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은 도서관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직무환경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Strategies of Itinerant Librarians' Job Environment at Small Libraries)

  • 채희라;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94
    • /
    • 2022
  • 작은도서관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해 온 반면 인력 부재와 운영 부실 등 질적 성장에 대한 부분이 문제점으로 줄곧 지적되어왔다. 이에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연계와 협력 기반 구축을 목표로 2010년부터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사업이 추진되었고,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 부재와 운영 부실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고, 순회사서의 열악한 처우와 직무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순회사서가 경험하는 작은도서관의 문제점과 직무상 문제 상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순회사서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과 순회사서에 대해 알아보고, 순회사서와 작은도서관과 관련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자료 분석을 통해 '업무권한 부족', '업무 매뉴얼 부재', '소통, 커뮤니티 부재', '통합 운영 체계 미비', '열악한 처우 및 근무환경', '업무 환경 미비', '악성 이용자', '소속감 부재로 인한 고립감' 등 총 17개 의미 주제를 추출하였고, 이를 업무, 조직, 환경, 정서, 사회, 제도 등 6가지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순회사서의 직무 권한 및 기준 규정 정비, 커뮤니티 조직 구축, 고용안정성 보장, 직무교육 강화 등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소식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35권2호통권285호
    • /
    • pp.73-74
    • /
    • 1994
  • PDF

서울시 작은도서관의 자치구별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utonomous District)

  • 노영희;한문성;이근화;최만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1-1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작은도서관에 대한 각종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작은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운영방식이 상이한 자치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운영방식을 제안하여 자치구별 작은도서관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획일적인 예산지원 및 지도관리가 아니라 운영주체에 따른 운영 특성을 감안하여 공립과 사립이 구분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울시에 산재된 작은도서관들은 각자의 설립주체에 의해 공중의 생활권역에서 지식정보 및 독서문화서비스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따라서 질적인 면이나 양적인 면에서 이용자의 욕구 충족 여부를 떠나 설립 목적에 부합하게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서울시가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관리하려고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관련 조례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작은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rlibrary loan services of small libraries)

  • 정다솜;이은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년도 제2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5
    • /
    • 2013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장서부족문제를 개선할 현실적 대안으로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 간의 상호대차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상호대차의 개념과 유형을 논하고, 서울시 구립공공도서관의 상호대차 서비스 현황을 파악한다. 사례연구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울시 산하 구립 공공도서관 3곳을 비교 분석하고, 담당 사서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역 내 상호대차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지역사회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작은도서관 - 대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Small Libraries as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Focused on the case of Atti Library)

  • 이성신;성희자;이세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7-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동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나갔었던 과정을 탐색해봄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아띠도서관 만들기모임 초기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띠도서관은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 간의 인적네트워크가 공고해지고 확장되는 토대가 되었으며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지역의 공동체가 성장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지역의 작은도서관들은 단지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포함하여 자신들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Dewey 십진분류법 제20판의 해설

  • 오동근
    • 도서관문화
    • /
    • 제30권5호통권258호
    • /
    • pp.32-38
    • /
    • 1989
  • 본고는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Vol.33, No.2 1989.3-4)에 실린 Simmons Colleg의 S.S. Intner의 글을 완역한 것이다. 새로이 개정된 DDC 제20판에 대한 포괄적인 해설기사로, 이용을 위한 작은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