental data set. In addition, we have obtained a suitable clue field combination for the entire experimental data set, and we can calibrate the fiel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with the performance of F1-measure 76.19% Respectively.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through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at Gohak-ri, Geochang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 Lee,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5
    • /
    • pp.28-37
    • /
    • 2013
  • This research, which sought to conjecture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while confirming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which is rooted within the village and the Yongwon Pavilion and Garden of Gohak-ri, Mari-myeon, Geochang-gun, Gyeongnam,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nd scenic elements such as the names and sculptures nearby the village and Yongwon Pavilion and Garden. This place is where Goohwagong Oh Sue, a Haeju person, settled down. This is also where his descendants were refined while yearning for their ancestors. The Yongwon Pavilion was established in 1964. It can be sufficiently known that this place was managed and maintained as a garden-like place where the spirit of yearning was shared and which was the basis of the life and entertainment of descendants after being the monumental place for Master Oh Guhwa, through stories, documents, nearby facilities, and writings on many rocks. It is clear that the meaning of 'Bang-Hak(訪鶴) and Jung-Hak (停鶴)' which is carved in many places around this area and Gohak-ri, which symbolizes the Hakbong(crane peak), the vein of Wonjak-dong which is one of the Ahneuisamdong(three outstanding scenic places of Ahneui), is a scenic language explaining the ecological settlement and lives of the Haeju Oh Family. When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a sense of place as "a 'social device' made by discussions and practice rather than its existing as a substance," the many structures scattered around the village, Yongwon Pavilion Garden, and nearby designations show the monumental place inheritance of tribal group clearly exhibi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Korean sense of place. Ever since Guhwagon Oh Sue settled down in Guhak-ri, the tribal group of Haeju Oh Family went through a life settlement phase and landscape formation phase by realizing the sense of place. Afterwards, while yearning for ancestors and repeatedly rooting down in the place, territoriality expanded and the place was reproduced. In particular, timber houses and monument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and after independence, the Yongwon Pavilion was constructed through place reproduction, and monumental tribal landscape is currently being expressed in various forms to this day. Thus, allowing to reach the conclusion of 'Tribal Landscape of Gohak-ri, Mari-myeong, Geochang-gun,' which we perceive today. The products of territorial expansion formed by the repeating phenomenon of place rootedness and place attachment by tribal groups are in fact the substance of tribal landscape. Through suc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rue spirit of place attachment and the earnest interest and affection of descendants towards a unique place that is repeatedly constructed and inherited within the group memory.

Syllables-based Named Entity Extraction and Automatic Corpus Construction using Bidirectional Dynamic LSTM (Bidirectional Dynamic LSTM을 이용한 음절 단위 개체명 추출 및 자동화된 말뭉치 구축)

  • Oh, Sungsik;Lim, Changdae;Ahn, Keeho;Park, Weiji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17-320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자연어 문장에서 장소, 제작물, 사람 등 분류를 통한 의미 부여가 가능한 단어를 파악하는 기술로서 의미 분석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현재 많은 개체명 분석 관련 연구들은 형태소 분석 결과에 의존적인 형태를 갖고 있어서, 형태소 분석 결과의 정확성이 개체명 분석 결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소 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는 음절 기반의 개체명 분석 기술을 제안하여 형태소 분석의 정확도가 낮은 통신어, 신조어 분석 성능을 향상하였다. 또한, 자동화된 방법으로 음절 단위 개체명 말뭉치 및 개체명 사전을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정의하여 개체명 분석의 정확도 향상 및 인지 범주의 확대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체명 인식 기술은 한국어 개체명 표준에 기반한 129가지의 개체명 분류가 가능하며, 이는 자연어 처리 기술이 필요한 산업계에서 상용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저 우주를 향하여(6)

  • Gu, Sang-Ho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300
    • /
    • pp.64-75
    • /
    • 2004
  • 지구의 환경파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따.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따른 지구의 온난화, 이로 인한 기상이변과 해수면의 상승,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공기, 물 및 토양의 오염, 녹지의 감소와 가속되는 사막화 및 오존층의 파괴 등 날로 황폐화 되고 있는 지구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인류전체가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인류생존과 직결된 지구환경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를 해석학 연구할 수 있도록 지구적인 관측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상적인 관측 장소는 우주공간이라 할 수 있다.

  • PDF

The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tunnel safety monitoring system (uIT 기반의 터널 안전관리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 Kim, Do-Hyou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60-265
    • /
    • 2007
  • 제2만덕터널은 부산시민의 생활에 반드시 필수적인 장소로 하루 10만대의 차량이 이용하는 곳이지만 터널의 노후화와 안전시설의 미비로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는 물론 경제적 손실 발생 가능성이 큰 터널 시설물이다. 제2만덕터널은 2005년 7윌부터 2006년 9월까지 교통사고 56건, 고장사고 44건, 화재 2건, 기타 11건의 사고가 발생한 곳으로 관리사무소 전담요원 7명이 3교대로 근무하고 있으며 CCTV 15대만으로 사고를 대비하고 있다. 터널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노후화된 터널이지만 유비쿼터스 기술 및 구조물 계측기술을 적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제2만덕터널은 1985년에 준공되어 현재와 같은 보다 체계적인 터널 안전 관리 기술이 적용되리 많은 터널로 USN기반 구조물, 노면, 화재, 공기, 조명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돌발적인 교통사고 발생 시에 신속한 복구 처리를 위하여 유관기관과 연계된 긴급 지원 시스템의 구축의 좋은 모델이 될 것이다. 부산광역시에는 총 17개 터널이 있으며 그 중 11곳이 90년 이전에 구축된 것으로 본사업으로 노후화 터널의 유비쿼터스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부산을 중심으로 전국에 산재한 노후화 터널의 안전 관리 개선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것이며 유비쿼터스 기술의 대표적 적용 사례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Establishment of National Discharge Observation Network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수자원 관리를 위한 유량측정망 구축 연구)

  • Lee, Chung-Dae;Kim, Won;Choi, Hyuk-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35-1639
    • /
    • 2007
  • 국가적 차원에서 물을 사용하고 통제하는 일은 국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구상의 모든 나라들은 주어진 여건에 맞게 효율적으로 물을 사용하고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일울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 가장 근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물이 언제,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를 파악하여 물이 있는 곳과 물이 필요한 곳을 연계하여 최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목적(이수, 치수, 수질) 적용 기법, 기존 관측소 활용 기법, NARI(Network Analysis for Regional Information) 기법, 지형적 최적 기법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최상류 지점에서 하구까지 모든 지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유량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중목적 적용 기법을 위하여, 수질목적으로는 오염총량제 대상지점을 활용 하였으며, 치수목적으로는 5대강 홍수통제소의 홍수예보 프로그램을 활용 하였고, 이수목적으로는 하천수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활용 하였다. 기존 관측소 활용 기법은 5대강 홍수통제소, 지자체, 농촌공사, 수자원공사,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위관측소를 통합하여 중복투자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하고, 최적의 장소에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NARI 기법은 유량측정망 구축에 있어서 각 지점과의 연계성을 통하여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신뢰성 있게 파악할 수 있도록 분석한 것으로서 하천 상 하류 간의 연계를 통하여 미지의 지점에 대한 유량 값의 유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형적 최적 기법은 산간지방, 도시지역, 농촌지역, 산업지역, 상업지역 등과 같이 지형적 특성에 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 PDF

식물거점센터의 현황 및 역할

  • Im, Yong-Py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8-8
    • /
    • 2010
  • 식물거점센터는 교과부 지정 식물소재은행들의 생물자원의 체계적 통합 및 관리, 소재은행들과 연구소재 네트워크 형성, 표준화 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소재의 효율적 관리, 인적 물적 자원 지원, 식물학, 농학, 생명공학, 유전학 등의 연구 기반 활성화 도모, 소재의 공동 영구보관 시스템 구축, 각 생물체별 데이터베이스 공동 구축, 공동 매뉴얼 작성 및 관련 연구, 공동 정보구축 지원, 중단소재은행의 자료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여 2007년 4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지정되어 출범하게 되었다. 식물거점센터는 한국배추게놈소재은행, 한국의 식물 DNA 은행II,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감귤육종소재은행, 한국감자육종소재은행, 한약자원향장소재은행, 천연물 신약 표준화 소재은행, 대사질환소재은행 등 8개 소재은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점센터의 주요 역할은 OECD가 규정하는 resource center의 역할로 연구소재의 확보, 분류와 동정, 보관, 분량, 인력 양성, 컨설팅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지점 소재은행은 연구소재 확보와 연구, 보관까지 수행하도록 하고, 지점센터의 데이터와 소재를 거점 은행에 제공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소재의 수급과 부족 상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소재확보를 위한 전략 및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식물소재은행을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논의하여 공동으로 적용함으로써 연구 소재의 질과 식물소재은행의 운영을 표준화 할 수 있을 것이며 모든 소재은행과 함께 소재의 체계적인 기록 관리를 수행함으로서 소재의 이용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연구자가 마음 놓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