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치구별 운영방식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utonomous District (서울시 작은도서관의 자치구별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 제안 연구)

  • Noh, Younghee;Han, Mun-Seong;Lee, Geun-Hwa;Choi, Man-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8 no.2
    • /
    • pp.121-15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based on a set of various situational analysis of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utonomous regions of different operating methods, we also pursued qualitative enhancement of small libraries by autonomous district by proposing optimized operation methods.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need to be distingu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tity rather than uniform budget support and guidance management. That is, the small libraries scattered throughout Seoul were founded by the principal of their establishm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reading culture service within the public activity area. Therefore, if Seoul intervenes and manage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libraries are operating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regardless of whether they meet the user requirements or not in terms of quality or quantity, various problems may be caused. In this background, it seems appropriate to restrict the library management in line with relevant regulations.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ntegrated Standards for Prediction and Warning of Floodplain Flood Level by Urban River Section (도시하천 구간별 둔치 범람 수위 예·경보 통합기준 산정 기법 개발)

  • Moon, Hyeon-Tae;Lee, Jung-Hwan;Yoon, Jun-Seo;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7-297
    • /
    • 2021
  •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중·소규모 도시하천은 대부분 홍수유출 도달시간이 매우 짧고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이 있어 집중호우에 매우 취약하여 더욱 선제적이고 정확한 홍수 예·경보가 요구된다. 현재 중·소규모 도시하천의 경우 실시간 하천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할 시 하천을 통제하고 위험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둔치 침수에 이르는 시간이 매우 짧아 통제가 어려우며 이마저도 행정 자치구별로 예경보 운영 및 통제기준이 상이하여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우 발생 시부터 즉각적 대응을 위해 강우-수위 관계 및 상류 돌발홍수와 강우강도의 영향을 분석하여 구간별 둔치 범람 기준을 제시하고 자치구별로 상이한 예경보 수위 기준을 통합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주요 침수취약지구인 도림천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도시하천 특성의 내외수를 연계한 강우-유출모형(SWMM)을 이용하여 확률강우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하천의 수위변화 및 도달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중, 소규모 도시하천에의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 및 효율적인 하천방재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