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자 할당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Mobile Agent based Role Delegation Scheme (이동 에이전트 기반 역할 위임 기법)

  • Jung, Young-Woo;Ko, Kwang-Sun;Kim, Gu-Su;Eom,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849-852
    • /
    • 2007
  • 이동 에이전트는 네트워크를 이동하면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써 홈 네트워크, 텔레메틱스 등의 많은 응용분야에서 새로운 컴퓨팅 모델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여러 응용분야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RBAC을 활용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RBAC을 활용한 시스템들은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역할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로 하여금 시스템 내부 정보를 변경하거나 역할간의 계층을 변경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위임하고자 하는 역할과 대상을 정의하고 이를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는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역할 위임 기법을 제안한다.

  • PDF

Workforce Assignment in Multiple Rowsfor Factory Automation (공장 자동화를 위한 다열 배치에서의 작업자 할당)

  • Kim Chae-Bog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7 no.2
    • /
    • pp.68-77
    • /
    • 2004
  • This paper considers the workforce assignment problem to minimize both the deviations of workloads assigned to workers and to maximize the total preference between each worker and each machine. Because of the high expense of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difficulties of firing employees, there is no part time workers in semiconductor industry. Therefore, multi-skilled workers are trained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in several machines. The bicriteria workforce assignment problem in this paper is not easy to obtain the optimal solution considering the aisle structure and it is belong to NP-class. The proposed heuristic algorith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pacefilling curve technique, simulated annealing technique and graph theory focusing on the multiple-row machine layout. Examples are presented for the proposed algorithms how to find a good solution.

A Study on the Kernel-Based Management for Mobile Grid Application (모바일 그리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커널 기반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Kim, Tae-Kyung;Seo, Hee-Se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5 no.4
    • /
    • pp.21-28
    • /
    • 2006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obile grid architecture using kernel-based managements. Mobile grid paradigm is used to allow mobile users to access distributed resources in a transparent, secure and effective way. Each mobile grid user requests job submission, searches for suitable resources to run Job, executes the job to the allocated system resources, and receives the results of the requested job. There are a number of challenging issues when taking mobile environment into account, such as limited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and mobility of mobile device. To resolve these issue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kernel-based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grid application to overcome the limited resources of mobile devices. Also, we show the efficiency of the suggested architecture us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 PDF

데이타 코드 생성 지원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 박대하;정인기;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04a
    • /
    • pp.265-274
    • /
    • 1993
  • 정보화 사회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데이타 코드들은 일관된 설계 원칙없이 필요할 때마다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정보의 중복 저장 및 정보교환에 있어서의 변환 작업등으로 인한 경비의 소요가 상당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코드 설계자가 일관성있게 데이타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타 코드 생성 지원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불완전 영역 설계를 위한 지식 획득과 표현에 적합한 전문가 시스템 쉘인 GUESS(Guideline Underlying Expert system Shell)를 설계하였다. GUESS는 전문가 시스템을 설계 지원 도구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기존에 작성된 적절한 설계 용례를 선택의 기준으로 제공하며, 유연성 있는 작업 지침들을 규칙으로 포함하고 있다. GUESS는 Prolog언어를 기반으로 한 추론기관과 설계지침을 포함하는 정적지식, 외부 데이타베이스를 연결한 동적 정보, 설계 세부방법을 담고 있는 부가도구들로 구성된다. GUESS/DCG는 데이타 코드 생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데이타 코드의 유형과 선택기준 및 설계원리를 정적지식으로 가지며, 이를 경험적으로 탐색하는 추론 기관 및 사용자인 데이타 코드 설계자와 적절한 대화식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설명부분과 대화 인터페이스를 GUESS를 바탕으로 구현한 것이다. 특히 동적 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데이타 코드의 통합된 저장, 일관성 있는 운영을 보장하기 위하여 개발중인 데이타 코드 관리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추가하여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데이타 코드의 참고와 호환성, 확장성을 유지하였다. 이 시스템은 데이타 코드 관리시스템에 일관된 생성 수단을 제공하는것 외에도, 각 기관에서 대량으로 작성되는 데이타 코드를 유지, 보수하는 작업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지의 선택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작업장의 휴리스틱에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 PDF

VDSL 가입자 전송기술 개발 및 표준화 동향

  • 강규민;임기홍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6 no.10
    • /
    • pp.112-12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FTTC/VDSL (Fiber-to-the-Curb/Very 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전송시스템의 개발동향과 ANSI, ETSI, ITU등의 표준화 위원회에서 현재 진행중인 VDSL 시스템의 표준화 작업에 대해 기술하였다. 특히,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BA-ISDA(Basic Access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HDSL(High-rate Digital Subscriber Line), SDSL (Single-pair HDSL),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의 다양한 xDSL (Digital Subscriber Line) 서비스들에서 발생하는 NEXT (Near-end Crosstalk)/FEXT (Far-end Crosstalk)와 같은 crosstalk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된 VDSL시스템의 주파수 대역과 PSD (Power Spectral Density) mask에 관해 설명하고, 순방향(down-stream) 채널과 역방향(upstream) 채널의 데이터 전송률이 대칭적인 VDSL전송시스템과 비대칭적인 VDSL 전송시스템 간의 주파수대역의 호환성 문제,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 ingress/egress 문제의 해결 방안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현재 VDSL Coalition과 VDSL Alliance 간에 논의 중인 VDSL 전송시스템의 변복조 방식에 관한 표준화 작업과정 및 순방향과 역방향에 할당될 band 개수에 따른 시스템 성능의 장단점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FTTC/VDSL 전송시스템의 전체구조를 요약하고, 네트워크에서 가입자쪽으로 순방향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51.84 Mb/s 19-CAP (Carrierless Amplitude/Phase Modulation) 전송시스템과 가입자 댁내에서 네트워크 방향으로 역방향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1.62 Mb/s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burst-mode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시스템 등의 동작 원리 및 구조를 기술하였다.

  • PDF

Scalable and Dynamically Reconfigurable Internet Service System Based on Clustered System (확장과 동적재구성 가능한 클러스터기반의 인터넷서비스 시스템)

  • Kim Dong Keun;Park Se My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10
    • /
    • pp.1400-1411
    • /
    • 2004
  • Recently, explosion of internet user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on the architecture of Web service system, from single server system to clustered server system, in parallel with the effort for improving the scalability of the single internet server system. But current cluster-based server systems are dedicated to the single application, for example, One-IP server system. One-IP server system has a clustered computing node with the same function and tries to distribute each request based on the If to the clustered node evenly.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more useful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It works on shared clustered server(back-end server) with an application server(front-end server) for a particular service. An application server provides a particular service at a low load by itself, but as the load increases, it reconfigures itself with one or more available server from the shared cluster and distributes the load on selected server evenly We used PVM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clustered server. We found the implemented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provides more stable and scalable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has remarkable performance improvement on the dynamic load changes.

  • PDF

Introducing Code Inspection Procedure Based on Defect Causal Analysis (결함 원인 분석을 통한 코드검증 절차 도입 방안)

  • Rho, Ji-Ho;Lee,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633-1636
    • /
    • 2003
  • 코드검증은 소프트웨어공학에서 제안한 개발 프로세스 상의 여러 절차 중 비용 대 효과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코드검증 절차 도입 초기에는 적용에 따른 기대 수준이 낮으며, 추가 작업에 대한 개발자와 관리자의 부담이 높기 때문에 투입시간, 자원할당 등의 계획은 설득력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제품 개발 시 발생 되었던 결함의 원인 분석과 결함 제거에 투입된 공수 산출을 바탕으로 코드검증 절차를 개발 프로세스 상에 도입, 계획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혼합모델 조립라인의 작업순서 결정

  • 최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10a
    • /
    • pp.106-107
    • /
    • 1993
  • 오늘날 다양한 고객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공품재고 없이 단일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는 혼합모델조립(MMAL)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MAL은 모든 일감에 대해 동일한 작업장, 작업시간이 동일한 여러가지 사양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장, 그리고 작업시간이 상이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작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유형의 작업장에서의 작업순서결정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순서에 따라 작업준비비용이 달라지게 된다. 세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필요로 하는 작업유형의 종류와 양에 따라 원활한 흐름에 변화를 가져온다. 조립라인의 일괄작업순서가 작업장의 처리능력보다 많은 부하를 초래하면 후속 작업장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해당 작업장의 작업자들을 지원하는 보완작업(utility work)을 행하여야 하나, 타 작업장에서 해당조립품의 작업시간에 따라 해당작업장의 부하는 평활화될 수 있으므로 보완작업량은 통제가능하다. 따라서 준비비용과 보완작업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일정계획이 요구된다. 이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져오고 있으나, 두가지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연구는 아직 많이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이미 제시된 TSP개념을 이용한 비선형2진 혼합정수계획모델인 수리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너무 복잡하여 현실문제를 적용할 경우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시간에 최적에 가까운 해를 구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준비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휴리스틱기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작업장에서 행해지는 작업유형은 기본작업과 여러가지 선택작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기본작업과 두가지의 선택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작업장의 휴리스틱에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Optimal Bidding Strategy for VM Spot Instances for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VM 스팟 인스턴스 입찰 최적화 전략)

  • Choi, Yeongho;Lim, Yujin;Park, Jaes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9
    • /
    • pp.1802-1807
    • /
    • 2015
  • Th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s physical IT resources to VM instances to users using virtual technique and the users pay cost of VM instances to service provider. The auction model based on cloud computing provides available resources of service provider to users through auction mechanism. The users bid spot instances to process their a job until its deadline time. If the bidding price of users is higher than the spot price, the user will be provided the spot instances by service provid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idding strategy to minimize the total cost for job completion. Typically, the users propose bidding price as high as possible to get the spot instances and the spot price get high. we lower the spot price using proposed strategy and minimize the total cost for job comple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strategy, we compare the spot price and the total cost for job completion with real workload data.

An Evaluation of Routing Methods and the Golden Zone Effect in the Warehouses Order Picking System (창고의 복도형 오더 피킹 시스템의 'Golden Zone' 운영과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 효과 비교)

  • Li, Jin;Lee, Yong-Dae;Kim, Sheung-Kow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2
    • /
    • pp.67-76
    • /
    • 2011
  • Order picking in automotive service parts warehouse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labor-intensive operation. Such warehouses contain hundreds of thousands of items, but normally 20% of products contribute to about 80% of turnover according to Pareto's 80-20 principle. Therefore most fast moving items are located near an outbound area which is called the "Golden Zone". Order picking routing efficiency is related to productivity and labor cost. However, most companies use simple methods.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eries of computational experiments over a set of test cases where, we compared various previously existing routing heuristics to an optimal algorithm. We focus on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golden zone on the performance and selection of routing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the optimal routing method increases the productivity at least 17.2%, and all the routing methods have better performance as the pick up rate from the golden zone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