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추세

Search Result 49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한국사회 자살 통계에 대한 장기 추세 분석: 『경찰통계연보』 1953년~2015년 자살통계를 중심으로

  • Jeong, Seung-Hwa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83-125
    • /
    • 2017
  • 이 연구는 유신체제 이후 대외비 문서로 분류되어 학자들 사이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경찰통계연보』의 자살 통계를 통해 1953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살자수와 자살률의 시계열적 변화, 자살원인과 자살수단의 장기적인 변화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자살률의 장기시계열적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은 통계청 자살통계로만 파악했을 때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사회 1960~70년대 개발독재시기의 자살률 추이를 분석하였고 이 시기 자살률이 매우 높았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통계청 자살 통계와 경찰청 자살 통계의 비교 검토를 통해 1999년~2007년까지의 통계청 자살 통계가 수정 보완된 점을 지적하였다. 2000년대 초반 통계청 자살 통계의 급증과 관련한 기존 연구의 분석을 검토하면서 통계 작성의 행정적 변화가 자살 통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일본 타이어 산업전망

  • Lee, Gwang-Jae
    • The tire
    • /
    • s.134
    • /
    • pp.33-39
    • /
    • 1988
  • 본자료는 Exxon Chemical Japan Ltd.에서 최근에 조사한 1987~2000년대의 일본 타이어 산업의 장기전망에서 발췌한 것이다. 특히 본조사에서는 타이어 산업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동차보유대수 및 수급현황을 장기추정하였으며, 또한 자동차 및 타이어 수출입의 상호연관성 및 일본의 수입 타이어 점증추세 그리고 미국시장에서의 일본 타이어의 판매전망 등에 대하여 간단하게 요약분석 하였다.

  • PDF

Trends of the Storm Wave Appearance on the East Coast Analyzed by using Long-term Wave Observation Data (장기실측 파랑자료 분석을 통한 동해안 폭풍파 출현 추세)

  • Jeong, Weon Mu;Ryu, Kyong-Ho;Oh, Sang-Ho;Baek, Won-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8 no.2
    • /
    • pp.109-115
    • /
    • 2016
  • The trend in appearance of storm waves on the east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based on long-term wave data observed at six different stations. At the four wave stations of KIOST (Sokcho, Mukho, Hupo, and Jinha), no notable trend was foun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ith respect to the annual average and maximum values of the significant wave height. In addition, the annual number of the appearance of storm waves showed decreasing trend at the three stations except Jinha, where slightly increasing trend of the quantity was recognized. In contrast, at Donghea ocean data buoy of KMA, abruptly increasing trend was found for the annual average and maximum of the significant wave height and for the annual number of the appearance of storm waves as well, demonstrating lack of consistency in the observation data from Donghea buoy of KMA.

Characteristics of Inter-monthly Climatic Change Appeared in Long-term Seoul Rainfall (장기간의 서울지점 강우자료에 나타난 월간 기후변화 특성)

  • Hwang, Seok-Hwan;Kim, Joong-Hoon;Yoo, Chul-Sang;Jung, Sung-Won;Lee,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72-11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측우기 관측 자료계열(CWK)과 근대우량계 관측 자료계열(MRG)의 월별 장기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자료계열별로 연도별 시간축과 월별 시간축을 동시에 고려한 2차원 LOWESS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강우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4가지 강우특성에 대한 2차원 LOWESS 회귀분석 결과, 1980년 이후부터 강우의 양적 증가추세와 더불어 강우의 월간 변화폭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유수입가격(原油輸入價格)의 변동과 한국의 수출입(輸出入)

  • Kim, Jeong-Si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8 no.1
    • /
    • pp.95-129
    • /
    • 1998
  • 한국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본이동을 자유화함에 따라 환율의 급격한 변동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유수입가격(原油輸入價格)의 변동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원유수입가격의 변동이 수출입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1996년까지의 수요 중심의 월별 거시모형을 구축하여 국제원유가격변동으로 인한 원유수입가격 변동효과와 환율 변동으로 인한 원유수입가격 변동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수출의 경우 국제원유가격 상승시는 단기에 -0.06% 감소하다가 그 효과가 없어지는 데 비해, 환율 상승시는 단기에 -1.84% 감소하다가 장기에 0.36%까지 증가하는 J-curve 현상을 보이고 있다. 원유수입(原油輸入)의 경우 국제원유가격 상승시는 원유(原油)가 비경쟁적 수입이므로 단기에 3.91% 증가하여 장기까지 그 수준을 유지하며, 환율 상승시는 수출과 산업생산의 영향으로 단기에 -7.5%까지 감소하다가 점차 증가하여 장기에는 0.39%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원유외수입(原油外輸入)의 경우도 국제원유가격 상승시에는 장기에 -0.35% 감소하나 환율 상승시에는 수출과 산업생산의 영향으로 단기에 -4.60%까지 감소하고 장기에는 -0.15% 감소하고 있다. 결국 원유를 포함한 수출입은 국제원유가격 상승시보다 환율 변동시 더 큰 변동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