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개발

Search Result 7,86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e of Resources Developme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사회복지조직의 자원개발 실태연구 -장애인 거주시설을 중심으로-)

  • Jung, Hyun-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640-652
    • /
    • 2020
  • This study identifies the statues of the resource development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review the current level and propose necessary supporting measures to revitalize resource development in this current time when the importance of resource development is rising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es and needs for resource development and focus group interviews to acquire in-depth opinions on the need for resource development and supporting measures in 255 nationwid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showed that 50% of the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residential facilities depended on private donations, while the presence of exclusive workforce made differences among development plans, performance and achievement. Also, their resource development methods were limited around direct requests, such as personal recommendations, as they are faced with challenges such as inadequate related expertise and technologies for resource development, lack of exclusive workforce, and lack of interest in available fac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With reference to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development measures: placement of exclusive workforce, adoption of diverse resource development methods, transparent and reliable resource development, and preparation for systematic step-by-step professional training on resource development.

‘고유가 뚫어라 ’모토 시리즈 - 세계는에너지자원확보전쟁…사활걸어라

  • Korea Electric Association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51
    • /
    • pp.89-94
    • /
    • 2006
  • 에너지 해외의존도 97%, 무역의존도 70%인대한민국. 우리는하루220만배럴, 연간8억배럴이상을소비한다. 부존자원이 극도로 빈약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길은자명하다. 에너지 자원을 거의수입해 의존하다보니 이를고부가화 해 내수에 돌리면서 최우선으로 수출을 통해 온나라가 먹고 살고 있다해도 과언이아니다. 해외 에너지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바로 국가경쟁력의 근원이 되는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고유가 파고를 헤쳐나가야 한다는 절박한현실에서안정적인 에너지자원확보를 위한 정부의 해외자원분야 정책 및 민관전략이 올들어 의욕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선정부는 자원개발 업무를 강화하기 위해 현재1과1팀의 자원개발조직을 보강하 고유전개발팀을 신설하는 등 모두3개팀으로 늘린다. 나아가 해외 자원확보에주력 산업 동반진출도 착착진행하고 있다. 국내 자원 개발 기업과 에너지관련기업, 해외진출기관등 14곳으로 구성된 ‘에너지산업해외진출협의회’도 최근 출범시켰다. 유전을탐사하거나 개발하는데 개인들도간접투자할수있는 ‘유전개발펀드’도 7월에 첫 선을 보인다. 약2000억원규모의이 시범펀드 도입 등을 통해 자원개발을 가속화,2013년까지원유-가스자주개발률을18%(원유15%, 가스3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며 여기에16조원 신규투자가 소요 될 것으로보고있다. 이같은 일련의 공격적인 움직임은 단순히 돈을 주고 자원을 사오는 기존방식을 앞으로는과감히탈피,자원부국이 원하는 산업인프라등을 수주해제 공한뒤 그 대가로자원을 확보하는 총체적 자원확보전략에 무게를두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어 고무적이다. 여기에 다원유 등 수입원자재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해외 자원개발사업이 활기를 띠고있다.석유공사는 민간기업들과 함께 지난해에만 예멘2곳 등 전세계 5개국9곳의 석유 및 천연가스 광구계약을체결, 올들어 최근참여사들과 함께 주주간계약 서명식을 갖고본격적인 사업을 추진 중이다. 광업진흥공사역시 SK네트웍스와제휴, 최근 전체 매장량이650만t으로 추정되는 중국 후난성의 아연광 탐사권을 획득, 합작 사설립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민간기업들도 해외자원분야진출이 활발하다. 기업들의 해외 자원개발을 위한 투자규모도 늘어 올해38개 해외 자원개발기업이 32개국 211개 사업에 모두31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인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본지는 올해 들어서도 고유가의 지속으로 속증하고 있는에너지수입동향과 해외 자원 개발의 현실과 문제점, 개선방향, 나아가 최근 안전적인 자원확보를 위한 동향을 진단해본다.

  • PDF

자원식물의 연구동향과 실용화 현황

  • Park, Ho-Gi;Yang, Min-Ho;Lee,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
    • /
    • 2012
  • 자원식물은 인간의 천연물에 대한 관심 고조와 미래 생물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재인식되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오래전부터 유용한 식물자원 보존과 이를 이용한 산업화에 정부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해 많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뚜렷한 4계절과 다양한 토양특성으로 우수한 기능성식물자원이 많으며 이들 식물자원의 이용과 효능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자원식물에 대한 보존과 이용이 과학화 체계화되지 못하여 세계적인 품종이나 제품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종자원에 대한 관심과 꾸준한 연구개발로 농촌진흥청 보존 농업유전자원은 세계 6위 수준('10년말 291천점) 이며, 멀티기능 유용물질 함유 작물 개발 및 실용화 기술수준도 기술력 지수 세계7위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원식물로부터 유용물질을 이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성식품, 한방화장품, 천연 색소 및 향료 등의 제품개발은 미흡하여 앞으로 유망 자원식물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고부가 산업 육성을 위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원식물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은 고부가가치 제품과 산업재산권 확보가 가능하므로 수입 대체와 기술 및 제품수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신약후보 도출 및 임상개발 과제의 수요를 반영한 후 단계별 대규모 신약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건강기능 식품 개발은 고령사회 진입과 노령인구 증가로 노화억제 및 고령자 건강유지용 식품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어 약용식물을 소재로 개인 맞춤형 나노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나라 화장품분야의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의 62% 수준이나 화장품 소재의 자원식물 발굴과 나노기술 접목을 통한 효능의 극대화는 소비자의 웰빙 트랜드와 외국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에 맞물려 국내 한방화장품의 세계화가 가능한 품목 중 하나이다. 식용 및 염색용 색소도 자원식물이 풍부하고 천연색소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어 자원식물 중 경제성과 기술적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의 식물자원, 전통지식, 과학기술이 통합되어 효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천연물신약,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등이 개발된다면 세계시장을 선도할 날도 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자원 및 과학기술-한국자원의 현황 및 전망(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8 no.11 s.78
    • /
    • pp.17-20
    • /
    • 1975
  • 자원하며 대개 지하자원을 생각하게 된다. 물론 지하자원(천연자원)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기후적 풍토적 자원이나 인적 문화적 자원 등 분류하면 여러가지 자원이 있다. 석유파동 이후 세계각국은 부족자원의 개발과 대책에 골몰하고 있다. 우리에게 어떠한 자원이 얼마 만큼 있으며 어떻게 활용 개발할수 있을 것인다. 과기총 자원개발위원회 홍준기 위원장은 과기총 창립 9주년 기념 특별강연회에서 자원과 과학기술에 대한 새 국면을 제시햇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두뇌를 개발하고 활용한다면 무서운 potential(잠재력)을 갖인 자원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전문의 계속을 소개한다.

  • PDF

The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for Non-Profit Organization (비영리조직의 자원개발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Lee, Yoon-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0
    • /
    • pp.107-118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structure of fundraising activities, the effect of resource development and strategy for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undraising and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of 356 non-profit organization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nationwide. The results showed that a period of found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in Korea, was 10~14 years and organized with 13~19 worker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well prepared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for resource development system such as workers, department, management for sponsors and computer program, while others were not prepared. Their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fundraising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of actual condition. The non-profit organization needs management sponsors, planning, public relations, fundraising skills and preparation proposal as the theme of education for fundraising activities. Their plans of the fundraising activity were events, proposal application, fundraising focus on companies, cause-related marketing. The non-profit organization complained of the difficulty about insufficiency manpower and skills of fundraising, external resource development and a budgetary defic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