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추세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모니터링 자료의 장기결측 보충 기법 (Long-gap Filling Method for the Coastal Monitoring Data)

  • 조홍연;이기섭;이욱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333-344
    • /
    • 2021
  • 해양모니터링 자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기결측구간의 자료 보충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결측구간의 장기변동 추세 성분과 단기변동 잔차성분을 추정하여 조합하는 방식으로 결측구간의 미지 정보를 추정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울릉도 해상부이 자료의 수온 항목, 약 1개월 정도의 장기결측 구간의 자료를 보충하였으며, 부이에서 관측하는 자료 항목에 대해서도 결측 보충을 수행하였다. 보충된 자료는 항목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변동양상이 적절하게 재현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방법은 추세추정과 잔차 반영에 따른 편향오차와 분산오차가 발생하지만, 장기결측으로 인한 통계적인 측도 추정의 편향오차는 크게 절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측보충 모형의 추정 RMS 오차의 평균과 90% 신뢰구간은 각각 0.93, 0.35~1.95 범위이다.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의창;정임호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9년도 종합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535-549
    • /
    • 1999
  • 국민 1인당 우편이용량은 연간 85.4통(97년)으로 선진 외국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며, 최근의 통상우편 물량은 감소 추세로 반전되고 있다[조선991. 이러한 우편물량의 감소 추세는 전세계적인 추세로서, 미국은 99년, 캐나다는 98년부터 우편물량이 감소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 택배 서비스 등의 일반화로 소포물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단기적인 현상이기보다는 사회 전체의 정보화, 고도화 추세에 따른 장기적, 지속적인 경향이 될 것이다 [정통98]. (중략)

  • PDF

유도무기 전자파에 대한 위험요소 및 대책

  • 최창선;장석태
    • 국방과기술
    • /
    • 1호통권155호
    • /
    • pp.38-43
    • /
    • 1992
  • 유도무기는 개발에서 폐기까지 최소한 십년 이상이 소요되는 장기사업이며, 현재 전자파 환경이 급속히 복잡, 강력화 되는 추세일 뿐만아니라 적의 기만전술인 전자파 대항 기법의 발전추세를 비추어 볼때, 실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처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전기기폭장치(EED)의 오작동시 미칠 영향을 고려한다면, 전자파에 대한 안전을 최대한 강구해야함은 물론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전자파 시험평가시설 및 기술의 선진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월 및 연강수량의 경년변동 분석 (Analysis of the Secular Trend of the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Amount of South Korea)

  • 김광섭;임태경;박찬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7-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월 최대강수량, 강수일수, 일강수량 20 mm, 30 mm 및 80 mm 이상인 일수의 장기추세의 통계적 유의성을 비모수 검정법인 Mann-Kendall 검정기법과 62개 지점의 1905년부터 2004년 기간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반도 강수특성은 연강수량과 월 최대강수량의 증가, 강수일수 감소 그리고 20 mm, 30 mm, 80 mm 이상의 일강수를 가진 강수일수 증가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자료의 월별 추세분석 결과는 1, 5, 6, 7, 8, 9월 강수량과 월 최대강수량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3, 4, 10, 11, 12월에는 감소추세를 보인다. 또한 6, 7, 8, 9월의 일강수량 20 mm와 30 mm 이상인 강수일수는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Mann-Kendall 검정결과 90%와 95% 유의수준에 대하여 유의한 증감추세를 가지는 지점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 변수의 선형 증감에 따른 장기 변동보다 자료들이 가지고 있는 분산형태의 불확실성이 매우 우세함을 의미하므로 수자원 계획 등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생명보험사 및 연기금의 대체투자에 관한 연구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중심으로 -

  • 한덕희
    • 재무관리논총
    • /
    • 제12권1호
    • /
    • pp.163-182
    • /
    • 2006
  • 본 연구는 장기투자자인 생명보험사 및 연기금의 투자다변화 일환으로 장기투자의 성격에 부합하고 안정적이며 높은 수익이 기대되는 대체투자 중 사회간접자본 자산에 대한 투자방안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다음의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생명보험사와 연기금의 금융부문 수익률과 사회간접자본 투자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사회간접자본 투자는 변동성이 큰 주식에 비하여 위험은 낮고 안전자산인 채권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나타내었다. 둘째, 생명보험사 및 연기금이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참여할 경우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대한 정부의 수입보장 및 국내 인프라 사업의 사업수익률 수준과 타기관의 목표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15% 수준의 투자수익률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국내 주요 사회간접자본 사업의 투자수익률을 볼 때 국가관리사업과 자체관리사업 모두 투자수익률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장기적으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목표수익률의 재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현실적인 간접투자상품의 한계 및 직접투자시의 비용절감효과 등으로 대규모투자자의 경우 전문성을 확보하여 직접투자방식의 참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중소규모투자자의 경우 시장상황 및 위험을 고려하여 펀드를 조성하여 투자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 사회간접자본 간접투자 시장이 활성화되고 규모가 커지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간접투자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서울 지역에서 분진에 대한 장기 추세 연구 (Long term trend for particular matters in Seoul)

  • 박혜련;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5호
    • /
    • pp.765-7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분진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micrometer) 이내의 것을 대상으로 실제로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락 요인을 제외한 분진을 대상으로의 순수한 장기 추세를 연구하였다. 자료는 1996년에서 2000년까지 서울시의 기상 변수들 (최대기온, 평균습도, 최대풍속, 일사량)과 27지점에서 얻은 분진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이내의 것을 이용한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분진과 비선형 관계를 보이는 기상 변수들의 회귀 스플라인을 이용하여 계절성을 통제한 일반화 부가모형을 세웠다. 그 결과 증가가 아닌 감소하는 순수 장기 추세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NOAA-AVHRR 자료로부터 유도된 남한지역 LAI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f Leaf Area Index Derived From NOAA-AVHRR Satellite Image Data for South Korea)

  • 김광섭;임태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08-911
    • /
    • 2005
  • 지표와 대기사이에서 식물의 광합성 및 증발산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엽면적지수는 식생밀도를 나타낼때 사용되는 식생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NOAA-AVHRR 자료를 사용한 엽면적지수를 사용하여 남한지역 엽면적지수의 시공간변화도와 주기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소양강댐유역, 안동댐유역과 주요 도시의 엽면적지수의 월별, 년별, 계절별 추세를 분석하였다. 추세분석결과 월추세 분석에서는 장기간의 뚜렷한 변동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겨울과 봄 보다는 여름과 가을에 식생의 밀도가 더 높은 계절적인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시간변화 분석결과 계절변화를 제외한 특별한 장기변동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엽면적지수의 공간 변화는 정규식생지수가 보여주는 지형이나 위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변화양상을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농지 및 삼림 등의 인위적 조성으로 인한 엽면적지수의 공간변화도 양상과 관계있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