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적성능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Long-Life Performance Test & Evaluation for Hydrazine Decomposition Catalyst (하이드라진 분해촉매 장기성능시험 및 평가)

  • Kim, In-Tae;Kim, Jung-Hun;Lee, Jae-Won;Jang, Ki-Won;Yu, Myoung-Jong;Kim, Su-Kyum;Lee, K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4a
    • /
    • pp.110-113
    • /
    • 2007
  • For the development of hydrazine decomposition catalyst, Hot-fire test to verify performance of catalyst is required. The purpose of a long-life firing test is to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a design to perform for the maximum duration or cycles of oper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progress of the catalyst performance test, explains the test matrix, and presents the test results.

  • PDF

Improving streamflow predictability in a land surface model (지표수문모형의 하천유출 모의성능 개선)

  • Hyun Il Choi;Yung K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5-345
    • /
    • 2023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뭄과 홍수 등의 수재해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기후예측모형과 연계하여 수문 및 에너지 순환과정에서 하천유출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예측이 가능한 지표수문모형(Land Surface Model, LSM)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LSM은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유출을 모의할 수 있어 수재해에 관한 예측과 정보 제공에 유용하므로, 최근 수재해 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한 도구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형 CWRF(Climate-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와 연계되어 물-에너지 순환모의가 가능한 최신 LSM 중 하나인 Common Land Model(CoLM)을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모의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LSM은 지상의 물과 에너지 순환과정이 각 단일 격자의 수직적인 모의과정으로 제한되고 있었지만, 현재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많은 LSM에서 보다 현실적인 물과 에너지 변화를 모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또는 그로 인해) 정교한 수학적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개선된 최신 LSM은 오히려 복잡한 매개변수 체계, 매개변수 추정, 입력자료, 초기 및 경계조건 등에서 비롯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모형의 주요 매개변수값의 추정은 모의결과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LSM의 모의에서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이다. 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모형 매개변수는 관련자료의 부재 또는 관측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검보정 과정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므로, 유역의 수문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모형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의목적에 따라 적절한 검보정 목적함수의 선정도 요구된다. CoLM과 같이 다양한 매개변수가 사용되는 LSM에서는 모의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모의목적에 따른 모형의 예측도 향상을 위해서 모의결과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의 검보정이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지표수문모형인 CoLM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CoLM의 주요 매개변수 검보정에 필요한 적절한 목적함수의 적용을 통해 CoLM 장기하천유출 모의결과의 예측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 PDF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ensile Performance for the Polyurethane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 Periodically Exposed to Chemical Degradation (회귀 분석을 통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장기 화학 열화조건에 따른 인장성능 변화 지표)

  • Ju, Hee-Jeong;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5
    • /
    • pp.455-46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ensile strength performance of the polyurethane coating material used as the waterproofing material in concrete structures. A linear regression equation is proposed to establish a correlation on the tensile strength of polyurethane coating membrane against periodic exposure to chemical degradation. The polyurethane film membrane showed a minimum strength of 23% to a maximum of 38% when subjected to chemical degradation. The elongation rate showed a relation with the tensile strength deterioration rate of at least 15% to 22% at maximum, and the proposed regression equation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degree of performance change of the polyurethane coating membrane under chemical degradation condition.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Effects Factors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park, Jiyeon;Jung, ilwon;Kim, Mina;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0-460
    • /
    • 2018
  • 댐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벌(이하 시특법)"에 따른 댐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의 안전성평가 중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댐 시설물을 평가 수행 시 주요한 평가 항목이다. 기존의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가능최대강수량 발생 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에 대한 평가 여부만 판단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는 장기적 관점의 추가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가능최대강수량으로 event적 평가를 수행하는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에서 기존평가항목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장기적 관점의 추가적인 기후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함께 적용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한다. 장기적 관점의 기후영향인자라 함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결과에서 30년동안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상 댐의 운영에 부담을 야기할 것으로 판단되는 인자를 말하는 것이며,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자료를 활용하여 기후인자의 장기적 변동성을 추정하고자 하며, 이때 활용한 지표로는 월최대강수량, 연강우강도 및 댐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소기온을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월최대 강수량값을 산출하였고, 1년 동안 발생한 강우의 일수 및 강수량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강우강도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 평가 시 댐 상태에 대하여 고려하기 때문에 댐의 외부상태에 영향을 주는 최소기온을 활용하여 댐별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2011~2040년(S1), 2041년~2070년(S2), 2071년~2100년(S3)기간으로 나누어 장기간 기후에 대한 영향 평가를 수행하여 1종 댐 시설물의 기후영향인자 값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후영향인자를 기존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항목과 함께 평가 될 수 있도록 AHP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재산출하였고,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하는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Unified Waterproofing-Root Resistance Membrane layer of the Green Roof System (인공지반 녹화용 방수방근 복합공법의 시공환경을 고려한 성능평가 시스템 연구)

  • Park, Chang-Hwa;Oh, Sang-Keun;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1 no.2
    • /
    • pp.189-199
    • /
    • 2011
  • Installation of a proper root barrier in a green roof system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tect the concrete slab of roof and the root penetration in the waterproofing layer. To select the proper root barrier materials and method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ing the waterproofing-root barrier system in green roof construction site. Therefore, we suggested as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es four kinds of performance requirements; root penetration, chemical attack by chemical agent or fertilizer, load impact by soil depth and size of plant, and water pressure. The related four test methods were suggested for the inspection of these performance indexes. In this research, we could suggest for kinds of test methods as standard test method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waterproofing-root barrier for greening roof system.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of a GFRP Slab Bridge (GFRP 슬래브 교량의 장기성능 평가)

  • Ji, Hyo-S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4 no.3
    • /
    • pp.349-360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a detailed assessment of the structural safety, serviceability, capacity rating and long-term performance of a glass fiber-reinforced polymer (GFRP) slab bridge superstructure. This first all-GFRP slab bridge was installed in Korea on May 2002. The GFRP slab bridge is a simply supported, its length is 10.0 m, and is designed to carry two-lane traffic and has an overall width of 8.0m. The GFRP slab bridge is a sandwich structure with a corrugated core, fabricated by hand lay-up process with E-glass fibers and vinyl ester resins. The assessment of long-term performance for the GFRP slab bridge in 2004, 2011 includes a field load testing identical to that performed in 2002. The assessment indicates that the GFRP slab bridge has no structural problems and is structurally performing well in-service as expected. The assessment may provide a baseline data for the capacity ratings assessment of the GFRP slab bridge and also serve as part of a long-term performance of all-GFRP bridge superstructure.

Characteristics of Silicone Rubber Polymer Insulator According to Variation of Shapes (실리콘 고무 폴리머 애자의 형상의 변화에 따른 특성 연구)

  • Kang, Dong-Pil;Park, Hoy-Yul;Ahn, Myeong-Sang;Myung, In-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e
    • /
    • pp.31-34
    • /
    • 2003
  • 폴리머 애자의 장기성능예측을 위하여 많은 수단과 측정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머 애자에 있어서 성능저하는 대부분 하우징 재료의 열화에 기인되고 있어 예측 및 진단목적의 연구가 하우징 재료의 가속열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폴리머 애자는 초고압 절연성능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송배전 설비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애자의 형상과 장기성능과의 관계가 정량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아 개발하는 회사는 물론 사용하는 전력회사가 함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폴리머 애자의 형상이 폴리머 애자의 장기 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를 비교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규칙 교대 갓, 불규칙 교대 갓의 폴리머 애자를 조립방식으로 제작하고, 규칙 교대 갓의 폴리머 애자를 일체형 진공사출 방식으로 제작을 하여 건조섬락전압, 주수섬락전압, 오손섬락전압을 측정하였다. 오손섬락전압은 주수섬락에 비하여 60% 정도 감소함을 보였고 불규칙한 교대 갓의 폴리머 애자의 경우 특성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폴리머 애자의 경우 소재의 우수한 특성도 중요하지만 형상적인 인자도 중요한 설계요소이므로 최적화 방안이 요구된다.

  • PDF

Plant-control Simulation Analyzer (CANDU형 원자력발전소 - 제어모사해석기의 개발)

  • 김성배
    • Nuclear industry
    • /
    • v.16 no.1 s.155
    • /
    • pp.70-84
    • /
    • 1996
  •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CANDU 설계분석시스템 구축을 장기목표로 한 플랜트-제어모사해석기는, 단기적으로는 플랜트의 동적 성능 분석에 의한 원자력 엔지니어들의 개념교육, 발전소 운전원들에 대한 현상학적 발전소 거동이해, 종합적 엔지니어링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R&D 도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며, 장기적으로는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공유를 통한 CADD,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플랜트설계분석시스템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 기반기술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특히 가상현실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값비싼 실제 플랜트시설 없이 다양한 운전상황하에서의 플랜트의 성능과 상태를 현장감 있는 환경을 구성해서 모니터링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 PDF

기동장비 발전 동향과 국내 현황

  • Jeong, Hak-Ji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300
    • /
    • pp.48-55
    • /
    • 2004
  • 전차와 같은 복잡한 무기체계의 경우 요구성능에 따라 적용되어야 할 기술 및 부품의 원천 확보가 개발성패를 좌우하므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무기체계뿐만 아니라 핵심기술과 부품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의 수립도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일관성 있는 방위산업정책을 유지하고 업체에게 발전방향과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업체는 중/장기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사용군에서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성능의 장비를 공급할 수 있다. 우리 나라 방산업체들도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높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방위산업 구조 재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Study of the Long-Term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oadbed on Concrete Track of High-speed Railway (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상 토공노반의 장기거동 특성 연구)

  • Choi, Chan-Yong;Jung,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4
    • /
    • pp.8-16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long-term behavior of a roadbed using high-speed railway concrete track and roadbed measurement data and evaluated the long-term performance of the track and roadbed. Recently, high-speed railway track type has been adopted as a concrete slab. On the other hand, the concrete track is vulnerable to roadbed settlement. In the case of gravel tracks, it is easy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by maintenance even if the roadbed settl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crete track, if excessive settlement of the roadbed occurs, cracks are generated continuously on the slabs and sleepers, resulting in greatly reduced usability.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only by partial maintenance. In this paper, a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was carried out on a concrete track during operation by monitoring the measurement data of sensors buried from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for approximately 3 years after the high-speed railway opene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include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rack/roadbed when the train passes, long-term track and roadbed performance evaluation, analysis of the track/roadbed effect on long-term settlement and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settlement. The trail response of KTX-Sancheon was greatest in the track/roadbed performance evaluation by train. The results of the long-term track and roadbe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measured within the standard values. The track and roadbed performance impact assessment with long-term settlement was strongly related to TCL settlement. The influences of the water content and groundwater level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external factors of long-term settlement. Through such a method, the stability of a track/roadbed can be secu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