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지원선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Implementation of the Session Migr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on Mobile Application Server (모바일 응용 서버에서의 다중 단말 장치간 세션 전이 구현)

  • 장철수;김성훈;노명찬;김중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623-625
    • /
    • 2003
  • 유무선 통합의 인터넷 환경을 지원하는 모바일 응용 서버는 휴대폰, PDA, PC 등 다양한 단말 종류를 타겟으로 한번 저작된 동일한 컨텐츠를 단말기 종류에 상관없이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응용 서버로 구축된 비즈니스 업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의 간헐적 단절성, 업무의 긴급성, 표현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적절성, 업무의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단말 장치를 임의로 선택하여 비즈니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즈니스 업무들은 단말기 종류가 변하더라도 이전의 단말기에서 처리하였던 내용을 계속 이어 받아 업무를 진행시켜야 한다. 단일 단말기를 이용할 때에 페이지 간의 작업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세션 객체를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세션 객체는 유선 인터넷상의 단일 단말기만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세션을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단발기간에 세션 전이를 가능하게 하여 세션 객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다중 단말기간에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설계 내용 및 구현 상황에 대해 논하겠다.

  • PDF

Wire and wireless integration service support system design for automation of using the existing Internet contents in Mobile circumstance (모바일 환경에서 기존 인터넷 컨텐츠 활용의 자동화를 위한 유무선 통합 인터넷 서비스 지원 시스템 설계)

  • 류지현;권경환;이긍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27-629
    • /
    • 2003
  • 무선 인터넷의 발전으로 PDA, 휴대폰, 노트북 등 여러 모바일 환경에서의 인터넷 사용이 유선 인터넷 환경만큼이나 편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들은 기존 유선 인터넷 컨텐츠를 사용하여 무선인터넷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한, 모바일과 PC의 환경적 차이등으로 기존 인터넷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HTML형태의 기존 인터넷 컨텐츠들을 XML문서로 변환하여 컴포넌트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에서 기존 인터넷 컨텐츠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XML문서를 가지고 모바일 환경에서의 제한된 입출력과 취약한 보안성을 고려하여 인터넷 서비스 사용시 발생되는 사용자정보의 반복적 입력을 자동화하는 사용자정보 자동 적용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인터넷 컨텐츠를 모바일 환경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새로운 유무선 통합 인터넷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 PDF

A User Interest-based Filtering Method of Group Editing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그룹 에디팅을 위한 사용자 관심도 기반 필터링 기법)

  • 최미진;조은영;이동만;강경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69-171
    • /
    • 2002
  • 현저한 대역폭의 차이를 보이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협동작업, 예를 들면 그룹 에디팅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선택적 전송, 압축, 프로토콜 차원에서 지원 등 다양한 필터링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효과적으로 메시지의 수를 줄였으나 사용자가 관심을 두지 않는 부분이라도 메시지가 발생 순서에 따라 전달되기 때문에 바로 알려져야 하는 사용자에게 변경 메시지의 전송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관심도에 따라 메시지간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필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 PDF

Virtual Reality Based Welding Training Simulator (가상현실 기반 용접 훈련 시뮬레이터)

  • Jo, Dong-Sik;Kim, Yong-Wan;Yang, Ung-Yeon;Lee, Gun-A.;Choi, Jin-Sung;Kim, Ki-Ho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9-49
    • /
    • 2010
  • 용접은 산업계의 기계 조립 및 접합을 위한 공정의 주요한 작업으로 조선, 중공업, 건설 등 산업현장에서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작업으로 대부분 수행된다. 이러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용접 기술자는 산업 현장 훈련원과 직업 교육 학교에서 양성되지만 용접 훈련 과정은 실습 초보자에게 위험하고, 장시간 교육하기에 어려울 뿐 아니라 재료 낭비, 의사 소통의 한계, 즉석 결과 평가의 한계, 공간부족 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안전하고 반복적인 실습 환경 제공하고 장시간 및 다수 교육참여 지원 등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숙련된 우수 인력 조기 확보와 훈련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와 동일한 상호작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로 훈련 환경을 가시화하여 용접 상황을 동일하게 모사하는 가상 현실 기반 용접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용접의 형상과 환경의 고품질 가시화, 경험 DB를 통한 용접의 비드 형상 데이터 획득, 용접 토치를 이용하는 사용자 상호작용, 용접 훈련 결과 평가 및 최적 작업 가이드, 용접 콘텐츠 저작, 다양한 용접 훈련을 가시화하는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고품질 가상 용접 가시화는 경험 DB 기반 비드 형상 데이터와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비드 형상 예측을 통해 실시간 비드 표현이 이루어지며 쉐이더 기반 고품질 모재 및 비드 표현, 아크 불꽃 효과 표현을 포함한다. 사용자 상호작용은 현장 작업 도구와 일치된 토치 인터페이스와 위치추적을 이용하여 토치의 작업각, 진행각, 속도, 거리 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진동과 소리 등 용접 훈련의 사실적 상호작용도 재현하였다. 용접 훈련 평가 및 최적 작업 가이드는 훈련자의 용접속도, 거리, 각도 등의 사용자 작업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현하고, 애니메이션을 통한 훈련 자세를 추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가상토치, 기준선, 수치계기 등을 이용한 최적 작업 훈련 가이드 제시하였다. 훈련 콘텐츠 저작은 메뉴UI 기반으로 용접의 전류, 전압 등의 조건과 상황을 선택하도록 제시하였고, 하드웨어 플랫폼은 워크벤치형 입체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용접 환경을 가시화하였고, 위, 정면, 아래보기 등 다양한 용접 자세 변경을 지원 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이러한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는 아크열 발생에 따른 장시간 훈련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다양한 실습 환경을 바꾸어 가며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하고, 실 재료를 사용하지 않아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안전하고 효율적인 훈련 실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 User Interest-based View Synchronization Framework for Real-time Groupware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그룹웨어를 위한 사용자 관심 영역에 기반한 뷰 동기화 프레임워크)

  • 최미진;조은영;강경란;이동만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9 no.4
    • /
    • pp.369-380
    • /
    • 2003
  • With the proliferation of a wireless support and the advances of mobile devices, there is a growing need of making it available for a wireless network as well. Low bandwidth of a wireless network is one of the major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extending a synchronous collaboration system developed for a wired network to supuort a wireless network. We propose a priority-based view synchronization scheme, exploiting the relaxed synchronization. The proposed scheme leverages the fact that mobile users need not have the exactly same view as the users in a wired network since they usually have a limited screen size and thus focus only on part of a whole document.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simple group editor with the propose scheme using ns -2. The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keeps the message transmission delay low so that mobile users can have synchronous colloboration with wired users without signification delay. The proposed schem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framework to support various kinds of realtime groupware applications, exploiting the existing groupware framework, Habanero. As a client program, we implemented a simple group text editor.

Test Case Generation of GSMP Protocol for Open Multiservice Switching System (개방형 멀티서비스 교환 시스템에서 GSMP의 시험열 생성 기법)

  • Lee, Hyun-Jeong;Choi, Young-Il;Lee, Byung-Sun;Jun, Ky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129-1132
    • /
    • 2000
  • 최근 인터넷 수요의 증가로 통신망에서 음성, 영상 및 데이터(data)를 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멀티서비스(multiservice)의 교환 기술이 필수적이다. 또한 망 사업자들이 여러 벤더(vendor)들로부터 최적의 장비를 선택하여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통신 장비들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는 개방형 구조의 망 및 스위치 시스템(switch system)을 정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페트리 넷(Petri Nets)은 시스템(system)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시스템은 페트리 넷 이론에 의해 시스템의 수학적 표현인 페트리 넷으로 설계될 수 있다. CPN(Colored Petri Nets)은 페트리넷의 확장형으로서, 토근(token)에 칼라를 부여하여 다양한 특성을 지닌 시스템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Design/CPN은 CPN의 사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software package)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멀티서비스 교환 시스템의 핵심으로 스위치와 제어기(Controller) 사이의 표준 프로토콜인 GSMP(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을 Design/CPN 으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시험열을 생성한다.

  • PDF

GIS based Effective Methodology for GAS Accident Management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가스사고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태일;김계현;전방진;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99-406
    • /
    • 2004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가스시설은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시설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도시가스업체에서는 가스관망 시설정보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할 수 있는 가스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가스시설물의 현황파악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관계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정확한 사태의 파악과 함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가스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응용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사고분석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사고관리 적용알고리즘 분석 및 최적의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1ㆍ2차 차단밸브의 산정이 가능해짐으로써 빈번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실시간으로 적정대처방안의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누출 최대가스량을 제시함으로써 누출에 대한 피해예상 분석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아울러, 가스누출사고에 의한 가스공급중단 관로 및 수용가에 대한 속성현황의 파악은 물론 시각적인 도식을 통한 전체적 현황파악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한 사고방안 제시 및 사고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민의 안전 및 복지와 도시가스업체의 업무 효율화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 PDF

Automatic Detection of Pulmonary Embolism in Spiral CT Angiography (나선형 CT 혈관촬영의 폐색전증 자동 검출)

  • Han, Jae-Bok;Hong, Sung-Hoon;Kim, Soo-Hyung;Lee, Gue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03-706
    • /
    • 2004
  • 나선형 CT 혈관촬영에서 획득한 영상의 분석를 통해서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으로, 연구 대상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CT 검사 후 방사선과 의사가 정상소견을 받은 환자 5명과 폐색전증이 있는 판독소견을 가진 15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CT 검사하는 동안에 조영제를 투입하면, 폐색전증이 발생한 부위는 조영제 양과 분포가 불균등하여 명암값이 낮게 검출된다. 검출방법으로는 전처리 작업으로 폐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된 폐영역에서 혈관을 찾기 위해 모폴로지기법를 적용하여 세선화(thinning) 작업을 진행한다. 다음 공정으로는 경계선을 찾아 local watershed를 적용하여 혈관을 검출하고, 검출된 혈관내에서 원형모델을 적용하여 모폴로지(morphology)을 통해 국소 부위의 미세한 농도변화를 인지하여 색전이 발생한 영역을 자동검출하였다. 본 논문의 자동검출시스템에서는 색전증이 있는 경우에 true positive의 발생빈도는 case 당 4.5개가 검출되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혈류의 흐름, 혈류의 분기점, 노이즈로 인한 false positive의 빈도는 case 당 2.6개가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false positive는 5.2개가 검출되었다. 본 논문은 false positive의 비율이 높게 검출되었지만 폐영역 CT 검사의 컴퓨터지원진단시스템(computer aided diagnosis)의 향후 연구과제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Quay productivity with minimizing double activities in Container Terminal Yard (컨테이너터미널 야드 중복작업 최소화를 통한 안벽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Geong-Jung;Lee, Jung-Sun;Lee, Moun-Su;Kwak, Ky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340-341
    • /
    • 2007
  • In case of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s scale of a yard device chapter is small and narrow, and redundant works of device chapter facilities ability and transfer cranes are misgovernment occurring very much bemuse of this There is to the misgovernment that cannot support design ability of a container crane of quay because of this There is this in a change of marine transportation harbor environment to cross over to a large easel next of a ship, and a large problem cannot but become. Watched how redundant works were occurring in the second yards, and presented a problem Also, present the hint point tint these redundant works analyze how productivity of quay productivity and container crane is improved if solution works, and face to this.

  • PDF

An Index-Building Method for Boundary Matching that Supports Arbitrary Partial Denoising (임의의 부분 노이즈제거를 지원하는 윤곽선 매칭의 색인 구축 방법)

  • Kim, Bum-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1
    • /
    • pp.1343-1350
    • /
    • 2019
  • Converting boundary images to time-series makes it feasible to perform boundary matching even on a very large image database, which is very important for interactive and fast matching. In recent research,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perform fast matching considering partial denoising by converting the boundary image into time series. In this paper, to improve performance, we propose an index-building method considering all possible arbitrary denoising parameters for removing arbitrary partial noises. This is a challenging problem since the partial denoising boundary matching must be considered for all possible denoising parameters. We propose an efficient single index-building algorithm by constructing a minimum bounding rectangle(MBR) according to all possible denoising parameters. The results of extensive experiments conducted show that our index-based matching method improves the search performance up to 46.6 ~ 4023.6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