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보고 시설사업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HEC-6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 방법

  • 우효섭;유권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02b
    • /
    • pp.95-133
    • /
    • 1995
  • 1) 하천 종횡단 자료, 유사량 자료, 수문 자료 등을 입력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소하천은 지류(tributary)라 하고, 단순히 유량의 유입 또는 자료만을 입력하는 소하천, 첩수로, 배수로, 취수구 등은 국소 유입점이라 하여 구분함. 2) 각 행이 필수적(required)으로 필요한가 선택적(optional)으로 필요한가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필수 : 반드시 필요하며 빠질 경우 실행되지 않음, 2선택 : 필요할 때만 입력하면 되며 없어도 무방, 3한번필수 : 반복적으로 수행 또는 입력하는 경우, 처음 수행시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다음부터는 입력값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만 입력하는 경우, 4특수선택 : 특별한 경우를 모의하고자 할 경우만 선택. 3) HEC-6는 조도계수를 지정된 단면의 상류에 적용하나 HEC-2는 그 단면의 상하류에 적용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느 방법이나 거의 일치한다. 4) 우리나라의 하천과 HEC-6모형이 개발된 미국의 하천이 다름을 유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방이라함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공제방이 축조된 곳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의 서부 건조지역을 흐르는 하천과 같이 유량 변화가 거의 없는 하천에 하도의 양쪽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연제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제 유량의 개념도 원래 모형에서 제시된 의미와는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9)의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유사량 공식에 따라 계산된 유사량이 큰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대상하천의 상황에 적합한 공식을 선정하는데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

  • PDF

A Study of Prestressed Concrete Pile Stiffness for Structural Analysis of Condominium Remodeling with Vertical Story Extension (수직증축형 공동주택 리모델링 구조해석을 위한 PC말뚝 강성에 관한 연구)

  • Choi, Changho;Lee, Hyunjee;Choi, Kisun;You, Youngchan;Kim, J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12
    • /
    • pp.81-92
    • /
    • 2017
  •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Housing Act in 2013, it has been possible to carry out an apartment remodeling project involving two to three floor vertical extension. The remodeling project with vertical extension requires foundation reinforcement because structural safety due to additional load and enhanced seismic criteria must be met. In this case, structural analysis is performed to analyze the load distributed to existing PC pile and reinforced additional pile. The vertical stiffness ($K_v$) of the pile is required for structural analysis, but the research on the 20~30 year old PC pile stiffness is very limited. In this paper, the stiffness of the PC pi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diameter and length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results of 38 field pile load tests perform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partments in the 1990'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ile stiffness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length-diameter ratio (L/D). In addition, the results of on-site pile load test are compared with the coefficient 'a' for estimating pile stiffness proposed in Korea Highway Bridge Design Standard (2008) and the Pile Foundation Design Guideline of Korea Railroad Corporation (2012). It shows that 'a' obtained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literature is very similar to the field test results in the range of 10

Integrated Floo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using ICT (ICT를 이용한 지자체 홍수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안)

  • Cho, Wan Hee;Park, Jeong Su;Na, Yu Jin;Shin, Cheol Kyun;Lee, Yong 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7-577
    • /
    • 2016
  •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현상으로 이로 인한 홍수피해는 심화되고 있다.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 5차 보고서(IPCC, 2014)에 의하면 1980년대 이전 세계 평균 홍수피해액은 7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1년에는 240억 달러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필리핀에 태풍 '하이옌' 내습으로 인해 6,200여명이 사망하고, 2천여명이 실종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4년 8월 경남 부산지역에는 시간당 130mm가 넘는 국지성 호우에 따라 차량 4,000여대가 침수, 5명 사망 등 약 125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국회예산정책처(2012)와 소방방재청(2014)에 따르면, 자연재해 중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한 호우피해가 85%를 차지하였으며, 전국 하천 피해액의 98.7%가 지방 및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하천과 같이 소외된 지역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홍수재해 상황에 대하여 선제적 효과적 대응을 위한 과학적 체계적인 홍수통합관리 체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홍수관련 유관기관 자료를 연계한 실시간 상 하류 수문상황 모니터링, 홍수분석 및 하천수위별 대응기준 수립, 배수펌프장 등 수리시설원격 제어 등을 포함하는 홍수 통합관리체계 구축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수립이 제방정비, 저류조 등 구조적 대책과 병행하여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 이에 K-water는 ICT기반의 물관리기술력과 경험을 활용하여, 인력 기술력 예산 부족 등 열악한 재난관리 여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자체와 협업을 통해 홍수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홍수통합관리체계 구축은 지자체 상 하류의 다양한 재난정보를 수집 통합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홍수 대응기준 수립을 통해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것으로, K-water는 지난 2010년 남원시를 시작으로 무주군, 군산시, 진안군 등 21개 지자체의 홍수재해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남원시의 경우 본 사업을 통한 시스템 구축후 홍수피해액이 50%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는 등 재난관련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홍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홍수재해 통합관리 체계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할 수 있다. K-water는 물관리 전문 공기업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지자체 맞춤형 홍수통합관리체계' 구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for Bifurcation Channel Depending on Channel Planform Change using TELEMAC-2D (TELEMAC-2D를 이용한 분류부 평면형상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수치모의)

  • Jung, Dae Jin;Jang, Chang-Lae;Jung, Kwan 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7-257
    • /
    • 2019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을 위해 기존 수자원 활용의 고도화 및 배수능력 증대를 위해 다양한 방안이 추진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기존 개수로에 신규 수로를 연결하여 합류와 분류를 시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신규 개수로 연결을 위한 분류부 형상은 관련 설계기준, 분류유량의 규모, 해당 지점의 하상변동 경향, 지형여건, 흐름 분류시설 및 구조물의 형태(양수펌프장, 스크린이나 수문, 암거설치)와 같은 구조적 요인 등에 의해 달라지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류부 평면형상 변화에 따른 분류유량비와 흐름분리구역 분포 등에 대한 흐름특성을 분석하고 이수와 치수계획 수립 등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TELEMAC-2D 모형을 이용하여 주수로 상류 유입흐름의 프루우드 수가 0.74, 0.52인 두 흐름에 대해 형상변화 폭을 주수로 폭(B)의 1B, 주수로 형상변화를 급확대, 점진적 확대 구간길이를 1B~3B로 변화시키며 분류유량비(분류수로 유입유량/상류 유입유량)와 흐름분리구역의 위치와 크기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류부 상류 유입흐름의 프루우드 수가 0.74, 분류유량비는 0.33인 흐름은 주수로 형상변화 구간길이가 1B 일 때 0.44~0.46, 3B일 때 0.54~0.60으로 점차 분류유량비가 증가한다. 반면 상류 유입흐름의 프루우드수가 0.52, 분류유량비가 0.52인 흐름은 주수로 형상변화 구간길이가 1B일 때 0.77~0.82에서 3B일 때 0.70~0.80으로 점차 분류유량비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주수로 형상변화 폭을 0.5B, 1B로 달리하여 수로 형상변화를 시킨 경우 분류유량비 증가율은 각각 135~162%, 134~176%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로 형상변화 폭보다 변화구간 길이가 더 큰 분류유량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흐름분리구역은 상류 유입흐름의 프루우드 수가 0.74인 경우 수로형상 변화구간과 분류수로 입구에 형성되지만, 상류유입흐름의 프루우드 수가 0.52인 경우 수로형상변화 구간과 주수로 하류에도 형성된다. 수치실험 결과 동일수로 폭 직사각형 $90^{\circ}$ 분류수로에서 분류부 평면형상의 변화에 따라 주수로 하류방향흐름의 관성력은 감소하는 반면 분류수로로 향하는 횡압력경사와 흐름분리구역 발생위치 변화로 인해 분류 수로내 통수능이 증가하여 분류유량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분류부 상류 유입흐름의 관성력이 작은 경우 분류부 평면형상 변화시 주수로 하류방향에서도 흐름분리구역이 형성되고 주수로 종방향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분류흐름 계획수립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stability and similarity in the Giran stream (길안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안정성 및 유사도 분석)

  • Jang, Myeong Seong;Seo, Eul Won;Lee, Jong 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714-723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ability and similar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Giran stream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18, and compare results to those reported by Lee (2004). As relates to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 each taxon in 2018, 45 species were additionally discovered compared to the 2003 study; the number of EPT taxa increased by 14 species and OCH taxa increased by 18 species.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exes increased while the dominance index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analysis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11 more Gathering-collector species were found, making it the highest functional feeding group with 24 species. According to analysis of functional habitat groups, 15 more clinger species were found than in the past, making it the highest functional habitat group with 41 species. A community stability comparison showed that species belonging to 'Stability Group I' had the highest stability rate at 57.1% in 2003 and 61.5% in 2018. According to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n 2018, the average water quality level at each survey site was 'Ia' and 'Very Good'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analysis between the survey points for the species that appeared, two large groups of similarities were classified (similarity group 1: 2003 sites, similarity group 2: 2018 sites).

Non-point Reduction Effect due to Mitigation of Slope in Highland Fields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에 따른 비점 저감 효과)

  • Tae Hwan Lee;Dong Hyuk Kum;Jun Ho Kang;Jeong Ha Lim;Tae 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9-469
    • /
    • 2023
  • 고랭지밭은 집중호우시 토사가 유실되고 고농도의 흙탕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하류지역의 수질 악화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고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보급하고 있으나,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집중호우시 수질 악화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발생원 관리 노력이 더욱 많이 필요한 실정인데, 최근 강원도와 환경부에서는 토사유실에 취약한 고랭지밭의 지형적 조건을 개선하여 토양유실을 저감하는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는 급경사지 및 경사장의 경작지를 계단식으로 조성하여 비점유출을 최소화시키는 발생원 관리방안이다. 그러나,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에 따른 정량화된 비점유출 저감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천군 광원리와 창촌리에 조성된 경사도 완화 경작지를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비점저감효과 정량화를 위해 인근의 경사지 밭에서도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대조구로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은 2020년 8월에 총 3회(광원리 2회, 창촌리 1회) 수행되었으며, 분석 결과 광원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 124.4 NTU, SS 111.5 mg/L, TOC 4.6 mg/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의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 1,741.7 NTU, SS 673.3 mg/L, TOC 30.6 mg/L로 나타났다. 광원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는 대조구 대비 수질항목별 83.4 ~ 92.9%의 비점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촌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의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 598.1 NTU, SS 414.5 mg/L, TOC 8.5 mg/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3,487.3 NTU, SS 3,081.2 mg/L, TOC 40.3 mg/L로 나타났다. 창촌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는 대조구 대비 수질항목별 78.9 ~ 86.5%의 수질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작지의 경사도 완화로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발생을 SS는 최대 86.5%, TOC는 최대 84.9%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단년간 모니터링을 통해 도출된 결과이므로 정량화된 비점오염저감효과 도출을 위해서 다양한 강우조건 등을 고려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2022년도에 인제군 북면 월학리 신규 조성된 경사도 완화 경작지를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할 계획이다.

  • PDF

Surver and Construction in Gabensis village, Papua New Guinea (파푸아뉴기니 가벤시스마을 현황과 전망)

  • Chang, K.J.;Seo, G.S.;Byun, Jae Myun;Park, C.H.;Jeon, U.S.;Elick, G.;Eleo, D.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13 no.1
    • /
    • pp.173-183
    • /
    • 2011
  • Gabensis village is one of the biggest village In the Wampar Local Level Government area within the Huon Gulf District of Morobe Province with a population of around 3,000. The major staple food is banana which is well complemented by minor staples yam, cassava, Singapore/Chinese taro and sweet potato. Apart from gardening for own consumption, the villagers engage in selling of vegetables, garden staples, cocoa beans, coconuts, timber, chicken, fish and pig meat to supplement their livelihood. Livestock like pigs and chickens are also kept for meat and for commercial purpose. Bettlenut which was once one of the main cash crops has now been overtaken by cocoa due to a disease that had attacked almost the entire bettlenut tree population in the area. Even though the Wau-Bulolo highway cuts through the village and all have access to transport infrastructur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still encounter problems in communication due to poor telecommunication coverage. On average most people earn not more than K50 per week due to constrains in production and marketing among others. Gabensis village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 tourism industry given its natural attraction of Lake Wanam. Beside there is also the natural eel farming and the fish pond at the nearby Potsie village. These natural attractions pose huge tourism potential for the community. As part of government services delivery and development, education and health issues is very much important in the community however there is lack of infrastructural development and poor service delivery especially in the area of health. However, the responsibility is on the community to organize themselves to realize that potential. A well developed agro-ecotourism investments would have positive spillover effects to the community thus contributing towards improving the livelihoods of the many farming families.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s for Children (유아숲체험장의 이용후 평가)

  • Kang, Tae-Sun;Lee, Myung-Woo;Jeong, Moon-S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2
    • /
    • pp.109-123
    • /
    • 2017
  • Due to the positive effect of forest space for child development,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forest activity space of various organizations is increasing in quantity; however, the research on practical space design and management program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pace and management programs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s through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teachers and preschoolers participating in forest activities. To do this, we analyzed the selected twelve sites through field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forest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n surveyed 115 forest education experts and childcare teachers for importance, performance, overall satisfaction, and space preference. In addition, we accessed overall satisfaction and space preference of twenty-nine preschoolers through interviews, photo-simulation, and questionnaires. As a resul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anagement program area was rated higher tha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a. In terms of group comparison, the group with active structured program rated two areas higher than the groups with free play. Preschoolers with structured programs preferred facility space, but preschoolers with free play preferred nature. Two preschooler groups rated forest activity as satisfacto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1) The composition of the forest activity space should ensure accessibility, safety, diversity of diversity, water space, connect to the forest road, and secure various terrains, trees, and natural materials; 2) The management program should ensure that forest activity programs have the proportional balance of structural programs and free play; also. management programs should plan for sufficient free playtime and a high share of play in the forest; and 3) Ensure the role and expertise of forestry specialists and run a program to increase the autonomy of preschoolers.

Analyzing the Potential of legally protected Trees to Create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Gimchon City -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한 보호수 잠재력 분석 - 김천시를 중심으로 -)

  • Jung, Tae-Yeol;Kim, Eun-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1
    • /
    • pp.73-81
    • /
    • 2017
  • During the 1990s, policy was put in place to create resting spaces in rural areas. This policy was associated with a government project to improve the rural residence environment and it attracted attention to outdoor spaces in rural areas. Many communities have gradually disappeared in rural areas but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legally protected trees might provide resting and cultural spaces in a given rural community.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legally protected trees and by doing so, these resources may then help to sustain many rural communities. Therefore, the creation of resting spaces or mini-parks created around trees that are protected by in rural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 The value of trees that are protected by law can differ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trees or the surroundings.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systemic research regarding legally-protected trees in terms of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otential of these trees and at analyzing how these trees can be useful in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The findings can be helpful in providing foundation data for creating these types of community spaces. Forty legally protected trees in Gimcho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Nine item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trees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se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relation to public facilities, environment and safety, symbolism, and ease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 potential of the legally protected trees was evaluated by 5-point Likert Scales in a given item. The overall potential was evaluated by the sum of individual item scores. Specifically, trees with over 20 points (max. 25 points) could be considered high potential.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the portion of legally protected trees with high potential is five percent (No.7 and No.12 trees). Therefore, the priority is to protect or use the trees for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that can help make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rural communities.

Public welfare services and the needs of the Haenyeo and a comparative analysis (해녀의 공공복지서비스 실태와 욕구 비교 분석)

  • Kim, Sang-Mi;Hwang,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0
    • /
    • pp.4557-45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riteria to public welfare service support for improving life quality of the haenyeo (female divers) through analyzing public welfare services and desires of the haenyeo in Jeju, Busan, and Tongyeong. Accordingly, research period was set from May 11 to June 21, 2010. The haenyeo in each region of Jeju, Yeongdo-gu (Busan), Tongyeong-si were selected as subjects. Recording of interviewing methods was used to recognize current status of public welfare. We analyzed by comparing desires of the haenyeo to public welfare services by dividing them economically, medically, educationally, and cultural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public welfare services to the haenyeo in each region, supports for protection of diving, growing area, public welfare service for aged diving haenyeo, and medical service were conducted. Tewak protecting net, Seonjinji visiting, and welfare facilities are supported in Busan-si but there is no support in Tongyeong-si. Therefore, desires of the haenyeo to such public welfare servic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desires of the haenyeo in Jeju to economic supports are indicated as supports for haenyeo experience spot, diving suit, and overseas visiting. To educational supports, it is indicated as supports for identity education, diving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cultural supports, it is indicated as supports for installation of welfare hall and exchange visit to foreign haenyeo culture. Second, in Busan, there were desires to establish changing room and fishery sales lot and to support diving suit as for economic supports, desires to support diving disease and medical benefits as for medical supports, desires to education of diving skill as for educational supports, and desires to establish welfare hall and haenyeo museum as for cultural supports. Third, in Tongyeong where public welfare services to the haenyeo are very poor, there were desires to support diving suit and to support changing room as for economic supports, as same as in Busan, desires to support diving disease and medical benefits as for medical sup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