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율작업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sign of Algorithm on Information Exchange Message Processing for Safe Navigation of Autonomous Ships (자율운항선 안전운항을 위한 정보교환 메시지 처리 알고리즘 설계)

  • Nam, Gung-Ho;Jeong,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0-161
    • /
    • 2018
  • ITU-R Study Group Working Party 5B에서는 해상에서 자율운항선을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자율운항선을 통한 제어센터-VTS, 제어센터-유인선 간의 정보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Vessel traffic control voice relay의 기능을 제시하였다. 이에 자율운항선을 통해 제어센터-VTS, 제어센터-유인선 간의 원활한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기능 요구사항, 사용자 비기능 요구사항,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으로 분석함으로써 통신중계시스템 설계 및 각 운용 기기별 정보교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자율운항선-타 선박간의 충돌 위험성을 감지할 경우 충돌회피를 위한 흐름 및 통신중계시템을 활용한 메시지 처리과정은 설계되지 아니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액티비티, 제어흐름, 작업 흐름 등의 표현이 가능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활용함으로써 항해단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별 시나리오를 제어 흐름 형태로 표현한 정보교환 메시지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Legal Basis and Suggestions on Road Driving Eligibility of Autonomous Cars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주행에 대한 법적 근거 및 개선 방안)

  • Lee, Seongsoo
    • Journal of IKEEE
    • /
    • v.23 no.1
    • /
    • pp.342-345
    • /
    • 2019
  • In autonomous car,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achieved in technical aspects, but it is deadly slow to solve its various legal problems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car. This paper surveys the road driving eligibility, a typical legal issue in autonomous car. Problems on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are analyzed, and some remedies are suggested. Technical development should be performed collaboratively with law and regulation revision, and understanding these legal issues would be very helpful to the engineers who develop autonomous cars.

자율운항시스템의 자율도 기준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 김정민;이상훈;예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66-167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개발 및 운용에 대한 논의가 최근 조선해운업계에서 활발하게 이루어 지구 있다. IMO 해사안전위원회 98차회의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을 '다양한 자동화 수준에서 인간의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선박'으로 정의하였으며, 자율운항 규정 검토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임시 정의에 덧붙여서 이러한 자율화등급을 4개로 구분하였다. 하지만 현재 자율화 등급과 관련하여 단순히 인적 요소의 유무로만 구분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넓어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다. 자율운항선박에서의 자율화 등급은 선박의 설계, 구조, 운항등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에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등급 화를 나누는 기준 중 동적위치제어시스템을 탑재한 선박들의 등급 기준을 검토하여, 인적 요소 외 다른 요소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Legal and Regulatory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rrival and Departure Support Technology of MASS (자율운항선박 입·출항지원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법·제도 환경에 관한 연구)

  • Kwanwook Chun;Geonwoo Kim;Dongwon Han;Geun-Tae Yim;Hye-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89-90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자율운항선박 및 유관 기술개발이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법·제도적 규정 마련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2017년부터 자율운항선박의 운용에 관한 규정 검토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일본, 중국, 노르웨이 등의 국가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및 기술개발을 위해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기존 법률의 정비방안을 발표하는 등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과 함께 법·제도 규정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율운항선박과 관련하여 자율운항선박기술의 개발 및 실증을 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없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Attention Monitoring of Drivers During Driving Tasks (주행 시 운전자의 운전작업 중 주의집중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Han, Gaeul;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383-38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 운전자의 운전작업 중 전방 주의집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연구 방안들을 조사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자율주행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주의집중이 필요한 상황들에 대해 사전에 안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동향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방법은 시각 자료 기반과 생체신호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다.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자료 기반 연구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자동차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운전작업 주의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행 영상에서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특징과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운전자의 주의집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조사를 통해 분석된 운전자 모니터링 방안들을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한 운전자 주의 태만 경고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VDES MAC 개발을 위한 IEC 시험 표준 작업문서 분석 및 검증

  • 김정현;가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99-201
    • /
    • 2023
  • VDES는 2015년 ITU-R M.2092-0가 발행된 이후로 다년간 기술 개발 및 개정 작업을 통해 2022년에 ITU-R M.2092-1이 발행되었다. 2026년 1월부터 VDES를 필수 규제 체계에 도입하기 위해 IMO는 2021년 MCS 103회의를 시작으로 NCSR 10에서 SOLAS 4장 및 5장의 수정안과 성능 기준 및 지침 개발을 논의하였고 24년 6월이면 작업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운항선박 과제에서는 VDES를 이용하여 자율운항 선박의 안전관련 필수 정보들을 육상-선박 뿐만 아니라 선박-선박 연결에서도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VDES 시스템을 통신 방식 중 하나로 적용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최신의 VDES 관련 표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표준 분석 및 시스템 적용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DES의 MAC 계층 설계를 위해 IEC에서 개발 중인 시험 표준을 분석하고 VDES 개발 시제에 적용하여 검증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Patterns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in Undergraduate Students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발달에 감각처리가 미치는 영향)

  • Kim, Seul-Kee;Kang, Chan Mi;Kwon, Jin Ha;Kim, Min-Kyu;Kim, Seong-Hyun;Cho, Yu-Jeong;Kim, Eun 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20 no.3
    • /
    • pp.38-47
    • /
    • 2022
  • Objective : We investigated how sensory processing patterns contribute to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 A total of 107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in September 2022 vi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y completed the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quadrants (low registration, sensation seeking,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 on each temperament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and character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self-transcendence) traits. Results : Sensation seeking significantly predicted high levels of novelty seeking,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self-directedness, and self-transcendence but low harm avoidance. Low registration predicted high harm avoidance but low levels of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and self-directedness. Reward dependence was predicted by high sensory sensitivity and low sensation avoiding.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nsory processing patterns affected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self-directedness, and self-transcendence in young adults.

A Study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h Planning for Concrete Pavement Cutting Operation (콘크리트 도로 표면절삭 작업을 위한 자율주행 진로계획 수립방안)

  • Moon, Sung-Woo;Seo, Jong-Won;Yang, Byong-Soo;Lee,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929-933
    • /
    • 2007
  • Concrete Pavement Cutting Operation have Labor-intensive features. And Cutting Operation quality and productivity is influenced by operator's experience. Moreover Workers have risk of safety concerns. Therefore we need Concrete Pavement Cutting Operation automation system and system support software development on the economics. First of all we have to develop driving Path Planning for Concrete Pavement Cutting automation system. If result of Path Planning connect with automation system, Weak points is a complement to the existing Path Planning and we can obtain effective automation system.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Path Planning for Concrete Pavement Cutting Operation And the Path Planning system application.

  • PDF

Design of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based on Wireless Networks (무선 네트워크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설계)

  • Park, Hye-G.;Lee, Hyong-G.;Kwon, Soon-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4
    • /
    • pp.435-440
    • /
    • 2012
  • Recently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are taken great attention in real industry. The ability to performing desired tasks in rough, changing, unstructured and uncertain environments without continuous human assistance is needed in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including autonomous robots. Industrial Mobile robot can be require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for the purpose of navigation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these backgrounds, in this paper, we develop sensor network and wireless network-base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and provide experimental results in order to show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ystems.

자율운항선박 충돌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나성;이동준;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9-221
    • /
    • 2023
  • 첨단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자율운항선박과 같이 인간의 개입을 획기적으로 줄인 첨단 시스템의 운용은, 대상 시스템의 운용 중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안전한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선박의 충돌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자율운항선박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분석 작업 수행 내용과 실시간 충돌 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검토한 간략한 위험도 모델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항해, 통신,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충돌 사고 빈도 산출을 위한 Fault Tree Analysis와 충돌 사고로 인한 영향 산출을 위한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Fault Tree와 Event Tree의 입력값 중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였고, 각 변수들에 입력값은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한 자율운항선박 충돌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