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재오차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1초

바이오어세이 결과 해석에서 단일 섭취경로 가정에 따르는 예탁유효선량의 잠재오차 (Potential Errors in Committed Effective Dose Due to the Assumption of a Single Intake Path in Interpretation of Bioassay Results)

  • 이종일;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35-140
    • /
    • 2006
  • 비밀봉 방사성물질의 취급 사고시 방사성핵종은 흡입과 취식의 두 가지 경로로 섭취될 수 있다. 이때 일상 감시처럼 하나의 섭취경로만 가정하여 예탁유효선량을 평가하면 심각한 오차를 유발할 수 없다. 이러한 잠재 오차를 제시하기 위해 총 섭취에 대한 흡입섭취의 비율을 달리할 때 예탁유효선량의 변동을 분석하였다. $^{241}Am$(AMAD 5 ${\mu}m$, 흡수형 M)을 대상으로 핵종의 생물역동학적 모델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흡입섭취 분율에서 폐, 소변 및 대변에 대한 바이오어세이 측정치를 모의하였다. 섭취 3일 후 예상 측정치를 이용하고 단일 경로 섭취를 가정한 경우 평가된 예탁유효선량의 잠재 오차는 -100%에서부터 많게는 +34,00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입섭취가 있을 때 대변만 분석하면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섭취경로 오판에 따르는 선량평가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두 종류의 바이오어세이를 이용하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의 허위 잠재 가능성 분류군 탐지 (The Detection of Unreliable Data in Survey Database)

  • 변루나;한정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4호
    • /
    • pp.657-662
    • /
    • 2005
  • 인간이 자료를 생산하여 구축하는 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는 응답자나 조사자의 고의 또는 실수로 인해 비표본오차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오차를 찾아내는 조사관리는 시간적 비용적 기술적으로 대단히 어렵다. 조사관리를 시의성 있게 수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찾아내는 일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단순히 조사항목 연관성 불일치 또는 임의로 선택한 현장을 방문하여 착오 자료 등을 찾아냄으로써 조사관리 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표본오차 중에서 응답자나 조사원의 허위응답과 허위조사를 예방할 수 있는 잠재 가능성을 분류하는 휴리스틱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일정한 기간마다 지속적으로 실시되는 조사를 대상으로 질적, 양적 자료의 구성에 관계없는 이항반응 자료로 변환하여 허위일 가능성이 있는 패턴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조사구의 지리적 위치도 고려하여 최종 허위응답과 허위조사 잠재 가능성 분류군을 탐지하였다. 분석결과 허위조사의 경우를 정확히 탐지하였으며, 허위조사 잠재 가능성 분류군에 대한 특징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표본오차를 보다 정확하고 시의성 있게 관리할 수 있는 조사관리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과 의의를 가진다.

통계기법을 활용한 포장파손자료의 잠재오차 보정 (Correction of Latent Errors in Pavement Deterioration Data using Statistical Methods)

  • 한대석;도명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587-598
    • /
    • 2012
  • 성공적인 자산관리시스템의 도입은 풍부하고도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함께 시작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는 관측 오차들은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는 관리자의 유지보수활동을 방해하며 파손과정이나 생애주기비용 예측결과의 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무엇보다도 관리자가 자신의 손으로 직접 조사한 자료를 믿지 못하는 모순된 결과를 낳는다. 이런 현상은 도로포장관리분야에서 특히나 심각하다. 도로관리자들은 이러한 사실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오차 없는 조사를 수행한다는 것은 하나의 큰 도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장표면 조사자료에 포함된 오류 및 잠재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으로는 오차의 구조 및 신뢰도를 고려할 수 있도록 확률분포이론에 근거한 두 가지 기법(샘플기준법과 분포기준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국도에서 수집된 포장상태자료들을 활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눈에 보이는 오류들만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방법론으로는 포장자료에 포함된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도로자산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분석의 신뢰성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유출조건(ARC) 방법을 통한 유출곡선지수의 산정(방림, 상안미 유역) (Estimation of Runoff Curve Number using Antecedent Runoff Condition (Bangrim and Sanganmi Basin))

  • 양재모;박정훈;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8-288
    • /
    • 2011
  • 최근 들어 관측된 강우-유출 사상으로부터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CN)를 계산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이것은 기존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 을 이용한 유출곡선지수 적용에 대한 여러 문제점(AMC 기준의 타당성, 초기손실우량과 최대잠재보유수량의 비($I_a$ S=0.20의 적정성))이 부각되면서 선행유출조건을 이용한 유출곡선지수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유출조건(Antecedent Runoff Condition, ARC) 방법을 적용하여 IHP유역인 방림과 상안미 유역의 강우-유출자료로부터 CN을 직접 산정하였다. 먼저 방림과 상안미 유역에서 각각 12개, 10개의 관측된 강우-유출 사상을 통해 초기손실우량과 최대잠재보유수량의 비($I_a$/S)가 기존 가정의 0.20보다 작은 것을 확인하고 수정된 $I_a$/S비를 고려하여 대상 유역에서의 적정 CN을 산정하였다. 실제 강우-유출 사상에서 산정한 각 사상별 CN의 대표값을 찾기 위해 ARC-II의 평균유출조건으로 가정하여 각 사상별 단순평균과 4개의 지속기간(4시간, 3시간, 2시간, 1시간)별로 구분하여 평균한 CN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계산된 유효우량과 관측 유효우량과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각 사상을 단순 평균한 ARC-II 조건으로 가정하여 계산된 CN의 오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 AMC)의 CN으로 산정된 유효우량과 ARC조건으로 산정된 유효우량을 비교한 결과 방림유역에서 는 오차가 ARC 방법의 경우 37.76%, AMC 방법의 경우 51.27%로 평가되었고 상안미 유역에서는 오차가 ARC의 경우 31.97%, AMC 방법의 경우43.08%로 두 유역에서 모두 ARC 방법으로 산정된 CN이 더 적은 오차값을 주었다. 따라서 방림과 상안미 유역에서의 ARC로 산정된 CN값은 유효우량 산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이차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 검증 (Examining Trajectory in Adolescent Mobile Phone Dependency Using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 최정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7-2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 문제의 심각성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휴대폰 의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실증적인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학교 1학년 1~4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이차잠재성장모형(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을 이용하여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을 확인하였다.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에 대한 최적의 모형을 찾기 위해 다수의 모형을 구성하여 비교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이차함수모형에 대하여 오차 간 공분산을 설정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측정동일성 제약을 가한 후, 오차 간 공분산에 대한 동일화 제약을 가한 모형이 가장 좋은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모형에 의하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휴대폰 의존 정도는 증가하다가 그 증가율이 둔화되는 이차함수모형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잠재변수를 이용한 RP/SP 결합모형에 관한 연구 (Combined RP/SP Model with Latent Variables)

  • 김진희;정진혁;손기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9-128
    • /
    • 2010
  • 통행자의 통행수단선택행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수단의 속성뿐만 아니라 통행자 개인의 잠재된 통행행태 즉, 통행행태적 선호도 역시 큰 영향을 미친다. 통행수단선택행태에 특정한 영향을 미치는 잠재통행행태를 수단선택모형에 반영한다면 비관측요인에서 기인하는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통행행태에 대한 다양하고 보다 합리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상대중교통 도입에 따른 수단선택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변수를 정의하고 새로운 수단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RP/SP 결합모형을 구축하였다. 잠재변수는 행태설문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계량화하였다. 모형구축결과 통행자들의 잠재된 통행행태는 수단선택행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잠재변수를 반영한 경우 모형의 적합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잠재행태 관점에서도 RP/SP 결합모형이 SP모형에 비해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잠재그룹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전립선암 환자의 베이지안 그룹화 (Bayesian Clustering of Prostate Cancer Patients by Using a Latent Class Poisson Model)

  • 오만숙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3
    • /
    • 2005
  • 최근 많은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모집단에 내재해 있는 여러 다른 그룹(class, segment)간의 이질성을 밝혀내고 객체들을 그룹별로 세분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 잠재그룹 모델(Latent class model)을 고려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2000년도에 국립 암 센터에 접수된 한국 내 연령별 전립선암 사망자수 자료를 기반으로, 잠재그룹 포아송 모형을 이용하여 전립선암 환자의 연령에 따른 그룹화를 시도한다. 최우추정법 등 고전적 추론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방법을 도구로 한 베이지안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베이지안 방법의 장점은 용이한 모수추정과 추정오차의 제공, 그리고 각 객체의 소속그룹의 판정과 이에 따르는 오차, 즉, 객체의 각 군집에 속할 확률, 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주어진 자료들에 대해 가장 적합한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그룹의 수나 세분화의 근거를 사전에 제공하지 않아도 자료가 주는 정보로부터 이들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Bass 확산 모형 계수의 추정치에 대한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the parameter estimates in the Bass Diffusion Model)

  • 홍정식;김영재;안재경;김태구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3-416
    • /
    • 2006
  • 신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요 예측을 Bass 확산 모형을 토대로 수행할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모형의 파라미터 추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Bass 확산 모형의 핵심적인 두 파라미터인 혁신 계수(p)와 모방 계수(q)의 추정을 시도할 때, 어느 정도의 데이터 개수가 요구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현실적인 중요성을 갖는 문제이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주로 기존의 판매 데이터를 토대로 Bass 모형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때, 생기는 다양한 문제점 파악에 집중되었다. 시뮬레이션의 경우는 Bass 모형에 랜덤 오차를 추가하여 실시하였다. 이 경우 데이터 개수가 계수추정에 미치는 영향은 도출되나 각 계수별 민감도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에서 예측치를 발생시킬 때 랜덤 오차 대신, 혁신 계수와 확산 계수의 변동을 주는 방법을 도입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 변동보다는 q 변동이 예측치의 오차에 대해 보다 중요하다. 둘째, 오차가 잠재수요의 30%이하로 떨어지기 위해서는 수요가 최대로 도달하는 시점이 $t^*$ 일 경우, $t^*\;+1$까지 데이터가 요구된다.

  • PDF

스테레오 코딩을 위한 스테레오 영상의 밸런싱 방법 (A Balancing Method of Stereo Pairs for Stereo Coding)

  • 김종수;최종호;김태용;최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3-177
    • /
    • 2007
  •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테레오 영상의 전송시 요구되는 비트레이트의 감소가 절실히 필요하다. 하지만, 스테레오 영상은 서로 다른 카메라에 의해 취득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서로 차이가 있고, 이것은 디스패리티 추정시 큰 오차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송될 비트레이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스테레오 영상들 사이의 밸런싱이 필요하다. 스테레오 영상의 밸런싱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Specification 방법과 타깃 영상의 국부정보, 스테레오 영상간의 오차 분포를 이용한다. 히스토그램 Specification 방법은 그레이레벨의 맵핑관계를 정의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맵핑될 레벨의 맵핑 구간을 구할 수 있다. 그 구간에서, 맵핑될 기준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와 스테레오 오차값의 분포는 서로 모양이 유사할 것이다. 그러나, 폐색된 영역이나 노이즈에 의해 그 모양이 변하므로 우리는 맵핑될 픽셀들을 오차영상에서 그 픽셀들의 근방에서 구한 평균들과 오른쪽 영상(타깃 영상)에서 맵핑될 픽셀의 근방에서 구한 평균이 최소 값을 갖는 위치 값으로 맵핑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험에서 기존 방법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 준다.

  • PDF

3D 치료시 Couch rotation에 의한 Isocenter 변화에 대한 고찰

  • 박용철;주상규;송기원;정천영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4-146
    • /
    • 2000
  • 삼차원 입체조형치료는 정상조직의 장해를 최소화하고 종양부위에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임상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조직의 장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사선 조사방향이 사용되며 특히 비 동일면상에서의 조사가 많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couch 회전이 동반되며 couch는 선형가속기의 다른 기계적 오차보다 많은 오차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을 안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오차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couch 회전에 따른 Isocenter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3대(Primus, Simens, USA/CL600c & 2100c, Varian, USA)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으며 이중 1대의 장비에는 couch 회전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couch 고정장치를 장착하였다. 환자가 테이블에 부하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을 실시하여 Isocenter의 변화를 측정하고 환자가 테이블에 누워있는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human phantom을 위치시킨 후 동일한 회전검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오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실험은 10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얻었으며 오차의 분석은 AAPM 권고안인 오차중심의 반경으로 표현했다. 3대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 테이블에 부하를 주지 않은 상태의 회전오차는 평균 2mm, 3.2mm, 2mm로 측정되었으며 휴먼 phantom을 올려놓고 부하를 준 상태에서의 오차는 평균 2.1mm, 4mm, 2.1 mm이였다. 또한 고정장치를 이용한 상태에서의 평균오차는 1.9mm로 나타났다. 삼차원 입체조형치료 시 couch 회전에 따른 Isocenter 오차는 장비의 종류 및 작업자의 사용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테이블의 부하가 클수록 많은 오차를 보였다. 또한 couch 고정장치를 부착한 장비에서의 결과치 만이 AAPM에서 권고하는 오차의 한계에(${\le}2mm$) 들어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기적인 QA가 필수적이며 Couch Locking System과 같이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보조장치의 부착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이러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