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물보호제

Search Result 31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비농경지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방법 - 종류 많고 다년생잡초 우점경향 비선택성 토양처리제가 유효

  • 변종영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2 s.101
    • /
    • pp.47-51
    • /
    • 1991
  • 비농경지는 농산물과 임산물을 생산하는 농경지,임야등을 제외한 모든 공지를 의미하지만 잡초방제를 대상으로 보면, 택지, 공업용지와 도로, 고속도로, 철도, 학교 운동장, 공원 등이 포함되는 공공용지로 구분할 수 있다. 농경지는 국가경제가 발전될수록 계속 잠식되어 택지, 공장부지 및 공공용지로 이용됨에 따라 비농경지 면적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농경지에 발생된 잡초방제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으로 비농경지 잡초의 분포, 방제법 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잡초방제의 중요성과 관심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비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 및 피해양상, 잡초방제의 특성과 제초제를 이용한 잡초방제법을 정리하여 보기로 한다.

  • PDF

7$\cdot$8월 본논관리 어떻게 하나?

  • 이상석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8 no.4
    • /
    • pp.85-92
    • /
    • 1987
  • 못자리 기간 동안 약간의 저온으로 모가 덜 자라 초기에는 모내기가 늦어지는 듯 하더니 충분한 강우와 기계모내기의 증가(전 논면적의 약 44$\%$)에 힘입어 오히려 빨리 끝나 금년에도 풍년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제 7,8월의 본논기간 동안 벼가 잘 자라고(영양생장) 벼이삭이 제대로 생기고 패서 잘 익게 하는(생식 생장)관리가 훌륭히 수행되어야하겠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병충해를 잘 막아서 그 피해를 극소화하는 한편 물관리와 거름 주기, 풍수해 방지등 세심한 관리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근교화훼농업의 현황 및 전망과 방제시 문제점

  • 김득래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4 no.9
    • /
    • pp.14-18
    • /
    • 1983
  • 서울 근교의 화훼 농업은 단적으로 말해서 영세성(零細性)을 면치 못한 실정이다. 아직까지 자기 땅을 가지고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화훼 농가들은 차지농 형태의 경영으로 말미암아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간이 하우스에서 꽃을 재배하기 때문에 질이 높은 상품을 생산하지 못하고 저질의 값이 싼 상품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한 하우스에서도 재배온도 환경이 다른 것을 소위 만물상(萬物商)식의 많은 종류의 꽃을 재배하기 때문에 병충해의 발생이 많고 방제에도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모든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하우스 시설개선, 토양 소독기, 환경개선 자금을 저리로 융자하여 보다 근대화된 하우스에서 양질의 꽃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PDF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 한국농약공업협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8
    • /
    • pp.87-92
    • /
    • 1981
  • 농약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여 농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미연에 막는일은 앞으로 농약사용에 있어 중요한 일이며 사용과정에서 잔류량이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지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농약의 잔류량은 농약의 종류와 제제형태, 사용시기, 살포농도, 살포회수, 종류와 품종, 재배방법 또는 살포한 후 수확이나 식용할때까지의 기간등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방법등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농약의 약효를 의심하기전에, 농약을 범인시하여 불신하기전에 이 기준을 제대로 지켜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 PDF

기승떠는 응애 이렇게 막아내자 - 동일성분 약제 연용 피하고 입 앞뒷면까지 충분히 살포

  • 한국농약공업협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7
    • /
    • pp.57-59
    • /
    • 1981
  • 응애의 천적인 딱정벌레가 유기염소제인 DDT와 BHC에 의하여 전멸된 이후 응애피해가 급진적으로 창궐하여 과수류를 비롯해 채소, 산림에 이르기까지 많은 피해를 입혀 농민을 우울하게 만들었고 그 방제도 무척 어려워 악성 해충의 으뜸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조금만 더 세밀한 관심을 갖고 약제를 사용한다면 경제손실을 최대한 막을 수 있으므로 과학영농하는 자세로 적정약제를 교대로 살포, 증산에 이바지 해야겠다.

  • PDF

농약표시내용(라벨)은 분명하고 간결해야 한다 - "농약표시내용 및 광고에 관한 아시아$\cdot$태평양 지역망회의"를 다녀와서

  • 강충길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5 s.104
    • /
    • pp.35-42
    • /
    • 1991
  • 농약표시내용(라벨)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농약의 표시내용은 원제회사나 제조회사의 연구와 개발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내용과 지도 및 충고를 농약구입자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농약표시내용은 농약관리법 제15조, 동법 시행규칙 제13조 제1항에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는 $\ulcorner$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그 제조 또는 수입한 농약을 판매하고자 할 때에는 용기나 포장에 농약명$\cdot$품목명$\cdot$유효성분 함유량$\cdot$적용병해충명$\cdot$약효보증기간$\cdot$기타 농림수산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표시$\lrcorner$하도록 되어있다. <농약표시내용 및 광고에 관한 아시아$\cdot$태평양 지역망 회의>가 세계식량농업기구(FAO)의 후원하에 1990년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되었던 바 토의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벼농사용제초제 그 문제와 대책 -효과적인 잡초방제의 핵심-

  • 김동성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3 no.6
    • /
    • pp.34-44
    • /
    • 1982
  • 197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1974년 이래 급속한 사용증가를 기록한 우리나라의 벼농사용 제초제는 1980년을 최고로 95$\%$ 이상의 농가에 의해 매년 사용되고 있다. 1982년 5월 현재 정부에 의해 논잡초약으로 고시된 제초제의 종류는 14종 17게 품목이고 이들중 8종 10개 품목은 일년생 잡초약 그리고 6종 7개품목은 소위 다년생 잡초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동안 벼의 소출에 직접 영향을 주는 살충제나 살균제의 중요성에 비추어 제초제는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비교적 경시(輕視)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1980년 이후 일반농가는 물론 정부의 제초제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게 높아져서 여러 가지 논의가 되고 다각도에서 심각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기회에 필자가 평소에 생각해온 문제의 핵심과 그 대책을 기술함으로써 효과적인 잡초방제에 일조(一助)가 되기를 바란다.

  • PDF

수확철 이후 농약사고 예방 위한 제언 - '빈 용기 수거.안전한 농약보관' 사용자가 만드는 제2의 안전성

  • Park, Hak-Sun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2
    • /
    • pp.24-27
    • /
    • 2009
  • 농업인이 첨단 자재인 농약사용을 망설이거나 소비자가 우리 농산물이 안전한지 아닌지를 의심하는 것만큼 불행한 현실은 없다. 농업인은 올바른 사용 및 보관법을 준수하여 대소의 사로를 예방해야 하면 소비자는 농업 여건과 방제해야 하는 현실을 시인하고 이해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