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무게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인 기준여성 체적소형 모의체 개발 (Development of the Reference Korean Female Voxel Phantom)

  • 함보경;조건우;염연수;정종휘;김찬형;한민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41-49
    • /
    • 2012
  • 한국인 기준남성 체적소형 모의체 HDRK-Man은 서양인과는 구별되는 한국인에 대한 내 외부피폭 관련 방사선방호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하지만 유효선량을 그 정의에 맞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남녀 한쌍의 인체 전산모의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HDRK-Man과 한 쌍을 이루는 한국인 기준여성 체적소형 모의체 HDRK-Woman을 개발하였다. HDRK-Woman의 개발을 위하여 한국인 여성사체로부터 획득된 고해상도 연속절단면 컬러해부영상을 사용하여 제작된 체적소형 모의체의 키, 몸무게 및 장기무게를 한국인 기준자료에 맞게 조정하였다. 전반적인 조정 절차는 ICRP의 체적소형 기준모의체 개발 시 사용된 방법에 따라 키 조정, 뼈 무게 조정, 장기무게 조정, 몸무게 조정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특별히 기존에 사용되던 장기무게 조정 방법의 반복된 절차를 간소화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장기무게 조정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최종 완성된 HDRK-Woman의 체적소 해상도는 x, y, z축 방향 순으로 $2.0351{\times}2.0351{\times}2.0747\;mm^3$이며, 체적소 행렬의 크기는 $261{\times}109{\times}825$이다. 또한 유효선량 계산 시 필요한 장기들을 포함한 총 39개의 장기 및 조직이 표현되어 있다. 본 연구는 HDRK-Woman을 MCNPX 몬테칼로 코드에 입력하여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자빔에 대한 장기선량을 계산하였으며, HDRK-Man의 장기선량과 합산하여 한국인에 대한 유효선량 환산계수를 계산하고 ICRP 기준남녀 체적소형 모의체의 유효선량과 비교하였다. 고해상도 컬러해부영상을 기반으로 제작된 기준한국인 성인여성 체적소형 모의체 HDRK-Woman은 장기 및 조직이 정밀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일부 조정이 불가능한 장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장기 및 조직들이 한국인 기준자료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조정되었다. 따라서 기준한국인 성인남성 체적소형 모의체 HDRK-Man과 함께 한국인에 대한 장기선량 및 유효선량을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인삼의 식품안전성 연구 (STUDIES ON THE SAFETY OF KOREAN GINSENG INGESTED AS FOOD SUBSTANCE)

  • 홍순근;이송재;김영숙;전병선;임창형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99-213
    • /
    • 1984
  • 홍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사료로 $60{\~}80g$ 의 Sprague Dawley Rat(female) 12마리를 1군으로 하여 $1{\~}6$개월간 사육하였다. 사육기간동안. 체중증가, 혈청의 생화학적 분석, 장기(심장 폐, 신장, 간. 비장, 뇌)의 무게차 이들 장기의 병리조직검사를 하였다. 인삼 사육관과 대조군의 성장율, 장기 무게와 혈구수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혈청중의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군과 유사하였고 total lipid, free fatty acid는 대조군에 비해 약간씩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험군의 total protein, phospholipid, HDL-cholesterol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병리조직검사에서도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특히 대조군의 비장에서는 조혈기능을 지닌 거핵구세포가 다수 출현하였으며 인삼 투여기간과 용량에는 비례하지 않았다. $F_{1},\;F_{2}$세대의 적혈구, 백혈구, 장기 무게와 병리조직검사는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외형적 기형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고려인삼은 건강식품으로도 매우 안전하며 조혈기능도 촉진시킴을 시사해 준다.

  • PDF

섬유근접센서를 이용한 장기투약자의 복약 관리 시스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atients Requiring a Long-term using Textile Proximity Sensor)

  • 임도휘;호종갑;유수한;이유정;민세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83-88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장기투약자의 복약 관리 시스템 개발의 기초 연구로 Textile proximity pressure sensor를 개발하였고, 약통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약의 복용 여부를 판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총 2가지로, 약의 개수에 따른 baseline검출 실험과 약 한알의 무게 도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5 point의 이동평균필터(MAF: Moving average filter)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얻은 결과는 차후 장기 투약이 필요한 환자로 하여금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도록 하여 만성질환의 완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산 복합물 급여가 육계 생산성, 장기무게, 혈액내 면역적 성상 및 장내 융모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Organic Acid Mixture on Growth Performance, Organ Weight,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 and Intestinal Villi Morphology in Broilers)

  • 장해동;유종상;김효진;신승오;황염;주천상;진영걸;조진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2
    • /
    • 2008
  • 본 연구는 유기산 복합제(lactic acid 12%, formic acid 9%, citric acid 5%, butyric acid 5% and phosphoric acid 6%)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기무게, 장내 융모 형태 및 혈액내 면역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일령 Arbor Acre Broiler(male) 480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기초 사료), 2) OA1(기초 사료 + 유기산 복합제 0.1%) 및 3) OA2(기초 사료 + 유기산 복합제 0.2%)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동안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장기 무게에서는 근위 무게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OA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Linear effect = 0.034). 하지만, 비장과 소장 무게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내 면역적 성상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의 융모에서는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OA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Quadratic effect = 0.050).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육계에 0.2% 유기산 복합제를 급여시 근위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0.1% 급여 시는 소장 융모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부신홀몬과 식이가 당뇨병 백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renal Hormones and Diets on Diabetic Rats)

  • 주진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2호
    • /
    • pp.63-69
    • /
    • 1989
  • 정상백서를 부신절제한 후 각각의 부신호르몬을 투여하여, 고탄수화물, 고지방, 고단백질식이가 부신절제 백서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혈당과 뇨당의 변화 혈당은 부신절제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부신절제된 백서는 고탄수화물식이를 했을 경우 혈당이 가장 높았고, corticosterone을 투여하면 고지방, 고단백 식이를 했을 경우 혈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aldosterone을 투여하면 고지방식이를 했을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다른 식이의 경우는 큰 변화가 없었다. 2) 인슐린과 c-peptide의 변화 인슐린 농도는 corticosterone을 투여하면 고탄수 화물식이와 고단백식이를 했을 경우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c-peptide농도 역시 corticosterone을 투여하면 감소하였고, aldosterone 투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발 함량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부신절제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중성지방 함량은 corticosterone을 투여하면, 고지방, 고단백식이를 했을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4) 체무게와 식이섭취량 체무게와 식이섭취량은 부신절제로 인하여 감소 하였으나, 고지방식이를 했을 경우는 부신젤제효과가 작았다. corticoxterone을 투여하면 체무게와 식이섭취량이 증가하며, aldosterone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식이효율은 aldosterone과 corticoxterone의 투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장기무게 Corticoxterone의 투여로 간의 무게가 식이에 상관없이 증가하였다. 그외의 콩팥, 비장, 고환의 무게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방사선 조사된 국내 야생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 장기무게 및 비장세포 세포고사 (Organ Weights and Splenocytic Apoptosis in γ-irradiated Korean Dark-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 주현진;최훈;양광희;금동권;김희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68-173
    • /
    • 2015
  • 이 연구에서 후쿠시마 원전 폭발과 같은 사고 발생 시 방사선이나 방사성 핵종에 의한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야생 동물지표로서 성축 등줄쥐(A. a. coreae)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야외 채집한 등줄쥐를 실험실에서 교배하고 생산된 새끼가 약 40주령이 되었을 때 털 색깔, 외부형태, 두개골, 치아 특성을 관찰하고 분류학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방사선에 대한 신체 반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0, 0.5, 1, 2 Gy) 24시간 후에 장기무게를 관찰한 결과 흉선만이 감소하였다. 방사선에 민감한 장기 가운데 하나인 비장 세포고사는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0.5 Gy 조사된 개체에서는 감소하였다. 앞으로 야생 등줄쥐 신체 장기별 방사선 민감도 차이를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해석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사고시 신체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 도출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장기 투약대상자의 약물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약상자의 구현 (Developing a Smart Pillbox to Improve the Medication Adherence of the Patients Requiring a Long-term administration)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11-617
    • /
    • 2013
  • 결핵은 꾸준한 복약만 이루어진다면 완치될 수 있는 병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결핵 환자 발생률과 사망률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결핵과 같은 장기 투약대상자들이 정기적이고 꾸준하게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약상자를 개발한다. 개발된 스마트 약상자에는 무게 측정을 통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0.1g 단위의 정밀한 무게 측정이 가능한 로드셀이 장착되었다. 그리고 무게 측정 결과 근거로 환자가 약을 복용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별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였다.

식이내(食餌內) Cadmium 수준차이(水準差異)에 따른 생쥐 체내(體內)에서의 Cadmium 축적(蓄積)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Dietary Cadmium Levels on Cadmium Accumulation in Feeding Mice)

  • 김성조;백승화;국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3
    • /
    • 1991
  • Cd첨가량(添加量)과 Cd원(源)을 달리하여 조제(調製)한 사료(飼料)로 생쥐를 12주간(週間) 사육(飼育)한 후(後) 체중(體重)과 생쥐내 장기(臟器)의 무게에 따른 성장속도(成長速度)를 조사(調査)하고 생쥐의 장기(臟器)들 즉(卽), 신장(腎臟), 간(肝), 심장(心臟), 허파, 비장(脾臟) 및 전혈중(全血中)에 축적(蓄積)되는 Cd축적작용(蓄積作用)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사육시기(飼育時期) 9주(週)째에 생쥐의 체중증가(體重增加)는 Cd첨가수준(添加水準)에 따라 달라져서 사료중(飼料中)의 Cd을 많이 첨가(添加)하여 사육(飼育)하는 생쥐일수록 체중(體重)이 적어졌다. 2. 장기(臟器)의 무게는 Cd무첨가(無添加) 사료(飼料)로 사육(飼育)한 생쥐가 신장(腎臟), 간(肝), 심장(心臟), 비장(脾臟) 등(等)의 장기(臟器)의 종류(種類)에 관계(關係)없이 무거웠다. 그러나 Cd을 첨가(添加)하여 생육(生育)한 생쥐에서는 Cd첨가수준차이(添加水準差異)에 따른 장기(臟器)의 무게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하기 어려웠다. 3. 장기내(臟器內)에 Cd축적작용(蓄積作用)은 신장(腎臟)과 간(肝)에서 가장 높았고 심장(心臟)이 그 다음이었으며 축적농도(蓄積濃度)는 사료중(飼料中)의 Cd함량(含量)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비례적(比例的) 관계(關係)를 나타내었다. 4. 사료중(飼料中) Cd농도(濃度)가 낮을수록 모든 장기(臟器) 및 혈액(血液)에 축적(蓄積)되는 비율(比率)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Silicone Fluid들이 실리콘 고무의 절연특성에 미치는 영향(1) (Effects of Silicone Fluids on Insulation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 강동필;박효열;안명상;김대환;이후범;오세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방전 플라즈마연구회
    • /
    • pp.40-43
    • /
    • 2003
  • 전기방전에 대한 shed 재료의 열화내성과 우수한 발수성의 장기간 유지특성은 폴리머 애자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들이다. 애자 제조시 무결점 성형성 또한 중요한데 열화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량의 ATH의 첨가가 수반되기 때문에 적절한 process oil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사용하는 오일의 종류와 량에 따라 옥외절연물의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표면발수성이나 방전내성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학적 구조와 정도가 다른 몇 가지 실리콘 fluid들을 실리콘 고무에 처방하여 기본물성과 초고압 옥외절연물의 shed 재료로서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방전열화내성과 표면발수성의 회복특성을 평가하였다. 실리콘 고무의 무결점 사출성형에 가소도가 중요한데 동일한 무기물 첨가조건에서 유사한 가소도를 갖게 하는데 필요한 량은 fluid들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PDMS는 점도는 낮지만 분자량이 커서 많은 량이 첨가되어 기계적 특성저하가 크게 일어났다. 코로나 처리후 발수성 회복특성은 fluid들의 분자크기와 반응기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영향을 받았으며 분자가 클수록 초기회복속도는 다소 느려도 최종의 상시발수성은 다소 높게 유지되었으며 2일 이내에 거의 초기 접촉각으로 회복되었다. 내아크성은 무게손실이 적을수록 오차범위도 작은 안정된 특성을 보였으며 fluid들의 종류에 따른 무게손실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트래킹 방전에 의한 무게 감소는 fluid의 분자가 크면서 페닐기를 가진 fluid들이 첨가된 고무가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동물실험에 의한 녹차음료의 카드뮴 및 납 제거효과 (Effect of Green Tea Beverage for the Removal of Cadmium and Lead by Animal Experiments)

  • 최성인;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45-749
    • /
    • 1994
  • 녹차음료가 음용수나 식품에 오염된 중금속의 장내흡수 및 체내 축적 억제와 같은 생리적 기능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쥐에게 3주간 수질기준의 5,000배와 500배 수준으로 납과 카드뮴을 오염시킨 음료수를 부여했을 때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은 카드뮴 고농도 부여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중금속 투여로 인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적장기의 무게는 신장과 대퇴골에서 중금속 투여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으며 녹차 투여로 인한 장기무게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표적장기의 중금속 함량에 있어서는 녹차 음용에 의한 장기의 축적억제 효과를 나타냈는데 특히 대퇴골에서 납은 $25{\sim}45%$, 카드뮴은 고농도 투여군에서 42%의 뚜렷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대퇴골의 칼슘함량은 중금속 투여로 크게 낮아졌으나 녹차 투여 군에서는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므로 녹차 투여로 중금속의 축적이 방해되어 칼슘흡수가 증가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