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생태연구

Search Result 4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in Korea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Community (국가장기생태연구 커뮤니티의 개인정보 관리)

  • Huh, Taesang;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2
    • /
    • pp.2274-2281
    • /
    • 2016
  • In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community, personal inform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ollaboration of data management and data usage in inter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as well as on the national level. If lots of personal information was disclosed, collaborative researchers are useful to carry out research cooperation, whereas, information providers tend to be burdened to disclose it. LTER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both maximum personal information required by a community and minimum person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unrelated people due to the scal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 number of the constraints on disclosure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distribution of the laws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is article, we analyze international ecological metadata standard, EML, and trends i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hroughout inter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latforms and propose a system model capable of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related domestic laws for the international data exchange through design and implementation.

Seasonality of the Community Structure in Benthic Communities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서해 중부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구조의 계절성)

  • 유재원;홍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69-370
    • /
    • 2000
  • 생태계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통하여 축적되는 장기변동 자료와 이에 대한 관찰은 의미있는 가설의 전개와 생태학적 개념의 타당성에 대한 검정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Franklin, 1987). 최근들어, long-term scale에서의 생태계 변화는 생태학자들 간에 주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자들은 인천 연안의 대조차 간석지에서 수행되고 있는 척전 갯벌 program을 통하여 간석지 대형 저서 동물 군집의 장기 변동 (1989 ∼ 현재)을 관찰, 분석하고 있으며, 그 첫 단계로서 계절성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중략)

  • PDF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 허성희;조춘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8-299
    • /
    • 2000
  • 동해 남부 연안은 남해, 서해와는 달리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며 외해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남해, 서해와는 상당히 다른 어류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동해 연안 어류에 관한 연구가 거의 매우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가 실시된 고리 주변해역은 1978년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 가동 이후 현재 4호기가 가동되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배출된 온배수는 주변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주변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략)

  • PDF

Analysis of Phenological Changes by Phenocams on Some Major Species Distributed in Wetland and Forest Ecosystems in Korea (Phenocam을 활용한 국내 습지 및 산림생태계 대표 수종의 계절적 변화 분석)

  • Minki Hong;Hyohyemi Lee;Jeong-Soo Par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4
    • /
    • pp.226-236
    • /
    • 2023
  • As climate change intensifi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plant phenology has increased, leading to a surge in research employing automated video recording devices like Phenocams. In this study, using the Phenocams ope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we examined the trends in plant phenological changes across diverse ecosystem types in South Korea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s with climate factors. The patterns of plant phenological changes varied by region and tree species.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typically show an overall increase in their growth period, positively correlating with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during winter. However, uniquely, for Abies koreana on Hallasan Mt., a higher amount of precipitation in August leads to an earlier end of season (eo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recent phenomenon of dying A. Koreana seems necessary. beyond the analysis, solutions for handling missing data issues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ere proposed. Furthermore, to expand future research scope and encompass diverse ecosystem types, a suggestion to combine Phenocam research with satellite observations was presented.

Annual Variations of Litterfall Production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at the Mt. Keumsan LTER Site (금산 장기생태연구 조사지 낙엽활엽수림 낙엽낙지량의 연변동)

  • Kim, Choonsig;Lim, Jong Hwan;Lee, Im Kyun;Park, Byung Bae;Chun, Jung 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2 no.2
    • /
    • pp.210-215
    • /
    • 2013
  • Litterfall production represents a major contribution of carbon and nutrient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itterfall production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at the Mt. Keumsan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Southern Korea. Littefall was collected monthly or bimonthly from the site for 7 years from 2004 to2010. Leaf and reproductive (catkins) litters showed a seasonal variation, but litters of needle, branch, and barks were not changed across the seasons. Annual leaf litter of Quercus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ut that of C. cordata, Chamaecyparis obtusa, and Pinus thunbergii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for 7 years (p>0.05). Annual average litterfall production was 5,223 kg/ha, but annual variations were very large with minimum of 4,110 kg/ha/yr in 2004 and maximum of 6,002 kg/ha/yr in 2007. Total litterfall comprised of 2,323 kg/ha/yr in Q. serrata, 442 kg/ha/yr in C. laxiflora, 157 kg/ha/yr in C. cordata, 131 kg/ha/yr in Acer pseudosieboldianum, 390 kg/ha/yr in other deciduous tree species, 74 kg/ha/yr in P. thunbergii, 37 kg/ha/yr in C. obtusa, 672 kg/ha/yr in branches, 515 kg/ha/yr in miscellaneous, 448 kg/ha/yr in reproductive parts, and 54 kg/ha/yr in bark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litterfall production of the Mt. Keumsan LTER site was yearly fructurated with the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leaf or total litterfall and annual mean temperature if no disturbance such as a typoon, and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Korean LTER sites.

장기선 음향텔레베트리에 의한 통영해역에서의 조피볼락의 이동범위 측정

  • 신현옥;태종완;명정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4-75
    • /
    • 2003
  • 인공어초를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조사하는 수단으로는 자망 등에 의한 어획실험, 잠수조사, 표지방류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동중인 어류의 생태를 파악하는데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이동 중인 어류에 초음파 핑거를 부착해 추적하는 방법이 어류의 생태 조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영바다목장에 방류한 어류의 이동범위 및 일주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기선 음향텔레베트리 기법을 사용하여 2003년 3월 20일부터 3월 26일까지 통영바다목장 해역에서 실험을 행하였다. (중략)

  • PDF

Performance Evaluation for Parameter Optimization of TANK Model According to Runoff Observations with Different Intervals (실측 유량 자료 간격에 따른 TANK 모형 매개변수 최적화 성능 평가)

  • Lee, Do Gil;Kang, Moon Seong;Song, Jung-Hun;Kim, Ky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3-423
    • /
    • 2017
  • 수자원 계획 수립이나 관리를 위한 강우-유출 현상 해석에는 장기 유출 모형이 이용된다. 장기 유출 모형은 모형의 보정 과정이 요구되며, 유역별로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유역에 적합하게 매개변수를 보정하여야 한다.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주로 연속된 실측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일부 측정망에서는 일별 유출량 자료가 아닌 불연속적인 유량자료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연속적인 유량자료의 매개변수 보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게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정 3단 TANK 모형을 대상으로 불연속적인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고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유량자료는 국토교통부에서 측정하는 일별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2일, 4일, 6일 8일, 10일, 15일 간격의 자료를 생성하여 적용하였으며, 최적화 기법으로는 SCE-UA(Shuffled Complex Evolution method developed at 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문 측정망의 운영에 있어 효율적 측정 주기 설정과 총량측정망 유량자료와 같은 불연속적 유량자료의 장기유출모형 최적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An Ecological Engineering Approach in Evaluating Protected Area at Local Scales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에서 생태공학 도입과 활용)

  • Koo, Kyung Ah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2
    • /
    • pp.144-155
    • /
    • 2020
  • This research developed an approach to identify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t local scales and explained how the results of this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extend the protected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While most developed countries have considered various biotic and abiotic factors, ecological processes, migration routes, habitat connectivity, ecosystem services, and etc. to determine the protected areas, ROK has considered a few factors focusing on biodiversity, landscape, and the habitats of endangered organisms. However,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our nature, we nee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ecosystem factors and interactions among them at local scales in designating protected areas. Forthis, we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based on the ecological engineering approach and then explained how the results of this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extend the protected areas. In particular, we considered future land-use and climate change in determining the priority areas for novel protected areas. Our research suggested an effective methodology 1) to include various ecosystem factors and 2) to consider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finding the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nd prioritizing these areas. However, our approach has limitations on the real-world applications due to the lack of fundamental information and data on our ecosyste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in the real-world applications, we need various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result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onitoring data, and both current and future spatial environmental data.

Change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Area over the Last 20 Years (아고산 침엽수림 분포 면적의 20년간 변화 분석)

  • Kim, Eun-Sook;Lee, Ji-Sun;Park, Go-Eun;Lim, Jo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1
    • /
    • pp.10-2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term area changes in the subalpine coniferous forests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ubalpine forest ecosystem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We analyzed 20 years of time-series Landsat satellite images (mid 1990s, mid 2010s) for change detection of coniferous forests and compared with the long term changes of climate information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in the study area. As a result, the area of coniferous forests in the study region decreased by 25% over 20 years. The regions with largest changes are Seoraksan, Baegunsan-Hambaeksan-Jangsan, Jirisan, and Hallasan. The region with the largest decrease in area was Baegunsan (reduced area: 542 ha), and the region with large decrease in area and the largest rate of decrease was Hallasan (rate of decrease: 33.3%). As the Jeju region has the most rapid temperature rise, it is projected that Hallasan is the most vulnerable forest ecosystem affected by climate chang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overall coniferous forests in the subalpine region are declining, but the trend varies in each region. This national and long-term information on the change of coniferous forests in the subalpine region can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for the detailed survey of endangered subalpine coniferous trees in the future.

Uncertainty of the operational models in the Nakdong River mouth (낙동강 하구 환경변화 예측모형의 불확실성)

  • Cho, Hong Yeon;Lee, Gi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
    • /
    • 2022
  • 낙동강 하구 환경/생태 복원을 위하여 "해수유입"으로 하구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해수 유입 규모와 빈도에 따른 생태환경변화를 예측하는 연구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기간의 해수유입에 의한 흐름 및 염분 확산범위 예측과 더불어 보다 장기간의 지형변화, 수질환경 변화, 생태환경 변화 등에 대한 예측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그 예측의 대부분을 수치모델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수치모형을 이용한 단기 예측은 가까운 미래에 대한 입력조건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입력조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포함되고, 환경생태모형의 불확실성에 따른 예측 한계 등으로 인하여 오차가 누적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활용에 크게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운영과정에서 어떤 분산, 편향 오차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신뢰수준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모델의 적절한 운영기법이 요구된다. 모델은 관심을 가지는 자연현상에 대한 근사(approximation)이고, 예상하지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data assimilation) 과정이 운영모델에서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론적인 기반이 탄탄한 유체역학 기반 기상예측의 경우에도, 가용한 모든 지점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자료 동화과정을 통하여 모델 예측 결과를 개선하여 나가는 과정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이 포함하는 중요한 개념은 수치모델이 가지고 있는 (예측 수준의) 한계를 인정하고, 수치모델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그 한계를 저감하여 나가는 과정이다. 모니터링은 모델의 한계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모델링과 모니터링의 불가피한 상호의존 관계를 의미하는 이 개념은 단기간의 흐름, 염분 확산 예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장기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생태환경변화 모델에도 적용이 된다. 즉각적인 변화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야 하는 생태학적인 변화는 보다 다양한 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어떤 측면에서는 모델보다는 적절한 빈도와 항목에 대한 관측계획 수립(monitoring design)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인 질량보존(mass conservation)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은 다양한 현실적인 인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델의 한계를 인정하고, 모니터링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불확실성을 저감하는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