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동온도

Search Result 82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Rock Bed Storage for Solar-Heated Greenhouse in Summer Season (여름철 자갈축열 태양열 온실의 축열층 온.습도 변화)

  • 이석건;이종원;이현우;김길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0.10b
    • /
    • pp.128-131
    • /
    • 2000
  • 자갈축열 태양열 온실에 있어 여름철 냉방에너지의 효과적인 절감 방안을 모색하고자 축열 및 배기시스템의 작동방식을 다르게 하여 주ㆍ야간 축열과 방열시 자갈축열층의 온습도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간에 외기온이 28.5$^{\circ}C$-35.3$^{\circ}C$범위에서 변화할 때 자갈축열층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30.5$^{\circ}C$-36.2$^{\circ}C$, 자갈축열층에서 온실내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28.2$^{\circ}C$-30.1$^{\circ}C$, 축열층 내부온도는 27.4$^{\circ}C$-35.9$^{\circ}C$ 범위였다. 또한, 10시간 축열시 자갈축열층 내부온도는 측점에 따라 1.7$^{\circ}C$-7.$0^{\circ}C$의 온도상승이 있었으며 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축열층 온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온도상승 속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야간에 축열시스템을 작동하지 않고 배기팬만을 작동하였을 경우, 외기온이 27.4$^{\circ}C$-34.4$^{\circ}C$범위일 때 자갈축열층 내부온도는 29.7$^{\circ}C$-34.9$^{\circ}C$(평균 31.4$^{\circ}C$)범위였으며 온실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구와 배기팬의 영향으로 축열층 내부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측점에 따라 2.2$^{\circ}C$-5.1$^{\circ}C$(평균 2.8$^{\circ}C$)의 온도하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름철 주간에 10시간 축열시 자갈축열층 내부습도는 측점에 따라 8.1%-26.3%의 감소현상이 있었다. 또한, 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축열층 습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습도하강속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습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야간에는 배기시스템의 영향으로 자갈축열층의 습도는 외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on the Operation Time of Sprinkler in Compartment Fire (구획 화재에서 스프링클러 열 손실계수 변화에 따른 작동 시간 분석)

  • You, Woo J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5
    • /
    • pp.34-39
    • /
    • 2018
  •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conditions for the variation of heat release rate in compartment space were constr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fire spread and the operation time of sprinkler in accordance with the heat loss of the sprinkler's heat element. The compartment composed of fire board (width = 0.3 m, height = 0.5 m, length = 3.0 m), are manufactur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inner space, the mass loss rate and heat release rate during the experiment of N-heptane pool fire test. Also, the operation time of sprinkler is analyzed with the installation of sprinkler and C-factor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Ver.6 under the experiment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operation time of sprinkler, which has RTI $100(m{\cdot}s)^{0.5}$ operating temperature $70^{\circ}C$, is 30 s~60 s for C-factor = 0 and 1, 62 s~92 s for C-factor = 3, and 120 s over for C-factor = 5, respectively.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arison of Operating Temperatures in Thermal Detector due to Tunnel Fire (터널 화재 시 열감지기 작동 온도의 비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Roh, Hyeong-Ki;Park, Kwang-Young;Im, Seok-Bee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1
    • /
    • pp.23-27
    • /
    • 2011
  •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with effective land utilization in this nation, many tunnels were and are being built across the country. However, the smoke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unnel fire are the most important critical factors which may results in both massive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especially, due to the closed surrounding of the tunnel. Considering this particular nature of the tunnels, this study aims to install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optic fiber ca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changes,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ed values with the times of temperature changes of the sensor by performing fire simulations under the same condition as a real fire test. From the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a fire occurrence and generates an alarm within one minute after ignition for both a real fire test and a fire simulation alike, and al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hanges of the sensor has close relations with the speeds of the currents inside the tunnel.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unnel fires can affect the evacuation efficiency and the fire extinguishing activities of the fire brigade inside the tunnel, the temperature sensor must be able to search and find the locations and directions of the fires correctly.

Development of $ZrO_2/Nafion^R$M composite membranes for PEMFC operation at high temperature/low humidity (고온/저가습 PEMFC운전을 위한 $ZrO_2/NafionM$ 복합막 개발)

  • Park, Ki-Tae;Jung, Un-Ho;Choi, Dong-Woong;Chun, Kook;Lee, Hyang-Mee;Kim, Sung-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99-402
    • /
    • 2006
  • 현재까지 연료전지 전해질 막으로는 Nafion으로 잘 알려져 있는 perfluorosulfonic acid(PFSA)막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막들은 $80^{\circ}C$ 이하의 낮은 온도의 연료전지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다. PFSA 막들은 탄소-불소로 이루어진 사슬의 특성상 산화, 환원의 조건에서도 뛰어난 안정성을 보이며 이온 전도도가 0.1S/cm 이상으로 기존에 알려진 전해질 막들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하지만 연료전지의 작동온도가 $100^{\circ}C$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는 막에 존재하던 수분이 제거되면서 수소이온 전도도가 떨어지며 기계적 물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을나타낸다. $1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연료전지를 작동시키면 양쪽의 전극에서 일어나는 촉매반응의 속도가 향상되며, 물의 끓는점 이상에서 작동되므로, 전지 내에서 다양한 상을 고려하지 않고 기화된 물만을 고려하여 설계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고온/저가습 운전을 위 한 전해질 막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Nafion 막에 전도성 무기 입자를 도입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무기 입자로서 $ZrO_2$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를 상용 10 wt.% Nafion 용액에 분산하여 solution casting 방법을 통해 $61{\mu}m$ 두께의 유기-무기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유기-무기 복합막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함수율, 이온 전도도, 당량무게 및 단위 전지를 이용한 전류-전압 곡선을 측정하여 상용 Nafion 112 막과 비교해 보았다. $ZrO_2$ 입자는 전도성이며 동시에 친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용 막에 비하여 함수율 및 수소이온 전도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복합막의 이러한 물성은 $100^{\circ}C$이상의 고온에서 전해질 막 내의 물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단위 전지 운전 온도 $130^{\circ}C$, 상대습도 37%의 운전 조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전지 성능을 보임에 따라 고온/저가습 조건에서 상용 Nafion 112 막보다 우수한 막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Ignition of ceiling insulation depending on working condition of Sprinkler head in underground parking lot fire (지하주차장 화재 시 스프링클러헤드 작동 여부에 따른 천장 위 단열재의 발화 여부)

  • Kim, Seo-Young;Kong, Ha-S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461-468
    • /
    • 2022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gnition of ceiling insulation depending on working condition of Sprinkler head in underground parking lot fire. When temperature changes of same point were measured depending on sprinkler's working condition, in Scenario 1, inner temperature at border of spray applied material(SP-2) of ceiling part near the fire and ceiling insulation(blowing polystyrene) was 658.27℃ and its which inner maximum temperature is higher than 427℃ which is the ignition point of ceiling insulation(blowing polistyrene), so it was observed that flame is ignited on the ceiling insulation and spread fire. In scenario 2, Inner fire temperature at border of spray applied material(SP-2) and ceiling insulation(blowing polystyrene) near the fire was 53.10℃ and it was lower than ignition point so it was observed that flame was not ignated on the ceiling insulation. As a result, it was foreseen that possibility of ignition on the ceiling insulation depending on working condition of sprinkler.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for a Heater Operation Test Device of Rain-Snow Gauges (우설량계 히터 동작시험장치 개발 및 특성분석)

  • Hong, Sung-Taek;Shin, G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739-1740
    • /
    • 2008
  • 수문관측용으로 사용되는 우설량계는 측정의 편의성과 강인성의 장점 때문에 대부분 전도형 우설량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하절기에는 강우량을 측정하고 동절기에는 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절기에 강설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동 히팅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눈이 생성될 수 있는 온도조건에서 히터가 작동되고 적정온도가 되면 히터의 동작을 멈출 수 있도록 히터 및 온도센서가 구성되어 있다. 우설량계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주기적으로 동작상태 등을 점검하고 있으며, 히팅장치도 점검의 대상이다. 그러나 히팅장치의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상시에 우설량계 점검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가변적인 온도신호에 따라 히터가 제대로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에 점검하기 용이하도록 우설량계 히터 동작시험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이 장치에 대한 동작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Temperature Limitation for Safe Operation in a Slab Laser Glass Set by Thermal Frature (열적 파괴로 인한 슬랩 레이저 글라스에서의 안전 작동을 위한 온도 제한)

  • 김병태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4 no.3
    • /
    • pp.354-358
    • /
    • 1993
  •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a zigzag slab laser glass was measured using a Mach-Zehnder interferome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face of the slab caused the fracture of the slab glass. Two laser glasses were fractured at a temperature difference ${\Delta}T_0$of TEX>$110^{\circ}C$, $62^{\circ}C$ respectively. For the design of high-average power glass las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limit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lta}T_0$ inside the slab glass should be smaller than $50^{\circ}C$ for safe operation.ration.

  • PDF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syphon Used for the Vehicle Operat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저온작동 조건에서 자동차용 써모사이폰의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 Lim, Taek-Kyu;Lee, Ho-Seong;Won, Jong-Phil;Cho, Chung-Won;Lee, Moo-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2
    • /
    • pp.510-51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ow temperatur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syphon with/without wick. Thermosyphons using water as the working fluid are tested with variations of wick, charge amount of the working fluid, outdoor temperature, and heat load for the evaporator section at a low temperature. As a result, the heat transfer of thermosyphon was optimized at the charge amount of 40% and increased with the rise of the outdoor temperature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DCHX) for Solar Application (태양열 이용을 위한 직접접촉식열교환기(DCHX)의 작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yun, Young-Jin;Hyun, June-Ho;Chun, Won-Gee;Kang, Yong-Heack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4 no.2
    • /
    • pp.73-81
    • /
    • 2004
  • 태양열의 이용에 있어 직접접촉식 열교환기(DCHX)는 여러 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제일 부각되는 것은 폐쇄형 열교환기의 대체에 다른 경비 절약과 작은 온도차에서도 열교환이 가능한 뛰어난 열성능일 것이다. 본 연구는 액-액 타입의 직접접촉식 열교환기에 대한 열성능 실측을 통하여 직접 접촉 열교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아울러 태양열에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측 시스템은 집열기와 펌프 그리고 직접접촉식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열교환기 내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작동유체로는 Texatherm 46과 물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이들 유체가 서로 전이지 않고 높은 온도$(<150^{\circ})$에서도 화학적으로도 안전하며 열적으로도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실측을 통해 열교환기 내에서의 미미한 열성층화 현상에 대한 메카니즘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열교환기의 작동유체에 따라 작동의 안정성과 열적 성능(11% 차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Heat Response According to Fusible Metal Shapes in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자동식소화기용 이융성금속 감지부 헝상에 따른 열감응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용환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7 no.4
    • /
    • pp.64-69
    • /
    • 2003
  • Low story apartments and housings with manual fire extinguishers are very susceptible to fro damages, when people are absent or there are old and weak peoples. To reduce such fire damages, automatic fire suppression at the early stage is very important, and thus automatic and cost-effec-tiye fire extinguisher was develop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response time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mall thickness variation of the detective parts and heating rates.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of the detective parts was shown significant when the heating rate was low, The reduction in the thickness could lower the response time to 40seco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