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재자연식생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8초

선운산 지역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 Kim, Jeong-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4호
    • /
    • pp.159-164
    • /
    • 1987
  •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In previous two papers the plant communities of actual vegetation of the area is grouped into nine types;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serrata, Camellia japonica (plantation), Quercus aliena, Pinus thunbergii, Zelkova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forest. With the analysis of species richness, age structure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ies, two paths of late stage succession are suggested in climatic climax starting from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area. One is through Quercus variabilis forest to Carpinus laxiflora forest in upper parts of the mountain and the other through Quercus aliena forest to Carpinus tschonoskii forest in lower parts of the mountain. With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and the examination of informations including human activities in the area,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area was inferred.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area was mainly composed of Carpinus laxiflora, Carpinus tschonoskii, Pinus densiflora and Zelkova serrata forest.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scale, 1:25, 000) and other results from this study might be the useful data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vege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current vegetation.

  • PDF

식생 분포 확률 추정을 통한 북한산 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 추정 (Estimation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using the Estimate to Probability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신진호;연명훈;양금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1-53
    • /
    • 2013
  • The study for the estimati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estimated the occurrence probability distribu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Bukhansan National Park.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analyzed to estimate probability distribu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ly at the 0.01 level. Commonality of elevation, annual mean temperature, warmth index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ere high value, but topographic index was low value. Communities of over the 0.3 points distribution probability, Quercus mogolica communities were the largest area, 76,940,900 $m^2$,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area was 860,800 $m^2$, 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area was 500,100 $m^2$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rea was 1,000 $m^2$, but Q. aliena, Q.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Zelcova serrata communities was not appeared. Therefore, potential national vegeta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was likely to be Q. mongolic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Q. acutissima community and Q. variabilis community.

내장산 국립공원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Naejangsan National Park, Southwestern Korea)

  • Kim, Jeong-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3호
    • /
    • pp.145-152
    • /
    • 1988
  •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Naejangsan national park area, south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With the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rdinatins and field surveys,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area was made in scale 1:25, 000, including ten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Carpinus laxiflora, Daphnipyllum macropodum,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aliena-Carpinus tschonoskii, Cornus controversa-Lindera erythrocarpa, Torreya mucifera-Zelkova serrate and Acer mono-Zelkova serrata community. The analyses of species richness, age structure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suggest the three pathways of late stage succession from P. densiflora forest to climatic climax. The first of them is through Q. variabilis forest to Q. monogolica forest in the upper parts of the mountain, the second through Q. variabilis and Q. serrata forest to C. laxiflora forest in the middle parts and the third through Q. aliena forest to C. tschonoskii forest in lower parts. Considering the actual vegetation and informations on the vegetation changes including human activities,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mountain mainly composed of Q. monogolica, C. laxiflora, C. tschonoskii, P. densiflora and Z. serrata forest as climatic climax and/or edaphic climax was inferred. The present situration of nature conservation in the area was estimated by the examin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 PDF

ICDI를 이용한 미국 콘벨트의 가뭄 분석 (Drought analysis by using ICDI in the US Corn Belt)

  • 이수진;이양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9-459
    • /
    • 2022
  • 물수지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는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넓은 규모로 발생되는 자연재해로서, 농업 및 산업에 직접 피해와 다양한 상품에 대한 공급 부족으로 인한 가격 상승 등의 간접 피해를 야기하는 재해이다. 이러한 가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기상 요인(강수, 기온), 농업 요인(식생), 수문 요인(증발산, 토양수분) 등과 같은 설명 변수를 기초로 하는 많은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인 가뭄지수에는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Soil Water Deficit Index (SWDI), Vegetation condition index (VCI), Temperature Condition Index (TCI), Vegetation Health Index (VHI), Scaled Drought Condition Index (SDCI), Integrated Crop Drought Index (ICDI)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통합작물가뭄지수(ICDI)를 통해 미국 옥수수의 약 90%를 생산하는 농업지역인 미국 콘벨트의 가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ICDI는 기상 요인(강우량 및 지표면 온도), 수문학적 요인(잠재 증발산 및 토양수분), 식생 요인(강화식생지수(Enhanced Vegetation Index, EVI))의 조합을 통해 지표면의 건조·습윤 상태 및 식생의 건강 상태를 설명하는 가뭄지수이다.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주요 콘벨트 지역인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를 대상으로 가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옥수수 수확량 아노말리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PDF

욕지도(경남) 산림식생 유형구분과 공간분포 특성 (Classific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in Yokjido Island, Korea)

  • 이보라;이호상;김준수;조준희;오승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345-356
    • /
    • 2022
  • 욕지도는 한반도 남동부 남해안의 끝에 위치하고 있는 섬 크기 15 km2의 유인도서로 현존산림은 대부분 대상식생(substitutive vegeta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욕지도 산림식생의 생태적 보전과 관리에 필요한 기초정보 제공을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현존식생 유형을 구분하고 상관 우점종 중심의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여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2개 군락(community), 4개 아군락(subcommunity), 6개 변군락(variant), 그리고 2개 아변군락(subvariant)의 식생단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개 인간간섭, 입지환경, 천이단계, 그리고 성립기간 등에 따라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종다양성 지수는 현존식생 유형 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종풍부도, 종다양도, 그리고 종균재도는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통계적으로 다소 유의한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초본성 식물종이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적 낮은 해발고도를 가진 산지에서는 중간영역효과(mid-domain effect, MDE)로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성이 증가한다는 McCain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욕지도 산림식생은 외부간섭이 없는 한 혼효림 도중 단계를 거쳐 잠재적으로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산림으로 천이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천식생 복원모형의 홍수위 분석과 하상변동 예측 (Flood Stage Analysis and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for Stream Corridor Restoration Model with River Vegetation)

  • 송중근;김병찬;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7-441
    • /
    • 2009
  • 현대사회는 하천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정도로 우리 삶의 중심에 있는 자연의 중요한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하천은 단순한 치수와 이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적 잠재 기능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 복원의 필수적 요소는 식생이나 이것은 하천의 흐름저항을 크게 하여 홍수시 수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식생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와 흐름저항으로 인한 수리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하천복원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식생 복원모형에서의 홍수위 분석과 하상변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주대교 상 하류 구간에 HEC-RAS와 RMA-2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위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SED-2D 모형을 적용하여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 PDF

일본 관동지역 2차림지대의 기상환경과 식물군락에 관한 연구 (Climatic Perturbation and Plant Livestock of a Secondary Forest in Kantou Area, Japan)

  • 이성기;안영희;이갑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04
  • 산지 개발로 인한 일본의 미나미아키가와 유역의 훼(Table Omitted)손 예정지에서 실시한 식물상의 조사 결과, 98과, 231속, 315종, 29변종, 8품종, 총 35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11과, 12종, 2변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의 대부분은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조림지로 장기간의 시간적인 경과에 의해 일부 인공 조림지를 비롯하여 주변부에서 물참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온대성 낙엽 활엽수 맹아림 등의 전형적인 2차림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2차림의 산림 군락들은 금후 빠른 속도로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이라 할 수 있는 일본젓나무-솔송나무림 혹은 삼나무림 및 너도밤나무림으로 자연스럽게 정상천이로 복원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 검토된 자료는 우리나라 남부의 지리산부근과 유사한 기상조건을 지니는 것으로 추후 한국과 일본간의 식생변이 비교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지방 아까시나무 조림지의 식생유형과 생태적 특성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 송재순;김학윤;김준수;오승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11-22
    • /
    • 2023
  • 본 연구는 경북 일대 산지 아까시나무림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생태적 관리에 필요한 기초정보 제공을 위하여 총200개 임분에서 수집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이원지표종분석법(TWINSPAN)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DCA 분석으로 환경구배에 따른 그 공간배열 상태를 파악함과 아울러 식생유형별 군락적합도(Φ) 판정으로 결정된 진단종을 기준으로 군락조성요약표를 작성하였다. 식생유형은 신갈나무-둥굴레형, 밤나무-청미래덩굴형, 철쭉-인동덩굴형, 찔레꽃-쑥형, 감태나무-댕댕이덩굴형, 참느릅나무-팽나무형, 그리고 귀룽나무-푼지나무형 등 모두 7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대개 해발고도, 수분 체계, 천이 단계 및 교란 체제 등 복합적 요인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구성종의 평균상대중요치는 아까시나무(39.7)가 단연 높게 나타났지만,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상위중요치 구성종으로 나타나고 있어 잠재천이경향을 가늠할 수 있었다. 또한, 식생유형별 구성종의 총피도, 생활형 조성, 종다양성 지수, 그리고 지표종 등도 비교하였다.

지구(地球)의 잠재자연식생분포(潜在自然植生分布)를 추정(推定)하기 위한 최적구면보간법(最適球面補間法)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the Best Spherical Interpolation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Distribution of the Globe)

  • 차경수;오치아이 가미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1호
    • /
    • pp.17-24
    • /
    • 1997
  • 지구(地球)의 잠재자연식생분포(潛在自然植生分布)를 추정(推定)하기 위한 첫단계로서 자연식생분포(自然植生分布)와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는 기온(氣溫)과 강수량(降水量)에 대한 최적구면보간방법(最適球面補間方法)을 개발하기 위해, Light Climatic Dataset로 명명(命名)한 전세계에 분포(分布)된 1,060점의 측후소(測候所)의 실측자료(實測資料)를 보간용(補間用)과 검정용(檢定用)으로 무작위(無作爲) 2등분(等分)하고, 검정용(檢定用) 측후소(測候所)에 있어서 관측치(觀測値)와 보간용(補間用)에 의한 추정치(推定値)와의 오차(誤差)를 보간방법(補間方法)과 파라메타가 틀린 조합(組合)에 대해 상호비교(相互比較)하였다. 보간용(補間用)에 의한 추정치(推定値)는, 측후소(測候所)의 선택법(選擇法)으로 전점(全点), 정점(定点), 안반경(安半徑)의 3가지 방법, 거리에 대한 하중(荷重)으로 n승 반비례(反比例), 부(負)의 지수함수(指數函數)의 2가지 방법, 방위(方位)에 관한 하중(荷重)으로 타원하중법(楕圓荷重法), 각각에대해 상호조합(相互組合)하여 산출(算出)되었다. 그 결과, 측후소(測候所)의 선택법(選擇法)은 정반경법(定半徑法), 거리(距離)에 관한 하중식(荷重式)은 부(負)의 지수함수(指數函數), 방위(方位)에 관한 하중법(荷重法)은 타원하중법(楕圓荷重法)을 조합(組合)하는 것이 기온(氣溫)과 강수량(降水量)의 보간(補間)에 적합(適合)하였으며, 그에 관한 파라메타 값은 기온(氣溫)에 있어서 정반경(定半徑) $30^{\circ}$, -0.78의 지수함수(指數函數), 타원하중(楕圓荷重) 0.4로, 강수량(降水量)에 있어서는 각각 $35^{\circ}$, -0.53, 1.2로 나타났다.

  • PDF

만경강 중류 에코톱다양성 추이분석 연구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Transition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 김우람;김지성;김규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0-480
    • /
    • 2016
  • 에코톱은 생태학적 지휘체계(Niche)와 서식처(Habitat)가 결합된 환경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진 생태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톱과 비오톱은 식물과 동물의 특정 군집에 요구되는 서식공간의 개념에서는 의미가 같지만 비오톱은 서식공간의 일부분 또는 한 개 이상의 생물이 서식가능한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 약 3.5km 구간의 제외지포함 제내지 1km 폭을 대상으로 1918년 고지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1948년 해방이전 항공사진, 2003년 2014년 항공사진을 활용한 에코톱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에코톱 다양성지수를 추이분석하여 하천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별 에코톱다양성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제방축조 이전인 1918년 에코톱 다양성 지수는 하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안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8년 이후의 하천은 제내지에서부터 지수값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48년 이후의 만경강은 과거 1918년 하천에 비해 구하도 공간이 농경지 증가, 보설치 등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에 의한 감소로 분석되어지며 에코톱다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종다양성 역시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