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 모니터링

Search Result 61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mparison of Seasonal Pollutant Loads Estimated at Coal mining Area (광산(탄광)지역의 계절별 오염부하량 비교 분석)

  • Shin, Hyun-Jun;Shin, Min-Hwan;Seo, Ji-Yeon;Choi, Yong-Hoon;Won, Cheol-Hee;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28-1032
    • /
    • 2009
  • 비교적 한정되고 정해진 구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점오염이라고 하는 반면, 비점오염은 도시, 농지, 산지, 등 불특정 구역에서 오염물질을 발생시킨다. 점오염에 관한 오염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었던 이전과 달리 최근에는 비점오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해짐에 따라 정부는 비점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유념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오염총량관리제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부는 기존 비점오염원 원단위 부하를 세분화 하여 오염총량제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점오염의 관한 연구 중 광산(탄광)지역의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광산(탄광)지역의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하여 계절별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량을 비교하고, ESTIMATOR 모델 방법으로 T-N과 T-P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광산(탄광)지역의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으로 비점오염부하 산정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Management System for Rational Water Use (합리적인 하천수 사용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개발)

  • Cha, Jun-Ho;Won, Yoo-Seoung;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8.2-98.2
    • /
    • 2010
  • 합리적인 하천수 사용을 유도하고 하천유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하천정보 모니터링, 장기유출, 물수지모형을 통합하고, 이수관련 시스템을 연계하여 유역별 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물관리시스템을 통해 일단위 하천수 모니터링, 하천수 사용체계, 물수급 및 단기전망이 가능하므로 상류 유량공급시설의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 물부족 전망 및 갈수예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시범운영단계를 거쳐 시스템이 현업에 정착되면 하천유량 관리자, 하천수 사용자 및 일반인 등 사용자별 요구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nitoring of Long-Term Behavior of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 (IPC거더 연속교의 장기거동 모니터링)

  • Lee, Hong-Woo;Ahn, Jeong-Seang;Kim, Kyoung-Won;Yu, S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49-352
    • /
    • 2008
  • IPC girder is more prestressed and has smaller sectional area than the conventional PSC-I type girder due to incremental prestressing alo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 may have problems in serviceability and stresses at internal supports because it is very flexible. In this paper,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 is studied through long-term structural analysis and monitoring the deflections. The long-term behavior is monitored right before the introduction of 2nd prestressing that is the construction proces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SC-I type girder bridge. The total station of high-precision was used in measuring the deflection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so far,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s does not show remarkable long-term behavior like severe camber or deflection and the measured deflections are very similar to the results of long-term structural analysis.

  • PDF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Environment in the Mushroom Production House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Lee, Sunghyoun;Yu, Byeongkee;Lee, Cha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1-121
    • /
    • 2017
  •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 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Wireless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Medical Information(ECG data) (의료 정보(심전도 데이터)를 위한 Wireless Realtime Monitoring System 구현)

  • 한민수;고성일;김양호;이강민;김영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3 no.1
    • /
    • pp.75-82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wireless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modified CSMA/CA protocol. This system consists of wireless modem, central monitor, mobile station, DB server, and offer advantage of mobility, reduced installation time, long-term cost savings, and so on. And this system offers patient position pursuit service. Patient position pursuit service must be offered to deal with emergency which can be occured during patient movement. This paper proposes modified CSMA/CA protocol and patient position pursuit algorithm, implements wireless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it.

  • PDF

Modeling the soil moisture of street trees using RZWQM (RZWQM을 활용한 가로수 토양수분 모델링)

  • Jeong, Kieun;Hong, Eunmi;Yang, Jae E;Kim, Hyuc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9-489
    • /
    • 2022
  • 도시의 가로수들이 열악한 부지 조건과 적절하지 않은 가로수 관리로 인해 죽는 현상이 몇몇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다. 열악한 부지 조건과 적절하지 않은 가로수 관리에는 생물학적·기상학적으로 많은 요소들이 있고, 그 밖에 도시 설계로 인한 요인들로 다양하다. 그중 연구지역인 춘천시에서는 가로수가 죽는 원인 중 토양수분이 가장 큰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토양수분 분포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함량, 토양 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토양수분 연구는 물순환과정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토양수분 분석은 중요성에 비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가로수 토양수분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로수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장기적인 가로수 관리를 위해 모델링을 하였다. 모델링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토양수분 모니터링은 춘천시의 가로수 중 세 군데를 선정해 각각 10, 20, 30 cm에 센서를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약 1년간의 토양수분 함량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모니터링 지점의 토양을 샘플링 후 분석하여 물리, 화학, 생물성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모델링은 RZWQM(Root Zone Water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모델링 결과를 활용해 가로수 및 도시 표토 기능을 위협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emperature-Moisture Combined Measurement System for Slope Failure Monitoring (사면붕괴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온도-함수비 복합계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 Nam, Jin-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2
    • /
    • pp.33-39
    • /
    • 2015
  • Recently, the event of slope failure has been occurring frequently due to rapid climate changes and broad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s, and the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monitoring and prevention system has been an attentive issue. The major influence factors of slope failure mechanism can be considered moisture and temperature in soil, and the slope failure can be monitored and predicted through the trend of moisture-temperature change. Therefore, the combined sensing technology for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moisture-temperature with different soil depths is needed for the slope monitoring system. The various independent sensors for each item (i.e. temperature and moisture respectively)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research for development of combined sensing system has been hardly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high-fidelity sensor combing temperature-moisture measurement by using the minimized current consuming temperature circuit and the microwave emission moisture sensor is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slope failure monitoring system. The feasibility of developed monitoring system is verified by various experimental approaches such as standard performance test, mockup test and long-term field test. As a result, the developed temperature-moisture combined measurement system is verified to be measuring and monitoring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in soil accurately.

Method of Monitoring Forest Vegetation Change based on Change of MODIS NDVI Time Series Pattern (MODIS NDVI 시계열 패턴 변화를 이용한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 방법론)

  • Jung, Myung-Hee;Lee, Sang-Hoon;Chang, Eun-Mi;Hong, Sung-Wo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4
    • /
    • pp.47-55
    • /
    • 2012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has been used to measure and monitor plant growth, vegetation cover, and biomass from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It is also a valuable index in forest applications, providing forest resource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an approach for monitoring forest change using MODIS NDVI time series data is explored. NDVI difference-based approaches for a specific point in time have possible accuracy problems and are lacking in monitoring long-term forest cover change. It means that a multi-time NDVI pattern chang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n efficient methodology to consider long-term NDVI pattern is suggested using a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reconstructs MODIS NDVI time series data through application of the harmonic model, which corrects missing and erroneous data. Then NDVI pattern is analyzed based on estimated values of the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49 NDVI time series data from Aug. 21, 2009 to Sep. 6, 2011 and its usefulness was shown through an experiment.

Long Term Monitoring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Jacket-Type Offshore Structure Using Dynamic Tilt Responses and Tidal Effects on Modal Properties (동적 경사 응답을 이용한 재킷식 해양구조물의 장기 동특성 모니터링 및 조류 영향 분석)

  • Yi, Jin-Hak;Park, Jin-Soon;Han, Sang-Hun;Lee, Kwa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A
    • /
    • pp.97-108
    • /
    • 2012
  • Dynamic responses were measured using long-term monitoring system for Uldolmok tidal current pilot power plant which is one of jacket-type offshore structures. Among the dynamic quantities, the tilt angle was chosen because the low frequency response components can be precisely measured by dynamic tiltmeter, and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al damping ratio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using proposed LS-FDD (least squared 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 method. And the effects of tidal height and tidal current velocity on the variation of natural frequencies and modal damping ratios were investigate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Also the non-parametric models were tested to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idal conditions and modal properties such as natural frequencies and damping ratios.

Long-gap Filling Method for the Coastal Monitoring Data (해양모니터링 자료의 장기결측 보충 기법)

  • Cho, Hong-Yeon;Lee, Gi-Seop;Lee, Uk-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6
    • /
    • pp.333-344
    • /
    • 2021
  • Technique for the long-gap filling that occur frequently in ocean monitoring data is developed. The method estimates the unknown values of the long-gap by the summation of the estimated trend and selected residual components of the given missing intervals. The method was used to impute the data of the long-term missing interval of about 1 month, such as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Ulleungdo ocean buoy data. The imputed data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onitoring parameters, but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pattern was appropriately reproduced. Although this method causes bias and variance errors due to trend and residual components estimation, it was found that the bias error of statistical measure estimation due to long-term missing is greatly reduced. The mean, and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gap-filling model's RMS errors are 0.93 and 0.35~1.95,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