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갑의 천공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Surgical Glove Perforation (수술용 장갑의 천공률에 대한 연구)

  • Yoo, Seon Ju;Lim, Young Shin;Kim, Myung Suk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16 no.3
    • /
    • pp.63-7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surgical glove perforation during operation. Methods: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08, a total of 1,400 pairs of surgical gloves used in major operations was collected in a tertiary hospital. All gloves were examined immediately after operation using the standardized water-leak method to detect any perforation. Incidence of the glove perforation was cou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operation,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involved personnel, perforation sites, and the manufacturing companies. Results: Out of 2,800 gloves examined, 312 perforations were detected comprising 11.1% of samples. In terms of the type of operation, the perforation incidence varied from 5% to 20%, and the perforation rates in CS (20%) and NS (18%)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departments. The 1st assistant or scrub nurse got glove perforation more frequently than the 2nd assistant or operator (p<.001). Longer operation time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cidence of perforation evidently (p<.001). In terms of the sites, the thumb and index finger were more frequently perforated than other sites (4.1% and 3.4% respectively) without any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side. Conclusion: Risk factors for glove perforation including the department of operation, operation time, participating personnel, and location of perfor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improve surgical safety.

Character Analysis that influences to Surgical Gloves Punctures (수술장갑의 천공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분석)

  • Kim, Eu Jin;Koh, Myung Suk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18 no.1
    • /
    • pp.99-11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ncture incidence of surgical gloves in an operational setting. Methods: The 277 surgical gloves were used collecting at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February 1, 2011 to April 3.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 the dental and orthopedic department, the puncture incid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The time of wearing glove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oup 181-240 minut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under 90, 91-180, or over 240 minutes.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as follows. Compared to that of the 2nd assistants, the puncture incidence rates of the surgeons were 9.91 times, scrub nurses were 8.39 times higher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in work experience under 1 year showed a 4.58 times higher than those with over 7 year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puncture incidence rate of neurosurgery department, the 17.41 times in cardio-thoracic surgery, 13.89 times in dental surgery, 4.93 times in gynecology, and 4.97 times in orthopedics higher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training operational room personnels to occasionally exchange the gloves even during the procedure and to use double surgical gloves.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7
    • /
    • pp.2-10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5
    • /
    • pp.16-25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A Study on the Surgical Hand Scrub and Surgical Glove Perforation (외과적 손씻기 및 외과용 장갑의 천공율에 대한 연구)

  • 윤혜상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5 no.4
    • /
    • pp.653-667
    • /
    • 1995
  • Post - operative wound infections have been a serious problem in nursing care in the operating room and appear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infection occurring during the performance of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in duration of surgical hand scrub (SHS), to evaluate the method of SHS and to examine the rate of glove perfor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 244 doctors and 169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ve theatre of a hospital in Seoul area. Test samples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is medical facility between April 1, through 15, and July 1, through 5, 1995 by the author and a staff member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study, data on the SHS of doctors and nurses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multiple batches of surgical gloves worn by the operating doctors were collected after each operation. The duration of SHS was measured with a stop watch and the method of SHS was evaluated according to Scoring Hand Scrub Criteria (SHS Criteria) and expressed as SHS score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uration and the SHS scores of doctors and nurse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S duration and the SHS sco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time spent in each SHS was 167 seconds in nurses, and 127 seconds in doctors. The data comparing nurses and doctor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r ation of SH S between these two groups (t=5.58, p=.000). 2) The mean time spent in the first SHS was 145 seconds and that in the End SHS, 135 seconds,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SHS between doctors and nurses (t=1.44, P=.156). 3) The mean time spent in the SHS by OS (Orthopaedic surgery) doctors was 162 seconds, 150 seconds by NS(Neurologic surgery), 121 seconds by GS(General surgery), 94 seconds by OPH(Opthalmology) and DS(Dental surgery), 82 seconds by URO(Urology), 78 seconds by PS(Plastic surgery) and 40 seconds by ENT(Ear, Nose & Throat) These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SHS among the medical specialities (t=4.8, P=.0001). 4) The average SHS score of the nurses was 15.2, while that of doctors was 13.1.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value was 3.66, p was. 000. This indicates that the nurses actually clean their hands more thoroughly than the doctors do. 5) The average SHS score of NS doctors was 15.5, 15.3 for doctors for OPH,14.3 for OS,12.7 for GS, 12.0 for DS, 11.7 for URO, 10.1 for PS, 7.5 for ENT. Comparison of the average SHS scores from 8 specialtie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the SHS (F=5.08, P=.000) among medical specialties. 6) It appears that the operating personnel scrub the palms and dorsum of their hand relatively well, however, less thorough the nails and fingers. 7) The more the operating personnel spend their time in hand scrubbing, the more correctly they clean their hands(r=.6427, P<.001). 8) The overall frequencies of perforation in all post-operative gloves tested was 38 out of 389 gloves (10.3%). The perforation rate for PS was 13%, 12.1% for GS,8.8% for 05, and 3.3% for 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