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자 안전

Search Result 95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Verification of Suitable Height of Plank Seat for Improving the Health and Safety of Farmers (농작업자의 건강과 안전 향상을 위해 적합한 작업용 좌대 높이의 검증)

  • Jung, In-Ju;Jung, Hwa-Shik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9 no.4
    • /
    • pp.11-16
    • /
    • 2007
  • 최근 들어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농어촌에도 자동화가 가속화되면서 작업자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농업현장에서 대부분의 작업들이 부적절한 자세로 수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는 쪼그려 앉는 작업자세가 요구되는 각종 농작업에 있어서 적합한 높이의 작업용 좌대를 제공함으로써 부적절한 작업자세를 개선하여 노동 강도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과 요통 등 근골격계질환을 감소시켜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농작업에서 행해지는 쪼그려 앉는 여러 자세에 있어서 재배작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작업용 좌대의 높이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쪼그려 앉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유사한 작업이라도 작업위치에 따라 쪼그려 앉는 작업용 좌대의 적합한 높이는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작업위치가 5cm 이하이면 작업용 좌대 높이는 10cm가 적절하며 작업위치가 20cm이면 15cm, 작업위치가 40cm이면 20cm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농작업에 적용한다면 작업조건이 향상되어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허리, 어깨, 다리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력작업에 따른 무리한 힘의 소모를 감소시켜 노동력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

Hazardous Area Identification Model using Automated Data Collection(ADC) based on BIM (BIM기반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을 활용한 위험지역 식별 모델)

  • Kim, Hyun-Soo;Lee, Hyun-Soo;Park, Moon-Seo;Lee, Kwang-Pyo;Pyeon, Jae-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6
    • /
    • pp.14-23
    • /
    • 2010
  • A considerable number of construction disasters occurs on pathway. A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is usually performed to prevent accidents in activity areas. This means that safety management level of hazards on pathway is relatively minified. Many researchers have introduced that a hazard identification is fundamental of safety management. Thus, algorithms for helping safety managers' hazardous area identification is developed using automated data collection technology. These algorithms primarily search potential hazardous area by comparing workers' location logs based on real-time locating system and optimal routes based on BIM. And potential hazardous areas is filtered by identified hazardous areas and activity areas. After that, safety managers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potential hazardous areas and can establish proper safety countermeasures. This can help improving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Development of Smart Helmet based on Realtime Information (착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송에 기반한 사고 예방 스마트 안전모 개발)

  • Ahn, Hyeong-Wook;Park, No-Il;Kim, Sunmyeng;Oh, Du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09-1210
    • /
    • 2017
  • 착용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빠른 대처가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한다. 안전모 내부에는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 보조배터리, 각종 센서 모듈들이 내장되어 있다. 라즈베리파이는 카메라 모듈과 통신 모듈을 갖고 있다. 아두이노에는 소리센서와 도어락센서, 충격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작업자의 주변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각 센서들은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자 서버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상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위험 상황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수행한다.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해 스마트 안전모는 무선통신 환경에서 상황에 따른 센서들의 동작에 의해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Problems and Improvement of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Foreign Worker in Construction Sites (외국인 작업자에 대한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Cho, Young-Hang;Chung, Chul-Woo;Lee,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2
    • /
    • pp.175-180
    • /
    • 2021
  • Recently, there are lack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such vacancy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many construction sites. Foreign workers have been hired to fill such vacancy, but increasingly high demands for construction workers made construction companies to hire foreign workers who did not properly pass the health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In this work,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basic education program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which is the first mandatory requirement for foreign workers, were evaluated to suggest applicable solutions for this program. Literature reviews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practitioners who were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Results from survey were analyzed to derive proper methods for improvement on basic education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It is believed that suggested solution from this work can make foreign workers to be more conscious about health and safety issues, so that it will eventually decrease the accident rate in construction sites.

가스 시공자의 안전수칙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60-63
    • /
    • 2009
  • 안전, 또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때 우리나라는 '안전불감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안전에 대한 의식이 저조해서 사고가 많았다. 이에 따라 각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시키고 행동강령 주지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가스와 관련한 사고는 대형사고로 번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작업 시 더욱 주의를 필요로 한다. 본지는 가스시공 시의 일반적인 안전수칙과 탱크, 용기, 기계실, 고소작업, 용접작업 천공 분기작업, 도시가스 공급시설물 작업 시의 안전수칙에 대하여 게재한다.

  • PDF

기고 - 재단기의 안전한 사용법

  • Kim, Sang-Il
    • 프린팅코리아
    • /
    • v.8 no.8
    • /
    • pp.90-93
    • /
    • 2009
  • 1970년대 고도 성장시기를 거치면서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회사의 자랑거리일 때가 있었다. 작업환경이나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의식은 제품의 빠른 생산이라는 사명에 가려 대수롭지 않게 여겼고, 생산현장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늦게라도 회사가 안전에 더 신경을 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고를 당한 당사자의 부주의를 탓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고 교육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작업환경 개선 및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그에 대한 규정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 되었다.

  • PDF

작업시작전 교육-휴대용 연삭기 작업안전

  • Kim, Seok-Ji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23
    • /
    • pp.58-61
    • /
    • 2008
  • 연삭기는 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공구 중 하나이다. 그 중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연삭기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업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빈도가 높아 그 만큼 위험요소 또한 많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크고 작은 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작업자의 부주의 및 관리 소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휴대용 연삭기, 어떻게 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

  • PDF

한국 작업자의 요통예방을 위한 작업하중 설계지침

  • 이관석;박희석;서치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97-10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는 작업에 있어서 한국 작업자의 적정하중을 구하여 중량물 안전기준을 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피실험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적정하중을 결정하기 위 한 기준으로서 피실험자 자신에 의해서 인지되는 스트레스 정도를 이용하는 심리육체적 방법(Psychophysical method),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요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는 생체역학적 방법(Biomechanical method),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피실험자의 에너지 소모량을 이용하는 생리학적 접근법등이 이용되었다. 피실험자는 학생(n=3) 두개의 군으로 나뉘어진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피실험자에 대한 인체측정과 근력측정을 수행 하였다. 실험은 수직면에서 드는 빈도(1,2, 와 4회/분)와 드는 높이(0-8cm 와 47-102cm)를 조합한 6가지의 작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심리육체적 방법으로 각 작업에 대한 적정하중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피실험 자의 신체자료와 근력의 비교로부터 신체조건은 학생이 우수하였으나, 근력은 작업자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 에서 채택된 들기의 빈도가 변함에 따라 최대허용 하중은 변하였다. 작업자군에 대하여는 빈도가 증가할수록 최대허용 하중은 감소하였으며, 학생군에 대하여는 분당 1회와 분당 4회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들기의 시작-종점의 변화에따른 최대허용 하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두 결과는 들기의 빈도가 들기의 시작-종점보다 민감한 변수임을 가리키며 이는 미국 NIOSH의 결과와 일치한다. 심리육체적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젊고 건강한 남성의 대부분(99%)을 고려하여 산출된 최대허용 하중은 미국 NIOSH 안전기준과 큰 차 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최대허용 하중은 인체역학적방법과 생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무리가 없는 수준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우리나라 젊고 건강한 남성에게 적합한 무게상수는 작업자군에 대하여 25.05kg, 학생군에 대하여 20.24kg 으로 나타나 이는 미국 NIOSH 안전기준과 대체로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