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잡종

검색결과 771건 처리시간 0.024초

곰솔과 소나무의 자연잡종(自然雜種)으로 추정(推定)되는 잡종(雜種)소나무의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trees of putative hybrid pines between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 손두식;권칠용;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127-137
    • /
    • 1990
  • 솔잎혹파리에 대한 내충성(耐蟲性) 품종(品種)을 육성(育成)하기 위하여 곰솔과 소나무의 자연잡종(自然雜種)으로 추정(推定)되는 개체(個體)를 선발(選拔)하고 소나무의 선발개체(選拔個體)에 대(對)한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바 다음과 같다. 1. 선발개체(選拔個體)들의 현지(現地)에서 생장상태(生長狀態)는 자연잡종(自然雜種) 소나무에서는 총평균직경생장량(總平均直徑生長量) 및 최근(最近) 5년간(年間)의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은 곰솔과 소나무의 중간(中間)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개체간(個體間)에 변이(變移)가 심하였다. 2. 침엽(針葉)의 수지청(樹脂淸) 위치(位置)에 대(對)한 RDI는 0.10이상(以上)되는 개체(個體)들을 잡종(雜種)소나무로 간주하고 침엽(針葉)의 길이, 엽초장에서 곰솔은 길고 소나무는 약간 짧으며 기공(氣孔)의 열간(列間) 간격(間隔)은 곰솔에서는 넓고 소나무에서는 좁게 나타나고 있으나 잡종(雜種)소나무는 중간(中間) 수치(數値)를 나타내고 있으나 개체간(個體間)에는 변이(變移)가 많았다. 3. 구과(毬果) 및 종자(種子)의 크기와 실중(實重)에서도 곰솔이 크고 소나무는 곰솔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으나 잡종(雜種)소나무는 중간형태(中間形態)를 나타내고 있으며 개체간(個體間)에는 변이(變異)가 심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침엽(針葉), 구과(毬果) 및 종자(種子)의 특성(特性)에서 한가지 특성(特性)만으로 잡종(雜種)소나무를 구분(區分)하는것 보다는 여러가지 특성(特性)을 종합(綜合)하여 판단(判斷)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4. 잡종(雜種)소나무에서 동위효소(同位酵素) ADH-$B_2$, ME-$A_2$ 및 PGI-$B_1$, $B_2$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곰솔에서 이입(移入)된 것으로 본다면 잡종(雜種)소나무를 동위효소(同位酵素)에 의하여 쉽게 판단(判斷)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인자(因子)가 나타나지 않는 개체(個體)들은 직별(職別)이 어렵다.

  • PDF

돌고기, Pungtungia herzi와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 (Pisces ; Cyprinidae)의 속간(屬間) 자연잡종(自然雜種)의 발생(發生) (An Occurrence of Intergeneric Hybrid Cross, Pungtungia herzi X Pseudopungtungia nigra from the Ungcheon River, Korea)

  • 김익수;최윤;심재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2-47
    • /
    • 1991
  • 1988년 6월에서 8월 사이에 충남 보령군 웅천면 웅천천에서 어류상을 조사하던 중 돌고기 Pungtungia herzi와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 사이의 속간(屬間) 잡종(雜種)이라 의심되는 개체를 채집하였다. 형태형질(形態形質)과 계측형질(計測形質)의 비교조사 결과, 두 속간(屬間)의 key character인 지느러미 반문의 pigmentation, 그리고 입의 모양과 위치 등에서 중간형질 (intermediary)을 보여주고 있어서 본 개체는 두 속간(屬間)의 자연잡종(自然雜種)이라 생각되었다.

  • PDF

붉바리(Epinephelus akaara)와 Brown-Marbled Grouper (E. fuscoguttatus) 종간 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The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of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nd Brown-Marbled Grouper (E. fuscoguttatus))

  • 노충환;김근식;명정구;조재권;윤락진;임한규;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20
    • /
    • 2015
  • 서식 환경이 다른 바리과(family Serranidae) 어류 두 종, 붉바리 (Epinephelus akaara)와 brown-marbled grouper (E. fuscoguttatus)의 종간 잡종 수정란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잡종(붉바리 ♀ ${\times}$ brown marbled grouper ♂)의 수정 후 각 발생단계까지 소요시간은 붉바리 순종과 차이가 없었으며, 부화 소요시간은 $25^{\circ}C$에서 25.6시간이었다. 잡종은 붉바리 순종과는 달리 비균등 난할이 분명하게 관찰되었다. 잡종의 부화율은 네 수온(22, 25, 28, $31^{\circ}C$)에서 대체적으로 낮았으며, $25^{\circ}C$에서 9.8%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에서 서식환경이 서로 다른 바리과 두 종간 잡종이 생산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산업적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발생 양상, 기형률 및 초기 생존율 등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단그라스, 수단그라스잡종 및 수수-수단그라스잡종의 사초생산성 V. 수단그라스계 장려품종의 비교 (Performance of Sudangrass, Sudangrass Hybrids and Sorghum-Sudangrass Hybrids for Forage Production V. Comparison of recommended cultivars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 김동암;김종림;권찬호;김원호;김종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8-263
    • /
    • 1991
  • 현재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권장하는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장려품종은 10종이 있으나 이들은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함께 평가된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시험은 수원소재 서울대 농대의 사초시험포장에서 2년간에 걸쳐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축협장려품종에 대한 사초수량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종의 공시품종중 G83F 및 NC$^{+}$855는 조생품종으로 분류되었으며 Pioneer 988 및 Sordan 79는 다른품종에 비하여 잎마른병에 강하였다. Jumbo, Sordan79 및 SX-17 품종은 도복이 많이 되었다. 사초의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공시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ioneer 988, TE-Haygrazer 및 G83F는 1989년에 다른 품종보다 수량이 좀 높았고 NC$^{+}$855 및 Pioneer 988은 1990년에 높았다. 1990년에 조사된 공시품종간의 CP, ADF, NDF 및 RFV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회 수확시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ADF, NDF 및 RFV는 1회 및 2회 수확시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축협장려품종인 10종의 수단그라스계 잡종간에는 사초수량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 PDF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의 종간 교잡과 접합후 생식격리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Matsumuraeses phaseoli and M.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and Postzygotic Reproductive Isolation)

  • 정진교;박창규;문중경;김은영;조점래;서보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5-311
    • /
    • 2019
  • 동소동속종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나비목: 잎말이나방과) 사이에 교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을 교잡시켰다. 두 종의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켰을 때, F1 잡종세대가 발생하였다. 두 잡종세대 집단을 집단 내 및 집단 간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킨 경우들에서,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잡되어 생성된 F1 잡종세대 집단(H집단)의 암컷이 같은 집단의 수컷 혹은 다른 집단의 수컷과 교미되었을 때, F2 후대를 거의 생성하지 못했다. 다른 집단으로 만들어진 F2 세대는 집단 내 교미에서 F3 세대를 생성시켰다. F1 잡종세대 집단 암수와 팥나방 혹은 어리팥나방 암수를 각각 교차하여 교미시킨 역교잡 8개 집단 중에서도 H집단의 암컷과 짝지어진 어미세대 수컷 집단 2개는 전혀 산란하지 못했다. 후대가 생성된 다른 6개 집단은 모두 집단 내 암수 교미에서 역교잡 F2 세대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미하였을 경우 F1 후대잡종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 F1 후대잡종 암컷은 불임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종 사이에 접합후 생식단계에서 부분적인 생식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IV) (Investigation of Korean Maize Lines: N. Inbreeding Depression, Heterosis and Homozygosity of 69 Korean Maize Lines)

  • 이인섭;최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30
    • /
    • 1980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 계통 가운데서 옥수수 육종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육종재료를 선발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1978년에 각각 아매교배, 일대자식 그리고 Top-교배시킨 69계통에 대하여 옥수수의 주요특성을 조사비교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계통간에 큰 차이가 있었는데 평균초장은 아매교배된 것이 155.0cm이었고 일대자식된 것은 141.8cm, Top-교배된 것은 210.0cm로 6.05%의 자식열세 및 40.0%의 잡종강세를 나타내었다. 2. 이삭길이는 계통간에 큰 차이가 있었고 교배처리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였는데 평균 이삭길이는 아매교배된 것이 14.1cm, 일대자식된 것이 11.6cm, Top-교배된 것이 18.1cm로 로 16.0%의 자식열세현상 및 18.1%의 잡종강세현상을 나타내었다. 3. 이삭직경은 평균적으로 아매교배된 것이 3.4cm, 일대자식된 것이 3.1cm, Top-교배된 것이 3.9cm로 8.7%의 자식열세 및 16.8%의 잡종강세를 보였다. 4. 이삭중은 계통간 변이폭이 컸으며 평균 이삭중은 아매교배된 것이 77.6gr이었고 일대자식된 것은 45.5gr, Top-교배된 것은 147.0gr으로서 41.3%의 자식열세 및 89.6%의 잡종강세를 나타내었다. 5. 이삭당 입중은 아매교배된 것이 평균 64.39gr, 일대자식된 것이 36.49gr, Top-교배된 것은 123.1gr으로서 교배처리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계통간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6. 이삭당 Cob중에 대한 입중비는 평균으로 아매교배된 것이 5.47, 일대자식된 것은 4.03, Top-교배된 것은 5.55로서 12.9%의 자식열세 및 13.1%의 잡종강세를 보였다. 7. 100입중은 계통간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100 입중은 아매교배된 것이 19.4gr, 일대자식된 것이 16.2gr, Top-교배된 것이 24.6gr으로서 15.3%의 자식열세 및 42.9%의 잡종강세현상을 보였다. 8. 재래종은 대조품종보다 흑수위축병에 대한 이병율이 낮았으며 10% 이하인 것도 10여 계통이나 발견되었다. 9. 웅수출현기는 교배처리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고 재래종이 대조품종보다 2~3일 빨랐다. 10. 수집재래종 옥수수의 주당 이삭수는 평균 1.4개이었는데 교배처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착수절위는 평균 6절이며 교배처리간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종간 자연잡종 출현 (Occurrence of a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pseudosericeus and R. notatus in Sangcheon Stream of the Han River, Korea)

  • 곽영호;김근용;김근식;송하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75-285
    • /
    • 2020
  •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2개체를 채집하였다. 자연잡종 개체의 체색은 황갈색으로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지만, 전반적으로 떡납줄갱이의 특징이 두드러졌다. 계수 및 계측형질에서 등지느러미 기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종렬비늘 수의 3가지 형질은 hybrid index (HI) 값이 0으로 나타나 떡납줄갱이의 형질을 따랐다. 체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4.6), 뒷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5.3), 배지느러미 기점 거리 (HI =77.6)는 한강납줄개의 형질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파수(HI=55.3), 체장에 대한 체고(HI=67.9), 두장에 대한 문장(HI=43.4), 양안간격(HI=44.8)의 4가지 형질은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형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가지 형질은 0과 100 사이를 벗어나 잡종개체만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냈다.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 1 (RAG1) 분석결과 잡종개체는 부모종의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나 자연잡종으로 판별되었으며, cytochrome b gene (COB)를 분석한 결과 한 개체는 한강납줄개를 모계로, 또 다른 한 개체는 떡납줄갱이가 모계로 나타났다.

침엽(針葉)의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에 의(依)한 우리나라 소나무의 이입교잡현상(移入交雜現象) 연구(研究) (Introgressive Hybridization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by the Position of Resin duct in Needle)

  • 류장발;홍성호;정헌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19-27
    • /
    • 1985
  • 우리나라 소나무의 이입교잡현상(移入交雜現象)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67 개(個) 지역(地域) 4,992 본(本)의 침엽(針葉)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를 조사(調査)하였다. 침엽(針葉)의 수지구(樹脂溝)가 모두 외위(外位)인 것은 소나무, 모두 중위(中位)인 것은 곰솔, 외위(外位)와 중위(中位)가 하나라도 섞여있는 것을 잡종(雜種)으로 판정(判定)하면, 전(全) 조사지역(調査地域)에서 잡종(雜種)이 발견(發見)되어 순수(純粹)한 소나무만 있는 지역(地域)은 한곳도 없었다. 개체내(個體內)에서 침엽별(針葉別)로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에 변이(變異)가 있었으므로, 잡종성판정(雜種性判定)에는 표본수(標本數)의 영향이 컸다. 따라서 잡종성판정(雜種性判定)은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에만 의존(依存)하는 것보다 여러 형질(形質)로 종합(綜合) 판정(判定)을 하여야 될 것이다. 소나무와 곰솔 간의 인공교배(人工交配)는 생산성(生産性)이 낮고 잡종(雜種)의 우수성(優秀性)이 크게 기대(期待)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조림(造林)을 위한 잡종종자(雜種種子)의 대량생산(大量生産)은 실용적(實用的) 가치(價値)가 없다고 판단(判斷)된다.

  • PDF

찰옥수수 육성계통간 유전적 거리와 잡종강세 정도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Degree Among the Developed Waxy Corn Lines)

  • 이문섭;양재현;임승빈;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64-469
    • /
    • 2015
  • 공시된 교잡종에 대한 중요 식물학적 특성에 대해, 잡종강세를 양친 중간 값으로 나타낸 결과 공시종 중에서 잡종강세가 현저한 간장의 평균 값은 77.2%이었고 37.8% 착수고는 83.8%로 나타났다. 각 교잡종별 잡종강세 정도 간장의 경우 H-11에서 162%로 가장 높았고, 착수고는 H-14에서 116.7%로 높았다. 개화기는 대부분의 교잡종에서 부(-)의 값을 보여 교잡종이 교배친보다 개화기가 단축되었는데 특히 H-5는 -27%로 개화기가 빨랐다. 전체 이삭길이의 평균 잡종강세는 37.8%로 낮게 나타났으나 H-29 교잡종은 96.2%로 높 나타났다. 또한, 10개의 primer 이용한 계통간 상호교배에 의한 교잡종에 대한 SSR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에 대한 분석결과 크게 4그룹으로 분류 되었다. CNU16과 CNU14간에 가장 가까운 근연계수를 보였고, CNU6과 CNU9간 그리고 CNU19와 CNU13간에 가장 먼 근연계수를 보였다. 간장은 CNU454, CNU457간의 조합인 2군과 4군간의 조합에서 잡종강세가 162%로 가장 높았고, 이삭길이는 CNU258/CNU251, CNU915/CNU799 및 CNU427/CNU36 조합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유전적 거리는 근연관계가 멀수록 값이 낮고, 반대로 근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거리는 낮게 나타나는데 이삭길이 등은 유전적 거리가 가까운 90%의 높은 값을 보였다.

연초종간 상호교잡에 의한 Genetic Tumor의 유도 및 Teratoma Shoot의 특성 (Formation of Genetic Tumor and Characteristics of Teratoma Shoot from Tobacco Interspecific Reciprocal Hybrids)

  • 양덕춘;윤의수;최광태;이정명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39
    • /
    • 1998
  • 연초 N. glauoa(2n=24)와 N. langsdorffii(2n=18)의 종간상 호교잡에 의하여 종간잡종을 획득하였다. N. glauca $\times$ N. langsdorffii 교잡에서는 100%의 F$_1$ 종자를 획득할 수 있었으나, N. langsdorffii $\times$ N. glauca교잡에서는 종자결실이 극히 불량하였다. 그러나 종자 발아율은 모두 양호하였으며, 정상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F$_1$식물체의 chromosome수를 조사한 결과 모두 2n=21개로 종간잡종임이 확인되었으며, 엽병의 존재여부 및 형태, 잎의 형태, 꽃잎의 형태와 색깔 및 크기, 화분의 색깔 등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종간잡 종임을 재차 확인 할 수 있었다. F$_1$잡종식물체에서는 spontaneous tumor인 genetic tumor가 형성되었으며, N. glauca을 모본으로 한 교잡체에서는 생식생장기부터 형성되었고, N. langsdorffii을 모본으로 한 잡종체에서는 생식생장기 이후에만 형성되었다. 특히 genetic tumor 조직을 기내에서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생장이 매우 왕성하였으며 많은 teratoma shoot를 형성하였다. 또한 genetic tumor 조직이 아닌 일반 F$_1$식물체의 잎과 줄기절편도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 접종되었을 때에도 15일경부터 callus가 왕성히 형성되었으며, 30일경부터는 수많은 teratoma shoot가 형성되었다. 식물호르몬 무첨가배지에서 잡종체의 teratoma shoot 형성은 N. langsdorffii $\times$ N. glauca 보다 N. glauca $\times$ N. langsdorffii가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Teratoma shoot 중에서는 뿌리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지상부가 정상적으로 자란 shoot를 절취하여 다시 조직배양 할 경우에는 영양생장기에 배양잡종식물체에서 많은 genetic tumor가 형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