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래 예측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6초

인공신경망과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해상교통량 예측 (A Prediction of Marine Traffic Volum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ime Series Analysis)

  • 유상록;김종수;정중식;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1
    • /
    • 2014
  • 본 연구는 기존의 회귀분석과는 달리 시계열 분석과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장래 해상교통량을 예측하였다. 특히, 시계열 분석을 통한 예측값을 인공신경망 모형에 추가 입력변수로 적용하여 장래 해상교통량 예측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항의 1996년부터 2013년까지 월별 관측값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형의 예측력 검증을 위해 1996년부터 2012년까지 관측값을 대상으로 구축한 모형으로부터 2013년을 예측하여 실제 관측값과의 비교로 적합한 모형을 판별하였다. 인천항의 2015년 장래 해상교통량은 매월 평균 교통량보다 5월과 11월에 각 5.9 %, 4.5 % 많았으며, 1월과 8월은 매월 평균 교통량보다 각 8.6 %, 4.7 % 적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인천항은 계절에 따른 월별 교통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상교통 현장관측 조사시 계절에 따른 교통량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내장저수지의 장래 퇴적량 및 퇴적분포 추정 (Estimation of Future Sediment Deposition and Sediment Distribution on Nae jang Lake)

  • 고재영;박승우;이은정;장태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41-154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장저수지의 장래 퇴적량 및 퇴적분포를 추정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장저수지 유역의 장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기 위해 Landsat-5 TM 1984년 영상과 2001년 영상을 분석하여 토지이용변화를 알아보고, 연간 토양유실량 변화를 추정하였다. 2) 내장저수지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범용토양유실공식(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담수호로 유입되는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유사운송비법을 사용하였다. 담수호로 유입된 유사량 중 퇴적되는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유사량-포착효율법을 이용하였다. 3) 토양유실량의 연평균증가율을 바탕으로 장래 유입 유사량 및 퇴적량을 예측하였으며, Lara법에 의한 수위-내용적 관계 및 표고별 퇴적분포를 추정하였다.

  • PDF

HEC-6 모형에 의한 대청 다목적댐 하류의 하상변동 예측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 Downstream of Daechung with Multipurpose Dam by Using the HEC-6 Computer Program)

  • 유권규;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2년도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 /
    • pp.366-374
    • /
    • 1992
  • 1980년 금강유역에 축조된 대청 다목적댐에 의한 하류의 하상변동을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하고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된 HEC-6 모형을 이용하여 장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적용구간은 대청조정지댐에서 부여까지 약 78km이며, 적용 기간은 1980~1988이며, 장래의 하상변동 예측결과에 따르면, 조정지댐~마어구 수위표 구간은 하상이 저하될 것이 예상되며, 공주 수위표 하류는 하상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규암 수위표 상류 3~15km 구간은 하상이 1~2m 이상 상승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구간은 현재도 하상상승에 따른 취수장 취수구의 매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조사와 분석 및 대책마련을 위한 조치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계절성을 감안한 ARIMA 모형을 이용한 교통수요 동태적 변화 연구 (A Study on Dynamic Change of Transportation Demand Using Seasonal ARIMA Model)

  • 이재민;권용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39-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계절성(seasonality)을 감안한 적분된 자기회귀 이동평균 모형(ARIMA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역 간 철도의 동태적 변화과정을 추정하고 장래 통행수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기존 국내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계절성 요인을 감안한 ARIMA 모형(Seasonal ARIMA model)과 월별 지역 간 철도 통행실적자료를 이용하여 교통수요 동태적 변화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월별 수송인원 및 수송인-km 기준 지역 간 통행실적 자료를 이용하여 Box et al. (1994)에서 제시한 Seasonal ARIMA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장래 지역 간 철도 통행수요를 예측하였다. 장래 통행수요 예측 결과에 따르면 수송인원 기준으로 2015년 및 2020년에는 2008년의 각각 약 1.36배와 1.71배 수준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수송인-km 기준으로 2015년과 2020년에는 2008년의 각각 약 1.25배와 1.78배 정도로 예측되었다.

시계열 적용기간에 따른 사망력 추정 및 예측결과 비교 - LC모형과 LC 코호트효과 확장모형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Mortality Estimate and Prediction by the Period of Time Series Data Used)

  • 정규남;백지선;김동욱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6호
    • /
    • pp.1019-1032
    • /
    • 2013
  • 최근 급격한 기대수명의 증가에 따라 미래 복지정책 등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장래 사망력의 정확한 예측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사망력의 정확한 예측을 위하여 최적의 추정모형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사망력에 대한 시계열 적용기간도 매우 중요한 이슈다. 이는 우리나라의 사망률 시계열이 짧고, 특히 1982년 이전 자료가 다소 불완전해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사망력 시계열을 기간에 따라 2개의 그룹(1976~2005년, 1983~2005년)으로 나누어서, 남녀별로 LC모형과 LC 코호트효과 확장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값, 사망력지수와 코호트지수의 모형화 및 예측, 장래 기대수명의 예측 적합력을 각각 분석한 후 향후에 장래 기대수명 추계시 고려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