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적 수요

Search Result 3,36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Identifying potential buyers in the technology market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원천기술 분야의 잠재적 기술수요 발굴기법에 관한 연구)

  • Seo, Il Won;Chon, ChaeNam;Lee, Duk He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1
    • /
    • pp.279-301
    • /
    • 2013
  • This study demonstrates how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used for identifying potential buyers in technology marketing; in such, the methodology and empirical results are proposed. First of all, we derived the three most important 'seed' keywords from 'technology description' sections. The technologies are generated by various types of R&D activities organized by South Korea's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the fundamental science fields. Second, some 3, 000 words were collected from websites related to the three 'seed' keywords. Next, three network matrices (i.e., one matrix per seed keyword) were constructed. To explore the technology network structure, each network is analyzed by degree centrality and Euclidean distance. The network analysis suggests 100 potentially demanding companies and identifies seven common companies after comparing results derived from each network. The usefulness of the result is verified by investigating the business area of the firm's homepages. Finally, five out of seven firms were proven to have strong relevance to the target technology. In terms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expands its application scope of methodology by comb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he technology marketing metho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empirical study suggests the illustrative framework for exploiting prospective demanding companies on the web, raising possibiliti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basic research fields. Future research is planned to examine how the efficiency of process and accuracy of result is increased.

  • PDF

Assessment of Regional Groundwater Pollution Hazard using Potential Pollutant of Pohang Area (잠재오염원을 이용한 포항지역의 광역적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 Lee, Sa-Ro;Kim, Yong-Seong;Kim, Deuk-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3
    • /
    • pp.1-13
    • /
    • 2006
  • The aim of the study is to assess groundwater pollution hazard of Pohang city using the DRASTIC system develop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Hydrogeological spatial databases of the system include information on depth to groundwater, net recharge, aquifer media, soil media, topographic slope, hydraulic conductivity, lineament and potential pollution source. With GIS based on these hydrogeological databases and the DRASTIC system, the regional groundwater vulnerability of the study area was assessed. Then the vulnerability was overlaid with potential pollution source and the regional groundwater pollution hazard was assess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as where need the counter plan for groundwater pollution and where should be managed for the groundwater pollution, are identified.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Query Recommendation System using User's Search History (사용자 검색이력 기반의 잠재적 질의어 추천 시스템 개발)

  • Park, Jeongbae;Park, Kinam;Lim, Heui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193-199
    • /
    • 2013
  • In this paper, a user search history based potential query recommendation system is proposed to enable the user of information search system to represent one's potential desire for information in terms of query and to facilitate the desired information to be searched. The proposed system has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existing users's search histories based on the users' search query, and it has extracted the users's potential desire for information. The extracted potential desire for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terms of recommended query and thereby made recommendations to user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behavioral experiments by using search histories of 27656. As a result of behavioral experiment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foun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hen using the proposed system as compared to using general search engines.

전력기술인이 만들 수 있는 전자보안 시스템

  • 윤갑구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32 no.12
    • /
    • pp.10-17
    • /
    • 2001
  • 전자 경보 회로는 거의 어떤 환경 상황에서도 반응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장은 이책의 어디에서도 취급하고 있지 않은 몇 가지 부가적인 가능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들의 몇 가지는 빛에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그런 감지 회로에 대한 상당히 많은 잠재적인 응용이 있기 때문이다.

  • PDF

The stages of larval hindlimb development in the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and the effects of MNNG and reinol palmitate treatment on the limb development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 유생의 다리 발생 단계와 MNNG 및 retinol palmitate 처리가 다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박인식;김원선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1
    • /
    • pp.84-96
    • /
    • 1993
  •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 유생의 다리 발생 과정을 관찰하고 잠재적 돌연변이 유발물질인 제-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과 잠재적 기형 유발물질인 retinol palmitate가 다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상적인 개체에서 됫다리의 발생 단계는 외부와 내부의 형태적 특징을 기준으로 하여 7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전연골세포의 밀집에 따른 골격형성은 다리 발생아의 근위부에서 시작하여 원위부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롱뇽 유생을 MNNG(10 rpm)나 retinol palmitate(37.5 lpm)로 처리한 경우, 공통적으로 다리 원위부의 골격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골격 형성 억제 현상은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생을 저해하는 물질에 대한 미분화 상태의 세포들의 반응성이 발생과정 중 특정 단계에 국한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The Research on the Gifted Children's Happiness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 Han, Ki-Soon;Kim, Young-Mi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3
    • /
    • pp.519-542
    • /
    • 200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gifted children's happiness, such as happiness index, optimis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education happiness. For the study, 201 gifted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centers, 124 potenti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nominated by teachers for their scientific interests and high performances, and 141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gifted and the potentially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appines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and the potentially gifted in the diverse aspects of happiness. Interesting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iftedness was found. Girls were happier when they were identified as the gifted, compared to the boys.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family happines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explained gifted children's happiness in general.

Analyzing the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 Use for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Average Group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 Ahn, Se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9 no.4
    • /
    • pp.431-44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 use for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average group. For this, I selected two samples. One was a group to use digital textbook at school, the other was a group not to use that. Then each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were sort out in two groups by a test of internet addiction. I firstly compared a average user group and a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in group to use digital textbook. Also, I too did that in group not to use digital textbook. Then I analyzed the relevance of using digital textbook and internet addiction. As a result, I found that using digital textbook have not the relevance with internet addiction. But in this paper, I proposed a way to teach ICT ethical training before students use the digital textbook, because most of potential risk students of internet addiction tend to think they was influenced by digital textbook.

Finding Correlated Keyword b Analyzing User's Implicit Feedback (사용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검색어 조합 추출)

  • Chul-Woo Shim;Eun Ju Lee;Ung-M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29-232
    • /
    • 2008
  • 웹 정보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는 검색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색 질의어와 함께 사용자의 환경, 검색 만족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사용자의 명시적 피드백을 요구하는 것은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잠재적 피드백과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 검색 질의어를 확장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어 확장과 검색 정확성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이 없어 연관 검색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검색 질의어를 변경하면서 검색을 반복하는 과정을 사용자의 잠재적 피드백의 하나로 보고 사용자 만족도를 반영하는 페이지 방문 시간과 함께 분석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된 검색어가 검색 결과 순위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우스 클릭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검색 만족도를 정량화하였고 특정 주제어에서 관련 검색어가 확장되어 가는 과정은 트리 구조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제어와 관련해 연속적으로 입력된 검색어 집합으로부터 연관검색어를 추출하고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안된 트리 구조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석하여 검색어, 검색 결과, 사용자 만족도, 배경 지식 등 단순 검색어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e improved image filte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image energy in the Active Contour Model (활성 윤곽선 모델의 영상 에너지 제어를 위한 개선된 영상 필터)

  • 강중욱;최경민;박용희;전병호;김태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520-522
    • /
    • 1998
  • 활성 윤곽선 모델(Active Contour Model : Snake)을 이용한 윤곽선 추출 방법에서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 잠재적 표면(potential surface) 위에서 지역 최소치를 향하여 다양한 힘을 가함으로써 물체의 윤곽선으로 활성 윤곽선 모델을 움직이게 한다. 활성 윤곽선 모델에서 영상의 관심있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잠재적 표면 위에서 활성 윤곽선 모델이 지역 최소치를 향하여 활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다양한 힘을 효과적으로 제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활성 윤곽선 모델이 적합한 지역 최소치를 향하여 적절하게 수렴하도록 활성 윤곽선 모델이 움직이는 잠재적 표면을 변형할 수 있는 영상 필터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