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류의도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5초

병원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조직애착이 잔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 Attachment on Intention to Stay in Hospital Nurses)

  • 고영혜;정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11-519
    • /
    • 2021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조직애착이 잔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종합병원 간호사 21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병원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조직애착이 높을수록 잔류의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잔류의도의 주요 영향 요인은 직무배태성, 조직애착으로 나타났으며, 잔류의도의 45%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능력에 알맞은 업무 배치 및 평가가 필요하며, 조직애착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조직적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병원종사자의 이직의도와 직무요인 간의 인과관계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을 중심으로-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Factors of Hospital Workers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of Medical Administration and Nurses Jobs-)

  • 김운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151-15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병원조직에서 종사하는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와 직무요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통해 이직 또는 잔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이직감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표본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중소병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만을 대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예측을 하면,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 사이에는 직무특성의 차이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직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또한 두 직종의 감정노동 강도와 이직의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인관관계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에 대한 실증검증을 통해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에서 인지하는 직무요건 중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파악하고, 두 요인이 이직의도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두 직종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및 잔류의도 (The Workplace Empowerment on Staf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 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1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mpowerment structural model based on Kanter's work empowerment theory. Method: A predictive, nonexperimental design was used in a sample of 279 nurses from 3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fitness of the hypothethical model to the data was good(chi-square=.7751, df=4, p=.942, GFI=.999, AGFI=.996, RMSEA=.000). Both formal power and informal power directly influenced on nurses' perceived empowerment level and empowerment directly influenced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irectly influenced on nurses' intent to stay.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hospital and nurse managers should provide the empowering working condition for nurses to be stayed in hospitals.

  • PDF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대한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차별적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MICE Industrial Employee's Job Attitudes)

  • 고종욱;박종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23-13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정성의 결과변수로서 직무만족,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의 네 측면에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30개 MICE업체 종사자 30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자료수집도구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서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절차공정성보다는 분배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MICE산업종사자들의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대해서는 분배공정성보다는 절차 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는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관련해서는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MICE산업종사자들의 잔류의도 및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분배공정성의 긍정적 영향은 절차공정성이 높을 때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관계 및 역할과 관련한 두 요인모형, 문화적 모형 및 상호작용모형에 대하여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감염관리간호사의 소진과 잔류의도 경로모형 (A Path Analysis for Burnout and Intent to Stay for Infection Control Nurses)

  • 이미향;박영임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pay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concept on burnout and intention to stay for infection control nurs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intention to stay. Methods: Participants were 146 nurses who consented and faithfully responded to th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Results: The variables affecting burnout and intention to stay in infection control nurses were identified. Emotional labor (B=.424) had a positive impact on burnout, social support (B=-.528), professional self-concept (B=-1.056) and pay satisfaction (B=-.072) had negative impacts on burnout, social support (B=.392)and pay satisfaction (B=.136) had positive impacts on intention to stay, and burnout had a negative impact on intention to stay. Conclusion: 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burnout in infection control nurses and increase their intention to stay, the infection control nurses themselves must invest in education and self-improvement to become specialists while hospitals 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specialists by holding workshops and seminars. In addition, institutional procedures should be put in place so as to oblige hospitals to hire nurse specialists for infection control work in infection control units.

농약사용에서의 잔류기준 설정과 GAP (Establishing residue limits and GAP in the use of pesticides)

  • 이서래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21
    • /
    • 2005
  • 국가차원에서 식품안전 프로그램은 소비자보호와 식인성질환의 예방을 기본요소로 하고 있으며 정부, 식품산업, 소비자가 책임질 일이다. 여기에서는 WHO에서 제안하고 있는 식품안전 프로그램의 원칙을 소개한 다음 식품생산에 사용되는 의도적 첨가물의 잔류기준 설정에서 GAP의 중요성, 국제기구와 국내에서 잔류농약의 기준설정에 활용되고 있는 절차와 차이점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잔류농약에 대한 국내기준을 Codex 기준과 조화시키는데 필요한 사항들을 건의하였다.

축산식품의 환경오염물질 방지 대책 (Control of Chemical Residues in Edible Meats)

  • 박종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29
    • /
    • 1993
  • I. 서론 : 식생활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구이며 생존을 위한 기본조건입니다. 그러므로 식생활의 기본이 되는 식품은 사람에게 가식성, 영양성, 안전성을 충족시켜야 하며 여기에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높은 생산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의 구비조건은 과거 자급자족의 농경시대에는 생산자가 바로 소비자로서 커다란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으나 도시화, 산업화된 현대사회에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다르며 식품은 상품으로서 판매되므로 소비자는 고품질의 안전한 식품을 요구하고 생산자는 수익성이 높은 고생산성의 식품을 상품으로서 생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축산식품이 상품으로 생산되면서 생산자들은 더 높은 생산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축산분야에서는 가축 품종의 육종 개량과 함께 생산성을 저해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약제 및 성장촉진과 사료효율을 개산할 수 있는 물질들을 사료첨가제로 개발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나 의도적으로 사용한 물질들은 대부분 항생제물질이나 화학적 합성품들로서 가축자체는 물론 생산물에 잔류되어 그 축산물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유해작용의 우려를 갖게 하였습니다(의도적 오염). 또한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샤료곡물에 잔류되어 사료를 통한 오염원ㅇ니이 될 수도 있고 목초지에 산포한 잔류성 농약이 목초를 오염시켜 뜻하지 않게 가축과 축산물을 오염시킬 수도 있습니다. 축산분야에서 잘 알려진 아플라톡신 같은 곰팡이 독소류는 오염된 사료원료에 의하여 가축에 피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또 우유나 축산물을 통하여 사람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많은 공해요인들을 유발시켰으며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고순도의 중금속류(수은, 납, 카드뮴 등)는 각종의 과학기계를 제작하는데 필수소재로써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였지만 그 폐기물들은 우리의 생활주변을 오염시켜 그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과 동물을 오염시키고 사람의 생활환경도 위태롭게 하고 있습니다.

  • PDF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인 절연유 중 PCBs에 대한 분석 기술동향 (Technical trend of analysis for PCBs in Transformer oil)

  • 소진중;심대섭;김규섭;김언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11-1212
    • /
    • 2008
  • 스톡홀름협약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위해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고자 동 물질의 저감 또는 근절을 목적으로 2004. 5. 17에 발효된 국제협약이다. 현재 150 여개국이 서명, 120개국이 비준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1. 10. 4 서명하였다. 이 협약의 주요 의무사항은 의도적으로 생산되는 POPs 제품의 생산,사용 금지 또는 제한하고 비의도적으로 생산되는 POPs 배출저감 또는 근절(대상물질 : 다이옥신, 퓨란, HCB, PCBs)이다.

  • PDF

국내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의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 조사 (Monitoring of Unregistered Pesticides Contaminated in the Domestic Crops Grown under Good Agricultural Practices)

  • 김준성;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83
    • /
    • 2017
  •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잔류의도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on Intention to Stay of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 조은정;김상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3호
    • /
    • pp.245-25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ofessional self-concept, work environment, resilience and intention to stay for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intention to stay. We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measures for increasing intention to stay.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the subjects were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1 year at a university hospital with 744 beds, located in city C.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20 nurs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ere from September 15 to 30, 2020.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intention to stay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r=.57, p<.001),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r=.29, p=.002), and resilience (r=.50, p<.001).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intention to stay was the sense of satisfaction (β=.40, p<.001), a sub-factor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dicating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the higher the intention to stay.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5.0% of the variance of the outcome variable (F=9.64, p<.001). Conclusion: Sense of satisfaction was identified as a factor impacting the intention to st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to apply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the nurses' intention to st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