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잔류 오스테나이트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Fabrication Process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0.14C-6.5Mn TRIP Steels (0.14C-6.5Mn TRIP강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제조공정의 영향)

  • Lee, O-Yeon;Ryu, Seong-Il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11 no.5
    • /
    • pp.431-437
    • /
    • 2001
  • This research was examined the effect of intercritical heat treatm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retained austenite formation in 0.1C-6.5Mn steels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 strength high ductility steel. using of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due to retained austenite. The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is very important for the good ductility and it depend on diffusion of carbon and manganese during reverse transformation. It is effective to heat treat at$ 645^{\circ}C$ in order to obtain over 30 vol.% of retained austenite. However, it is more desirable to heat treat at $620^{\circ}C$, considering the volume fraction and mechanical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The strength-elongation combination in cold rolled steel sheets after reverse transformed at $620^{\circ}C$ for 1hr was about 4000k9/mm7, but it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holding time at high temperature due to the decrease of ductility. The addition of 1.1%Si in 0.14C-6.5Mn TRIP steel does not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retained austenite formation.

  • PDF

열처리에 따른 HT9강의 미세조직 변화

  • 김성호;이창규;류우석;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72-77
    • /
    • 1998
  • 액체금속로 노심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HT9강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열간압연상태에서의 조직은 마르덴사이트, $\delta$-페라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 그리고 탄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austenitization하여도 그 함량은 감소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았으나, tempering후에는 잔류하지 않았다. 오스테나이트 입자크기는 austenitization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하여 11005$^{\circ}C$에서는 약 42$\mu\textrm{m}$였다. Austenitization 온도 증가에 따라 탄화물의 평균 크기 및 평균 면적 분율은 크게 감소하고 있었다. 50$0^{\circ}C$에서 tempering한 경우에는 Fe-rich 탄화물이 석출하였으나, tempering 온도가 증가하면 Cr-rich M$_2$$_3$C$_{6}$ 탄화물이 석출하고 있었다. Austenitization 상태에서는 100$0^{\circ}C$ 까지는 탄화물의 분해가 일어나 경도값이 증가하나 100$0^{\circ}C$ 이상에서는 일정한 경도값을 나타내었다. Tempering한 시편에서는 탄화물의 석출과 전위의 회복으로 인해 tempering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경도값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The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and Destabilization Heat Treatment on the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in High Chromium Cast Irons (고크롬주철의 잔류오스테나이트함량에 미치는 화학조성 및 불안정화열처리의 영향)

  • Ryu, Seong-Go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4
    • /
    • pp.372-378
    • /
    • 1996
  • 고크롬주철에 있어서 기지 및 탄화물의 조직제어는 내마모성의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기지조직내의 잔류오스테나이트함량은 최적 내마모성을 얻기위해 반드시 조절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 C-18%(or 25%)Cr-Mo-Ni-Mn 고크롬주철을 80$0^{\circ}C$, 90$0^{\circ}C$, 100$0^{\circ}C$ 및 110$0^{\circ}C$의 질소분위기 하에서 각각 20분 불안정화열처리를 행한 후 공냉시켰다. 잔류오스테나이트의 함량은 Xtjs 회절시험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회절 peak는 $\alpha$200, $\alpha$220, ${\gamma}$220그리고 ${\gamma}$311을 이용하였다. 화학조성, 불안정화열처리의 온도 및 시간, 그리고 잔류오스테니이트함량강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Residual Stress Distributions of Induction Heating Bend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316 Series) Piping (유도 가열 굽힘된 316 계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 배관의 잔류응력 분포 고찰)

  • Kim, Jong Sung;Kim, Kyoung Soo;Oh, Young Jin;Chang, Hyun Young;Park, Heung Ba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7
    • /
    • pp.809-815
    • /
    • 2014
  • The induction heating bending process, which has been recently applied to nuclear piping, can generate residual stresses due to thermomechanical mechanism during the process. This residual stress is one of the crack driving forces that have important effects on 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geometric shape variations such as the change in thickness and ovality. Moreover, very few studies are available on the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on residual stres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on the residual stress distributions of induction heating bend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316 series) piping using parametric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eat generation rate and feed veloc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idual stresses whereas the moment and bending angle have insignificant effects.

A Study on the Solidification Structure, Heat-Treated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of Multi-Component White Cast Iron for Hot Forged Roller (열간압연롤용 다합금계 백주철의 응고조직, 열처리조직 및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 Ryu, Seong-Go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8 no.5
    • /
    • pp.436-443
    • /
    • 1998
  • 2.3%C-26%Cr-1%Ni-0.5%Mo 조성의 다합금계 고크롬백주철을 고주파유도용해로를 사용하여 주조한 후 응고조직, 열처리조직 및 기계적성질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주방상태에서는 초정덴드라이트조직인 기지조직과 공정탄화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기지조직의 73%가 오스테나이트, 27%가 마르텐사이트조직이었다. $900^{\circ}C$에서 5시간동안 균질화열처리만 행한 시편의 경우, 기지조직은 거의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1100^{\circ}C$에서 불안정화열처리후 강제공냉시킨 시편의 경우, 유지시간에 따라 기지조직내의 잔류오스테나이트함량은 48.9-57.6%의 범위에 놓여 있었다. 주방상태 및 열처리시편 공히 마모량과 마모시간과의 관계가 직선적으로 얻어 졌는바 마모속도는 $2.77x10^{-2}$ /$~4.12x10^{-2mg}$ /sec의 범위에 걸쳐 있었다. 주방상태의 시편이 내마모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균질화열처리만 행한 시편이 가장 열악하였다. 기지조직내 잔류오스테나이트함량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경도는 감소하였고 반면에 내마모성은 향상되었다. 이는 마찰마모시험시 접촉부위의 오스테나이트가 가공경화를 일으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었기 때문으로 사려된다.

  • PDF

A Study on Solidification and Wear Character of Multi-alloyed White Cast Iron

  • Yu, Sung-Kon;Matsubara, Yasuhiro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0 no.4
    • /
    • pp.260-268
    • /
    • 2000
  • 응고 및 마모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Cr, V, Mo 및 W의 조성이 다른 3종류의 백주철을 주조하였다. 고주파유도용해로에서 장입시켜 1873K까지 승온시켜 장입원료들을 모두 용해시킨 후 1823K에서 Y블럭주형에 주입하였다. 얻어진 3종류의 백주철조성은 다음과 같다: Fe-3%C-10%Cr-5%Mo-5%W(합금1), Fe-3%C-10%V-5%Mo-5%W(합금2) 및 Fe-3%C-17%Cr-3%V(합금 3)응고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각 시편으로부터 50g을 채취한 후 알루미나도가니에 넣고 실리콘카바이드로를 사용하여 1723K의 알콘분위기하에서 재용해를 시켰다. 용금을 10K/분의 속도로 냉각시키면서 열분석을 행하였으며 도중 몇 차례 소입 실험을 병행하였다.합금1의 경우 초정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M_7C_3$)공정, (오스테나이트+$M_6C$)공정, 합금2의 경우 초정 MC, 초정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MC)공정 , (오스테나이트+$M_2C$)공정, 합금3의 경우 초정 $M7C_3$와 (오스테나이트+$M_7C_3$)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방상태, 균질화열처러상태, 공냉상태, 템퍼링상태에서 내마모시험을 행하였다. 먼저 주방상태시 편을 진공분위기하에서 1223K에서 5시간동안 균질화열처리를 행한후 로냉을 시켰다. 다시 이 시편을 1323K에서 2시간 유지후 강제공냉을 시켰으며 강제공냉된 시편을 573K에서 3시간동안 템퍼링처리를 하였다. 내마모시험은 120 mesh마모지에 10N의 하중을 가하여 실시하였다. 각 사이클마다 무게감소를 측정하였으며 8번 반복실험을 하였다. 마모량은 균질화열처리시편, 주방상태시편, 템퍼링시편, 공냉시편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합금2가 마모량이 가장 적었으며 합금3이 가장 많았다. 합금2의 마모량이 가장 적은 이유는 조직이 초정 MC, 공정 MC 및 공정 M2C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주방상태에서 기지조직은 퍼얼라이트이었으나 열처리를 통하여 마르텐사이트, 템퍼드마르텐사이트, 잔류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MC가 내마모성에 가장 기여하는 조직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Effects of Carbon Content on Microstructure and Amount of Austenite in As-Cast and Heat-Treated Multi-Component White Cast Iron (다합금계 백주철에 있어서 탄소가 탄화물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 Yu, Sung-Kon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17 no.5
    • /
    • pp.488-493
    • /
    • 1997
  • 주방상태 및 열처리를 행한 다합금계백주철(Fe-5%Cr-5%V-5%Mo-5%W-X%C(X=0.5, 1.0, 1.5, 2.0, 2.5, 3.0)에 있어서 탄소함량이 탄화물의 형태 및 잔류오스테나이트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주방상태의 경우, 2.0% 이하의 탄소함량에서는 편상MC 및 층상 $M_2C$탄화물만 관찰되었으나 2.5%C 이상의 경우, 편상 및 괴상MC, 층상$M_2C$ 그리고 셀형 $M_7C_3$탄화물이 관찰되었다. 또한, 기지조직내 오스테나이트의 함량도 탄소첨가와 더불어 점차 증가하여 2.5%C에서 84.8%의 최대함량을 나타낸 후, 3.0%C에서는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열처리한 시편의 경우, 1차탄화물의 형상은 주방상태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열처리중 기지조직내 용해되었던 C, Cr, V, Mo, W등이 아주 미세한 2차탄화물의 형태로 석출되어 기지조직내 오스테나이트의 함량은 주방상태의 그것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Effects on Machining on Surface Residual Stress of SA 508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A508 탄소강 및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잔류응력에 미치는 기계가공효과)

  • Lee, Kyoung-Soo;Lee, Seong-Ho;Park, Chi-Yong;Yang, Jun-Seok;Lee, Jeong-Geun;Park, Jai-Ha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5
    • /
    • pp.543-547
    • /
    • 2011
  •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has occurred in dissimilar weld areas in nuclear power plants. Residual stress is a driving force in the crack. Residual stress may be generated by weld or surface machining. Residual stress due to surface machining depends on the machining method, e.g., milling, grinding, or EDM. The stress is usually distributed on or near the surface of the material. We present the measured residual stress for machining on SA 508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s such as TP304 and F316. The residual stress can be tensile or compressive depending on the machining method. The depth and the magnitude of the residual stress depend on the material and the machin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