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 열화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태양전지 모듈의 옥외실증시험을 통한 열화요인 분석

  • Kim, Hyeon-A;Choe, Jeong-Jin;Kim,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94.2-494.2
    • /
    • 2014
  • 실리콘 태양전지는 현재 다른 태양전지 셀에 비해서 높은 변환효율 및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여 상용으로 판매되는 대다수의 모듈이 실리콘 태양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이 25년 이상 보증을 위해서는 장기 열화메카니즘 연구가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을 가속열화하여 높은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옥외실증 시험을 통해 일사량, 기온, 습도, 풍향, 풍속과 같은 환경인자에 따른 모듈의 성능 비교를 통해 모듈의 열화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MYPGT (Maximal Yield Power Generation Tracking)를 활용하여 모듈의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하며, 빠른 대기환경의 변화에 따른 매시간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특성을 지속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대기환경에서 받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Improvement and the Long Term Durability of Shotcrete mixed Micro-Silica Fume (실리카 흄을 혼입한 숏크리트의 강도증진과 장기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Ma, Sang-Joon;Kim, Dong-Min;Jang, Phil-Sung;Choi, Jae-Seok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8 no.2
    • /
    • pp.165-182
    • /
    • 2006
  • In this study, field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ength-improvement effect of shotcrete mixed Micro-silica fume and shotcrete quality was estimated by EFNARC standard. Deterioration test combined the Freezing-thawing and Carbonation was also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a long-term durability of high-strength shotcrete. As a result of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hotcrete using Micro-silica fume was 45.2~55.8MPa and flexible strength was 5.01~6.66MPa, so a promotion ratio of strength was 37~79%, 17~61% respectively. And the strength-improvement effect of strength by silica fume addition ratio of 7.5~10% for cement mass was more superior to the others. Due to relative dynamic modulus, mass decrease rate and carbonation progress of shotcrete mixed Micro-silica fume, it was especially realized that Micro-silica fume reduced deterioration caused by steel fiber and improved a long-term durability of shotcrete.

  • PDF

Evaluation of Thermal Aging on PVC Using Thermo Gravimetry Analysis and Accelerated Thermal Aging Test (TGA와 가속열화를 이용한 전선 피복용 PVC의 열적 열화평가)

  • 박형주;김기환;김홍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8 no.3
    • /
    • pp.45-50
    • /
    • 2004
  • Thermal degradation of PVC which used for insulator of 600V vinyl insulated wire has been studied by thermo gravimetry analysis and accelerated thermal aging test. The activation energy using thermo gravimetry analysis was determined by the kinetic methods, such as Kissinger and Flynn-Wall-Ozawa. The activation energy was determined to from 89.29 kJ/mol to 111.39 kJ/mol in 600V PVC insulated wire and from 97.80 kJ/mol to 119.25 kJ/mol in 600v heat-resistant PVC insulated wire. And also, the activation energy through a long-term thermal aging test was calculated by using Arrhenius equation In the low temperature of 8$0^{\circ}C$, 9$0^{\circ}C$, 10$0^{\circ}C$. The results showed that 600V PVC insulated wire was 92.16 kJ/mol, and 600v heat-resistant PVC insulated wire was 97.52 kJ/mol. Consequently, the activation energy of 600V heat-resistant PVC insulated wire is larger than 600V PVC insulated wire.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600V heat-resistant PVC insulated wire has a long-term stability relatively.

열화시험의 엄격도 조정을 통한 제품평가 기간 단축

  • Jang, Seong-Jin;Park, Bu-Hui;Im, Ho-Gyeong;Jang, J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76-680
    • /
    • 2004
  • 성공적인 제품개발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제품평가를 위해 여러 가지 신뢰성 시험이 실시되고 있으며 시간에 따라 특성치의 열화를 평가하는 열화시험도 많이 적용되고 있다. 열화시험을 비롯한 신뢰성시험들은 대부분 장기간이 소요되고, 시험 종료 후 불합격되면 평가의 반복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평가기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평가 초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미리 불합격 시키는 것이 평가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조기에 불합격 판정을 하기 위해서는 신뢰성시험 시간과 엄격도의 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시간 단축을 위한 엄격도 선정방법을 제안하고 광픽업의 적용사례를 제시한다.

  • PDF

Optimal replacement methods for distribution polymer insulators (배전용 폴리머애자 최적 교체기법 연구)

  • Choi, Sun-Kyu;Kim, Ju-Yong;Jung, Yeon-Ha;Park, Chul-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9a
    • /
    • pp.92-94
    • /
    • 2008
  • 폴리머 애자는 경량, 미려함, 소형, 비 분해 폭발 특성과 같은 다양한 장점 때문에 세라믹 애자를 대체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머 재료는 동일 목적의 세라믹 애자에 비하면 열화가 빠르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폴리머 애자의 사용기간이 10년 이상 경과하면서 이들에 대한 교체시기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사용기간이 짧아 교체 시기론 예측하기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사용중인 폴리머애자 신품과 경년품의 복합가속열화시험을 실시하고 자연열화 시료와 비교하여 장기 열화특성을 평가하고 최적 교체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Study on Diagnosis of High Voltage Cables for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고압케이블 열화진단에 관한 연구)

  • Ha, Che-Wung;Joo, Kwang-Ho;Han, Sung-He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61-2062
    • /
    • 2011
  •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케이블은 장기운전에 따라 열화진단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주기적 안전성 평가(Periodic Safety Review) 및 계속운전과 관련하여서도 고압케이블의 관리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13.8kV급 고압케이블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 중 열화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미국 NRC(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서는 케이블 진단 기법 11가지를 권고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최신 케이블 진단 기술인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한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 PD) 측정, VLF(Very Low Frequency) 장치를 이용한 $Tan{\delta}$ 측정 및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케이블 온도 측정을 사용하여 고압 케이블 진단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서술하였다.

  • PDF

A Preservation of Materials for the Records (자료매체의 보존성)

  • 신종순;최찬호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 /
    • pp.71-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thods of preservation for paper, microfilm, digital media. First of all, for acidic papers produced in 19~20 centuries, this study evaluates and analyses deterioration and factors causing deterioration. For book, also, environmental condition for preservation, and a preservation mechanism through acid-free procedure were suggested. Second for microfilm, it emphasiz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xidised substance during developing film, materials related to preservation. Third, for digital storages, storage conditions and needs, such as life-cycle and capacity were introduced.

  • PDF

Durability of High Strength Concre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mixture (혼화재의 사용량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내구성)

  • Kim, Dong-Baek;Lee, In-Duk;Lee, Jae-Won;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01-302
    • /
    • 2022
  • 최근 들어 염해, 콘크리트의 탄산화, 동결융해 등의 열화요인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열화요인은 독립적이 아닌 복합열화의 형태로 작용하게 되는데, 열화현상을 저감하는 한 방편으로 플라이애쉬와 같은 혼화재를 사용하디도 한다. 플라이애쉬는 유동성 증진을 통한 내구성의 향상과, 수화열 저감을 통한 균열감소 및 장기강도 증진 등의 효과가 있으며,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플라이애쉬는 품질편차가 크고, 경우에 따라서 미연탄소분에 의한 AE제 흡착 등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화를 저감하고, 내구성을 갖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합비의 플라이애쉬 혼입 콘크리트를 실험한 후 그 결과를 분석·고찰함으로써 내구성 콘크리트의 제작 시 혼화재로서의 적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며, 플라이애쉬를 내구성 재료로 그 활용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플라이애쉬의 사용량과 물/결합재비(W/B)에 대하여 내구성이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범용화하며, 그 품질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