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로봇 이동제어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obile control for installed working robot of a feed cable line of an electric train (전차 급전선 케이블 가설 작업 로봇의 이동제어)

  • Hong, Soon-Ill;Park, Jong-Sun;Hong, Jung-Pyo;Kim, Sil-K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2585-2587
    • /
    • 2005
  • 본 논문은 전차선 급전 케이블 자동가설 로봇의 이동제어를 나타내었다. 작업로봇의 차륜 구동부를 모델링하여 이동제어 시스템이 작업로봇의 이동에 유용한 것을 구명하였다 실험을 하여 실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위험작업을 위한 원격조종용 로봇 ROBHAZ

  • 윤승국;이우섭;류동석;강성철
    • ICROS
    • /
    • v.10 no.4
    • /
    • pp.35-42
    • /
    • 2004
  • 일반적으로 21세기에는 로봇이 기존의 인간이 가지고 있던 작업영역을 대처 할 거라고 말해지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재난 현장, 인명구조, 지뢰제거, 정찰과 같은 위험작업 영역에 대해서 먼저 기존 인력을 대처할 수 있는 이러한 로봇의 필요성이 두각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 작업 현장에서 운영이 가능한 로봇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일반적인 위험작업 지역인 계단과 같은 비 평탄 지형에 대한 이동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로봇 이동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로봇은 Wheel Type, Track Type 그리고 Walking Type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비평탄 지역에서 Wheel Type은 Track Type에 비해서 상대적인 주행성능이 떨어진다고 일반적으로 말해지고 있으며 또한 Walking Type은 제어방식이 복잡하고 제어부의 크기가 커서 앞의 두 방식에 비해 절대적으로 이동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로봇기술을 응용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극한 작업 무인 자동화

  • 이재경;김승호
    • ICROS
    • /
    • v.2 no.5
    • /
    • pp.49-55
    • /
    • 1996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새로 개발되는 각종 신기술들이 적극 활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로봇기술을 원자력분야에 접합시키려는 노력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제한된 고방사선 구역에서의 효율적인 감시점검을 위한 원자력시설 감시점검용 이동형 로봇을 개발하였다. 환경감시 및 감시대상물의 이상상태의 점검 및 판단에 활용하기 위하여 열영상 감시장치, 방사선 준위 분포 관측장치 및 물체인식/추적장치가 탑재되도록 하였으며, 로봇의 주행 및 감시 점검 작업의 원활한 제어를 위하여 입체 영상장치, 가상현실 원격조작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동형 로봇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센싱장치들은 로봇에의 탑재 및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독립 시스템 형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장치 없이도 단독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발된 이동형 로봇은 원자력시설의 감시점검 뿐만 아니라 실제 사고 발생시의 비상사태에 대응하여 사태진압 및 사후처리 작업에 활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비원자력 분야의 극한환경에서의 응용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dual-arm SCARA robot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두 대의 스카라로봇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충돌회피에 대한 연구)

  • 홍용준;양승원;김성권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0b
    • /
    • pp.908-911
    • /
    • 1996
  • 본 논문은 작업공간을 공유하는 두 대의 스카라 로봇으로 이루어진 Dual-Arm SCARA 로봇 시스템과 여러 대의 로봇을 제어할수 있는 로봇제어기로 동시에 독립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 두 로봇의 동작에 따른 로봇 ARM의 모델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상대 로봇과의 충돌이 예상되는지를 실시간 검색하여 두 로봇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충돌검출 방법과, 두 대의 로봇이 충돌가능성으로 인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 작업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돌회피를 위한 로봇의 궤적을 생성하여 로봇을 이동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 올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 PDF

Tension/Movement Control of Working Robot and Dynamic Model of the Stringing Wire Cable (가설 와이어 케이블 동적모델과 작업로봇의 장력/이동 제어)

  • Hong, Jeng-Pyo;Kim, Yoon-Sik;Lee, Sung-Geun;Hong, Soon-Ill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1
    • /
    • pp.118-125
    • /
    • 2012
  • In this paper, an approach to designing controllers for the tension/movement control of working robot to install a stringing wire cable is presented. To design a controller, when the robot moves a certain distance maintaining constant tension, the dynamic model of a stringing wire cable which considers effects of weights according to changing lengths is presented. Also the tension at startup of the working robot is studied by numerical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equation of the dynamic wire model. From the dynamic model for a stringing wire cable, working robot for tension/movement control is suggested and designed a feedforward controller with a accelerator gain to suppress a mutual interference of the both tasks of tension/movement control.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working robot,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system has been verified by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Mobile remote assistant robot using flex sensor and mecanum wheel (플렉스 센서와 메카넘 휠을 사용한 이동식 원격 작업보조 로봇)

  • Yoon, DongKwan;Park, CheolYo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2
    • /
    • pp.53-59
    • /
    • 2022
  • In this paper, a mobile robot capable of remote control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various work environments. Specifically, a mobile remote work robot that mo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can perform a series of task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ser's hand movements, and a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were proposed. It was implemented using a robot hand and a wheel for movement to assist in tasks such as transporting dangerous goods or heavy good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robot, the maximum weight that can be carried by the robot hand and the movable inclination of the robot were tested, and the test evaluation results satisfied most of the targeted design specifications.

A Study on Posture Control Algorithm of Performing Consecutive Task for Mobile Manipulator (이동매니퓰레이터의 연속작업 수행을 위한 자세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Jong-Iek;Rhyu, Kyeong-Taek;Kang, Jin-G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3
    • /
    • pp.153-160
    • /
    • 2008
  •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Mobile Manipulator is redundant freedom. Using it's redundant freedom, a Mobile Manipulator can move in various modes, and perform dexterous motions. In this paper, to improve robot job performance, two robots -mobile robot, task robot- are joined together to perform a job, we studied the optimal position and posture of a Mobile Manipulator to achieve a minimum of movement of each robot joint. Kinematics of mobile robot and task robot is solved. Using the mobility of a Mobile robot, the weight vector of robots is determined. Using the Gradient method, global motion trajectory is minimized, so the job which the Mobile Manipulator performs is optimized.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with PURL-II which is Mobile Manipulator combined Mobile robot and task robot,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 PDF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warm-bot for Carrying Objects in a Maze (미로 내 목표물 이동을 위한 군집로봇 효율성에 관한 연구)

  • Lee, Byeong-Jun;U, Gyun;Jung, Sung-Youb;Jeon, Joon-Key;Kim, Hyeong-Il;Kim, Han-Bit;Kim, Mi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621-624
    • /
    • 2007
  • 군집로봇이란 하나의 일을 단순한 작업을 하는 여러 대의 로봇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로봇들을 일컫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군집로봇을 이용하여 미로를 탐색하고 스스로 작업을 분할하여 목표물을 운반하는 로봇 제어프로그램을 작성했다. 또한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으로 로봇 수와 작업 목표물 개수에 따른 군집로봇의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 환경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군집로봇을 사용하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로봇 수를 늘리는 것은 일정 한계까지 작업 효과가 증가하며 그 이후에는 오히려 작업 효과를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Optimal Configuration for Mobile Manipulator Using Divide-and-Conquer Control (분할-획득 제어를 이용한 이동매니퓰레이터의 최적 자세에 관한 연구)

  • Kang Jin-Gu;Lee Kwan-H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6
    • /
    • pp.1395-1401
    • /
    • 2005
  • Mobile manipulator is a robot that has mobility and manipulability with the combination of the task robot and mobile robot.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Mobile Manipulator is redundant freedom. Using the redundant freedom, Mobile Manipulator can move various mode, perform dexterous motion. It can have the wider workspace and better performance in avoidance of singularity and obstacle than the fixed base structured robot. Cooperation control using the Mobile Manipulator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with redundant freedom in workspace. In this paper, configuration control of the Mobile Manipulator has been studied using Task Segment and TOMM(Task-Oriented Manipulability Measure). For verifying the proposed algorithm, we implemented a mobile manipulator, PURL-II, which is composed of a mobile robot with 3DOF and a task robot with SDOF.

무인화 환경 기반의 서비스 로봇 시스템 연구 동향

  • An, Ho-Seok;Sa, In-Gyu;Lee, Dong-Uk
    • ICROS
    • /
    • v.17 no.2
    • /
    • pp.19-26
    • /
    • 2011
  • 무인화 로봇 연구는 정해진 환경에서 빠른 속도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산업용 로봇을 이용하는 무인화 공장 등으로 발전되었다. 최근에는 정해진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사람 대신 작업을 수행하는 무인화 로봇 시스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청소 로봇은 이미 많은 가정에 보급되었으며, 홈 로봇이나 안내 로봇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전쟁 지역이나 심해, 방사는 누출 지역 등 재난 지역에 사람 대신 투입되어 인명 구조나 탐사, 시설 복구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