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웅이주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RAPD 표지인자를 이용한 흑오미자의 자웅동주 및 자웅이주 식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onoecious and Dioecious Plants of. Schisandra nigra Using the RAPD Markers)

  • 이효연;한효심;이갑연;한상섭;정재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09-313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의 경우 제주도의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흑오미자(Schisandra nigra)를 RAPD법을 이용하여 자웅동주 및 자웅이주 식물의 특이적 Marker를 탐색하고저 실시 하였다. 10-mer로 구성된 80종류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흑오미자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재배되고 있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또는 남오미자(Kadsura japonica)와는 다른 band pattern을 보여 주었다. 흑오미자의 자웅동주. 암그루, 숫그루의 3품종을 상기와 동일하게 80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RAPD를 분석한 결과, 5종류의 random primer(OPA-17, OPA-19, OPB-3, OPB-9, OPB-16)에 대해서는 각 품종에 대한 특이적인 band가 검출되었다. 숫그루, 암그루 식물과는 다르게 자웅동주 식물은 3개체(1호 2호, 3호)간에도 서로 다른 band pattern을 보이는 특징을 갖고있다. 숫그루 특이적인 band pattern은 OPB-3 primer을 이용할 경우 750bp에서 검출되었고, 암그루는 OPA-19 primer에서 950bp, 1690bp와 OPB-3 primer의 경우 700bp에서 자웅동주 및 숫그루에서 나타나지 않는 band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흑오미자의 숫그루 및 암그루에서 나타난 특이적인 band가 유묘시기에 암ㆍ수 개체를 조기에 구별하는 genetic marker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한국산 나자스말속(Najas L.)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f Najas L. (Hydrocharitaceae) in Korea)

  • 나혜련;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6-140
    • /
    • 2012
  • 국내에 분포하는 나자스말속(Najas L.)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하여 32개 정량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나자스말속의 분류군에서 잎의 너비, 엽초의 모양, 엽연의 거치수, 약실의 수, 한 줄에 배열하는 종자의 그물눈 수와 길이의 비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다. 자웅이주인 민나자스말(N. marina)은 잎과 줄기, 수꽃과 암꽃, 열매가 대형으로서 자웅동주인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자웅동주인 분류군들 중에서 나자스말(N. graminea), 실나자스말(N. gracillima), 동아나자스말(N. orientalis)은 영양 형질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지만, 톱니나자스말(N. minor)과 큰톱니나자스말(N. oguraensis)은 수꽃에 있는 약실의 수에 의해서만 구분되었다.

Phytophthora nicotianae와 P. palmivora에 의한 대추역병 발생 (Occurrence of Jujube (Zizyhus jujube) Fruit Rot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and P. palmivora)

  • 임양숙;정기채;김승한;윤재탁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41-44
    • /
    • 2002
  • '97∼'98년에 경북지역의 대구와 경산, 군위, 영천, 청도등 대추과원에서 과실에 역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과실이 적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심하면 미이라가 되고, 말라서 조기낙과되며 엽병과 신초에도 마름증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병과에서 2종의 역병균이 검출되었는데 총 18개 역병균중 6균주는 P. nicotiamae로 동정되었고, 나머지 12균주는 P. palmivora로 동정되었다. P. nicotianae는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비탈락성인 구형 혹은 난형의 유주자낭과 다량의 후막포자를 형성하였으며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로 A1 mating type이 조사되었다. P. palmivora는 유주자낭이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탈락성이며 장타원형 혹은 난형, 구형 등이었고, 다량의 후막포자를 형성하였으며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로 A1 mating type이 조사되었다. 2종의 역병균 모두 대추와 배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사과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P. nicotiamae 와 P. palmivora에 의한 대추 역병은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것이다.

자웅이주 식물 수영 (Rumex acetosa L.)에서 암.수에 따른 RAPD pattern의 다양성 분석 (Variation of RAPD patterns between Male and Female Genomic DNAs in Dioecious Rumex acetosa L.)

  • 김동순;구달회;허윤강;방재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0
    • /
    • 2003
  • $.$수 개체 사이에 상이한 성염색체 조성을 지니는 자웅 이주 식물인 수영 (Rumex acetsa L.)에서 120개 의 10-mer random primer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한 primer들 중 24개의 primer 에서 34개의 암$.$수 특이 밴드가 관찰되었다 암 개체 특이 밴드는 16개였으며, 수 개체 특이 밴드는 18개로 나타났다. 특히 OPC-10 primer로부터 얻은 1,440 bp인 DNA 단편은 수 개체 특이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성 특이적인 RAPD 마커들은 식물에서 성 결정 메커니즘 구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꼬막, Tegillarca granosa ( Linne ) 의 생식소발달 및 생식세포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Gametogenesis of the Granulated Ark, Tegillarca granosa (Linnee))

  • 이주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4
    • /
    • 1997
  • 꼬막, Tegillarca granosa은 우리나라 남해 및 서해안 일대에서 서식하는 중요한 수산자원 중의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생물학적 기초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1995년 2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전남 벌교연안에서 채집한 꼬막의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1. 꼬막은 자웅이체이면서 난생이고,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을 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부터 족부의 근육층까지 분포한다.2. 미분화간층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초기 활성기의 소낭에 풍부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완숙기에는 거의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공급하는 영향세포로 생각된다.3.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이들의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방출기, 방출 및 비활성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방란 및 방정은 수온 2$0^{\circ}C$정도되는 6월하순부터 시작되고, 주산란시기는 수온이 23-24$^{\circ}C$정도 되는 7-8월이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textrm{m}$이다.5. 비활성기는 9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지속되는 비교적 긴 기간이며, 초기 활성기도 비교적 길어 1월에서 5월까지 지속되는 반면, 후기활성, 완숙 및 방출기는 비교적 짧아, 5월에서 8월까지 모두 완료된다.6. 비만도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의 발달, 생식주기 및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7. 사용된 재료 433개체 중 1개체가 자웅동체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닥나무속(Broussonetia, 뽕나무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 윤경원;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0-85
    • /
    • 2009
  • 한국산 닥나무속 식물의 분류학적 특징을 재검토하였다. 한지를 만드는데 사용해 온 닥나무와 꾸지 나무의 교잡종인 꾸지닥나무가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에서 자생하고 있어 새로이 Broussonetia ${\times}$ hanjiana M. Kim으로 명명하였다. 꾸지닥나무는 그동안 일반인들이 닥나무라고 일컫기 때문에 꾸지닥나무 대신에 닥나무라고 하였다. 따라서 Broussonetia kazinoki는 닥나무 대신에 애기닥나무라고 변경하였다. 또한 가거도에서 발견된 자웅이주인 애기닥나무를 가거애기닥나무(B. kazinoki for. koreana M. Kim)라고 새로이 명명하였다.

한반도 희귀식물인 백서향의 녹지삽목을 통한 증식 (Propagation of a Rare Variety Daphne kiusiana Miq. In Korea Through Softwood Cuttings)

  • 노나영;송은영;김성철;고호철;이석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6-250
    • /
    • 2010
  • 본 실험은 희귀 자생식물인 백서향의 삽목 증식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백서향은 남부지방 해변의 산기슭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가 아주 뛰어난 식물이다. 자웅이주식물로 국내에는 대부분 수나무가 많아 채종이 어려워 종자번식이 힘든 상황이므로 삽목 방법을 통해 증식을 시도하였다. 백서향의 삽목에 적합한 토양을 찾기 위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 모래로 4 처리를 수행한 결과, 발근율은 각각 86.7%, 95%, 75%, 95%로 나타났다. 온도를 달리히여 3처리로 삽목을 하였더니 발근율과 뿌리길이의 생육을 살펴볼 때 $27^{\circ}C$에서 생육이 우수하였다. 시기별로 6월 19일, 7월 19일, 8월 19일에 삽목한 결과 생존율, 발근율은 통계적으로 오차 범위 내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하였고, 그 중 7월 삽목의 뿌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백서향의 삽목증식은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를 혼용하여 7월에 삽수를 채취하고 생육기간 중 온도를 $27^{\circ}C$로 관리히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6절의 분류 형질에 관한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 subgenus Vigena Nees of Carex L.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조미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7-253
    • /
    • 2003
  • 한국산 사초속(Carex Linn$\acute{e}$)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통보리사초절(sect. Macrocephalae K$\ddot{u}$k.), 나도벌사초절(sect. Gibbae K$\ddot{u}$k.), 겹개구리사초절(sect. Stellulatae Kunth), 충실사초절(sect. Elongatae Kunth)과 타래사초절(sect. Ovales Kunth) 식물 각각 1종과 산사초절(sect. Heleonastes Kunth) 식물 2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총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총포의수,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 정성적 형질(암 수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 줄기의 단면모양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구성요소; 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과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와 털의 유 무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그 결과 괭이사초아속에 속하는 6절의 식물 중에는 자웅이주로 암꽃 이삭화서와 수꽃 이삭화서가 다른 개체로 된 통보리사초절과 자웅동주이나 수꽃이 아래부분에 암꽃이 윗부분에 배열되는 양성화 이삭화서로 자웅형이삭(gynecandrus) 형태를 이루는 나도벌사초절, 겹개구리사초절, 충실사초절, 타래사초절, 산사초절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과낭의 가장자리의 날개모양과 부리모양, 과낭 표피의 맥의 유 무,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 무가 괭이사초 아속에 속하는 절과 종을 구별하는 유용한 형질로 확인 되었다.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Lischke의 성성숙에 관한 연구

  • 이주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102
    • /
    • 1998
  • 새꼬막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었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에서부터 족부까지 외측의 대부분을 싸고 있으며, 난소는 난자형성소낭, 정소는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완숙란의 세포질에는 많은 난황과립을 축적하고 있으며, 난막의 외측은 얇은 젤라틴상의 피막으로 싸여 있었다. 정자형성소낭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소낭의 내강을 향하여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 발달되었다.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1-5월), 후기 활성기(5-7월), 완숙기(6-9월), 부분 방출기(7-9월), 방출 및 비활성기(9-4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방란, 방정은 수온이 21$^{\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7월초순부터 9월까지 지속되며, 산란 최성기는 8월이었다.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아주 밀접ㅎ나 관계가 있었다.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에는 eosin에 강하게 염색되는 과립세포와 간충직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되었다.

  • PDF

Phytophthora cinnamomi에 의한 아이비줄기썩음병 (Stem Rot of English Ivy Caused by Phytophthora cinnamomi)

  • 김형무;진교훈;고정애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07-210
    • /
    • 2007
  • 2007년 5월 전북 전주의 식물원에서 판매중인 아이비에서 줄기 하부가 검게 썩으며 급격히 말라죽는 증상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Phytophthora cinnamomi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의 형태적 특성은 비 돌출형의 탈락성이 없는 계란형, 장타원형 혹은 서양배형의 유주자낭을 형성하였고, 크기는 평균 $33.8{\times}16{\mu}m$였고, 구형의 후막포자를 다량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평균 직경이 $19.7{\mu}m$였다.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로 A1 mating type이 관찰되었고 난포자의 크기는 직경이 $26.2{\mu}m$였다. 균사의 생육적온은 $25{\sim}30^{\circ}C$였다. 이상과 같이 국내 최초의 P. cinnamomi에 의한 아이비줄기썩음병의 발생을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