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이오머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자이오머의 산성용액에 대한 산중화능 (Acid Neutralizing Capacity of Giomer in an Acidic Solution)

  • 안하나;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8-176
    • /
    • 2013
  • 본 연구는 자이오머의 산성용액에서 시간에 따른 산중화능을 평가하고, 산에 노출된 자이오머의 표면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실험군으로는 수복용 자이오머인 Beautifil II와 유동성 자이오머인 Beautifil Flow F02, 대조군으로 수복용 복합레진인 $Filtek^{TM}$ Z250을 선택하였고, 원판과 가루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여 pH 2.0의 염산 수용액과 혼합한 후 pH 값을 측정하였으며, 분말 형태의 자이오머는 새로운 염산 용액과 재혼합 후 pH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원판형태 시편의 표면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판 형태의 실험에서는 수복용 자이오머만이 실험 24시간 이후 유의한 pH 값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 분말 형태의 실험에서는 수복용, 유동성 자이오머 모두 초기부터 유의한 수준의 pH 증가가 보였으며, 수복용 자이오머가 더 높은 pH 증가를 보였다. 분말 형태의 자이오머는 새로운 염산용액에서 이전 실험에 비해 낮은 정도의 pH 증가를 보였다. 또한, 충전용 자이오머의 표면에서 레진과 유동성 자이오머에 비해 더 많은 부식성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했다. 결론적으로, 자이오머는 산중화능을 가지며, 필러 함량이 높은 충전용 자이오머는 유동성 자이오머보다 더 큰 산중화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복합레진, 자이오머, 컴포머의 열순환 후 압축강도와 미세경도의 변화 (CHANGES OF COMPRESSIVE STRENGTH AND MICROHARDNESS OF COMPOSITE RESIN, GIOMER AND COMPOMER AFTER THERMOCYCLING TREATMENT)

  • 윤미;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8-444
    • /
    • 2010
  • 자이오머는 불소를 유리하는 최근 개발된 광중합 레진 제재이다. 본 실험에서는 복합레진, 자이오머, 컴포머를 이용하여 $5^{\circ}C$$55^{\circ}C$에서 5000번 열순환 후 압축강도와 미세경도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1. 열순환 전.후 모두 압축강도는 복합레진이 가장 높았으며, 자이오머, 컴포머 순으로 낮아졌다. 복합레진은 자이오머, 컴포머와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를 보였고(p<0.05), 자이오머와 컴포머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열순환 전.후 미세경도는 복합 레진, 자이오머, 컴포머 순으로 낮아졌으며,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를 보였다(p<0.05). 3. 복합레진, 자이오머, 컴포머는 열순환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미세경도가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이오머는 컴포머보다 높은 미세경도를 보이지만, 복합레진보다 낮은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보인다. 열순환 후 미세경도가 감소하므로 임상적 사용시 물리적 성질에 대한 충분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의 자이오머의 불소 유리량과 압축 강도 평가 (Fluoride Releas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Several Giomers)

  • 강지은;유승훈;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92-29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개발된 두 종류의 자이오머(Beautifil Flow Plus F00, Beautifil Flow Plus F03)의 불소유리량과 열순환 후 압축강도를 기존의 자이오머,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복합 레진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불소 유리량 측정을 위해 군별로 15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여 31일간 pH/ISE meter를 이용하여 불소 농도를 측정하였고 압축 강도 측정을 위해 군별로 15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여 열 순환 후 만능 경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편이 파절된 시점의 최대강도를 측정하였다. 최근 개발되어 출시된 자이오머는 기존의 자이오머에 비해 불소 유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압축 강도도 개선되었으며, 복합 레진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자이오머와 컴포머의 치과용 접착제를 통한 불소 유리에 관한 연구 (Fluoride Release of Giomer and Compomer Through the Dental Adhesive Layer)

  • 황민선;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0-187
    • /
    • 2017
  • 본 연구는 접착층을 통한 자이오머(Beautifil Injectable)와 컴포머($Dyract^{(R)}$ XP)의 불소 유리를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자이오머와 컴포머 그리고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복합레진의 원통형 시편을 각각 20개씩 제작하였다. 20개 중 10개의 시편은 접착제(Scotchbond Multi-Purpose)를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각 시편은 2 mL 탈이온수에 넣어 $37^{\circ}C$에서 보관하였으며 1, 3, 7, 14, 21, 28일째 유리된 불소를 측정하였다. 접착제를 적용한 추가적인 시편을 제작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자이오머와 컴포머에 접착제를 도포한 군은 3일째까지 불소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7일째부터는 불소가 검출되었다. 접착제는 불소의 유리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였으며, 접착제를 투과하는 자이오머와 컴포머의 불소 유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불소의 유리량 감소는 컴포머보다 자이오머에서 더 현저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의 상아질 접착제를 투과하는 불소 유리 평가 (Assessment of Fluoride Release through Dentin Adhesive in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and Giomer)

  • 김해니;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7-3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에서 방출되는 불소가 상아질 접착층을 투과하는 유리되는 양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이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 및 불소 미함유 복합레진의 시편을 각 재료 당 20개씩 제작하여 그 중 10개의 시편에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만들어진 시편을 2.0 mL의 탈이온수가 들어있는 폴리에틸렌튜브에 넣고 37.0℃ 항온수조에 연구 기간동안 보관하였다. 보관 후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째에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후 탈이온수를 교체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층 두께의 적절성은 시편을 추가로 제작하여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에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 접착제가 불소의 유리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았지만, 유리된 불소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8일간 측정한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불소 유리량은 상아질 접착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자이오머보다 크게 나타났다.

유동성 자이오머와 복합 레진의 압축 강도 및 표면 미세 경도 비교 (COMPARIS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SURFACE MICROHARDNESS BETWEEN FLOWABLE COMPOSITE RESIN AND GIOMER)

  • 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3-38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자이오머인 Beautifil flow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 Z350, Z350XT의 압축강도와 표면 미세경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각각의 재료를 사용하여 15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초 당 1 mm 횡단 속도 하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표면 미세경도는 보압 시간 10초 조건하에서 4.9 N의 힘을 가해 비커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압축 강도 측정 결과 2군인 $Filtek^{TM}$ Z350XT는 $218.7{\pm}18.4$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1군인 $Filtek^{TM}$ Z350은 $205.5{\pm}27.1$ MPa로 나타났다. 3군인 Beautifil flow F00는 $176.5{\pm}30.3$ MPa이었으며, 4군인 Beautifil flow F10의 압축 강도는 $173.4{\pm}26.2$ MPa이었다. 2군이 3군과 4군에 대해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 < 0.05). 표면 미세 경도 측정값은 2군 $Filtek^{TM}$ Z350XT가 $39.1{\pm}2.1$로 가장 높은 값을, 4군 Beautifil flow F10가 $27.9{\pm}1.8$으로 다음으로 높았고, 3군 Beautifil flow F00가 $23.1{\pm}1.1$, 1군 $Filtek^{TM}$ Z350이 $20.4{\pm}0.9$로 측정되었다. 모든 군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 < 0.05). 결론적으로, 유동성 자이오머의 압축강도는 복합레진에 비해 낮지만, 표면 미세경도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자이오머의 압축 강도가 보완된다면 임상에서 복합 레진의 좋은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종의 불소방출 수복재의 탈회억제 효과 및 불소침투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DEMINERALIZATION INHIBITION EFFECT AND FLUORIDE UPTAKE INTO ADJACENT TEETH OF LIGHT-CURED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S)

  • 김송이;최성철;김광철;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8-297
    • /
    • 2010
  • 자이오머(Giomer)는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에 견줄 만큼 불소방출량이 많다고 하나, 우식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많지 않아 임상적용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이오머(BF 군)를 포함하여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FF 군), 콤포머(DA 군)와 대조군인 콤포짓(FZ 군)의 우식억제 효과와 주변 치질로의 불소침투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과 전자탐침미세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수복재의 우식예방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복물 주위 이차 인공우식에서 법랑질 외측병변의 깊이는 FZ 군에서 가장 깊었으며, BF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p<0.05). 2. 수복물과 법랑질 계면에 나타난 탈회억제층의 두께를 관찰한 결과 FZ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FF, DA, BF 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법랑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BF, FF, DA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상아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DA, BF, FF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아질-수복물의 접착 계면에 영향 받는 것으로 보인다.

Giomer의 불소 유리 양상 및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FLUORIDE RELEASE AND MICROHARDNESS OF GIOMER ACCORDING TO TIME)

  • 김상민;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9-437
    • /
    • 2010
  • Giomer는 글라스 아이오노머의 불소 유리 능력과 복합 레진의 물리적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과용수복 재료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giomer의 실제 불소 유리 수준과 지속적인 불소 유리에 따른 물성 저하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omer의 시간 경과에 따른 불소 유리량과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기존에 소개된 불소 유리 수복재료인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컴포머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 레진을 제외한 모든 수복재에서 불소 유리가 관찰되었으며 첫째 날 유리량이 가장 높았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7일 후부터는 완만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2. 31일간 누적 불소 유리량은 III군(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에서 57.9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II군(컴포머)에서 14.643 ppm, I군(giomer)에서 2.957 ppm 순으로 높은 유리량을 보였다. 3. 수복재의 미세경도는 IV군(복합 레진)에서 가장 높았으며 I군, II군, III군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4. 시간 경과에 따라 미세경도는 7일째 소폭 상승하였다가 31일째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1일째와 비교시 차이는 없었다(p>0.05). 이번 연구 결과, giomer(Beautifil II)는 컴포머(F2000 Compomer)에 비하여 낮은 불소 유리량과 유사한 미세경도를 보였다.

S-PRG filler를 함유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항우식효과 (Microleakage and Anticariogenic Effect of S-PRG Filler-containing Pit and Fissure Sealant)

  • 신승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7-252
    • /
    • 2013
  • 치면열구전색은 생물막의 축적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며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되는 산물질에 화학적 장벽 역할을 한다. 1999년 S-PRG(Surface reaction-type pre-reacted glass ionomer) 필러기술이 개발되었는데 S-PRG 필러는 수분 존재 하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불소유리가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인접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효과를 기존의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건전한 소구치, 대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해 불소를 유리하는 치면열구전색제 Beautisealant$^{(R)}$(Shofu, Japan)를 실험군으로,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R)}$(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누출실험을 위해 실란트 변연 1 mm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손톱광택제를 2회 도포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수세하였다. 항우식효과의 평가는 인공우식용액에 9일간 보관 후 수세 후 시행하였다. 수세한 시편들은 투명레진에 매립 후 현미경 관찰을 위해 절단하였다. 통계분석은 미세노출의 정도는 Chisquare test를, 측정된 우식의 깊이는 Mann-Whitney test를 이용해 두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S-PRG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S-PRG 치면열구전색제는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보다 더 높은 항우식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