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외선차단행동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골퍼의 자외선 차단의복의 수용 의도: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을 중심으로 (Golfers' Intention to Adopt UV Specialized Clothing as Innovation: Based on Rogers Theory)

  • 성희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54-1561
    • /
    • 2004
  • 골퍼들은 레저활동의 특성상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이 되므로 피부 보호를 위한 햇빛 노출 예방에 대한 관심이 미국에서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의복을 예방혁신제품으로 하여, 제품의 인지된 속성이 잠재적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비추어 연구하였다. 또한 혁신제품이 건강관련 제품이므로, 수용의도에 미치는 골퍼들의 현재 자외선 차단행동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임의 표집 방법을 이용, 미국내 골퍼들을 표본으로 하여 설문지 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158 명의 응답자 중 $91\%$가 남성골퍼 였으며, 평균나이는 30세 였다. 응답자의 $25\%$정도만이 피부노출 방지를 위한 차단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약$70\%$) 자외선 차단의복 특성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현재의 자외선 차단 행동 및 인지된 다섯개의 혁신속성을 회귀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시용의 용이성, 자외선 차단 행동, 일치성, 상대적 우월성 순으로 자외선 차단 의복 수용의도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피부보호와 관련된 예방혁신제품의 수용정도는 현재의 자외선차단 행동이 영향을 주며, 또한 제품의 외관적, 성능적 속성들도 일반 의류제품과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제품 수용시 고려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수 있다.

자외선 차단행동에 따른 자외선차단의류 인지도와 구매태도 (UV-protective Clothing Awareness and Purchase Attitudes according to UV Protective Behavior)

  • 권수애;최종명;유정자;김정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03-9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tential effects of Koreans' ultraviolet risk aware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n their UV protective behaviors in daily life and outdoor activities, and was to investigate in their awareness of UV-protective clothing and their purchase attitudes toward anti-UV protective clothing. To meet the above goals, we have surveyed a total of 262 participants(male and female) residing in Chungcheong province. Findings were as following: As a part of ultraviolet-protective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often relied on applying sun-block cream or shady place before exposition to sunlight. Particularly, it was notable that 30's or older group was more proactive in UV protective behaviors than younger group below 30 years ol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respondents' UV protective behaviors, their awareness of anti-UV clothing and their purchase attitudes to anti-UV clothing. Also,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ir UV-protective means for outdoor activities. That is, more favorable awareness about anti-UV clothing they have is associated with their more active attitudes to purchasing anti-UV clothing and taking anti-sunlight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used cosmetics for outdoor activities was more than that of respondents who used clothing to protect their body from ultraviolet ray. Hence, it will be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nti-UV clothing.

국내 골퍼들의 햇빛차단 행동 및 자외선차단 의복에 대한 태도 조사 (A Study on Korean Golfers' Sun Protective Behavior and Their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ing)

  • 성희원;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9-19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affecting sun protective behavior and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ing among Korean golfers. Health belief (HB) model and diffusion theory(DT) were used for the study. Dependent variable of HB model was sun protective behaviors (SPBs) and dependent variable of DT model was intention to buy (ITB) UV-protective clothing. Independent variables for HB model were cancer perception, perceived benefits, behavioral/psychological barriers and cues to actions, while independent variables of DT model were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friability, and observability, besides demographic variables.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variables in addition to gender and ag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SPB for Korean golfers. Also, relative advantage and compatibility. behavioral barriers and cues to action were significant in affecting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es. Both HB model and extended DT model were useful to predict sun protective behavior of Korean golfers.

햇빛차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un Protection Behavior)

  • 권영아;강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81-9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of Knowledge and attitudes related to sun safety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sun protection behavior. The subjects were 167 adults in their twenties living in Bus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ur factors of knowledge about sun safety were identified: ultraviolet ray risk, sunscreen, sun protective clothing, and nil protective color. 2. Four factors of attitudes toward sun exposure were identified: attractiveness, emotion, conformity, and health concern. 3. Four factors of sun protection behavior were identified: sunscreen/parasol, shade, hat/sunglasses, and sun protective clothing. 4. Compared to women, men were relatively more risk to skin damage due to less proportion that used sunscreen and a parasol. 5. Factors of sun protective behavior, such as sunscreen/parasol, shade, hat/sunglasses, and sun protective clothing, were associated with the Knowledge related to ultraviolet ray risk. 6. Wearing a hat and sunglasses was predicted by the attractiveness, which defined as positive attitudes toward tanned appearance. 7. Shade use wa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sun exposure as happiness and relaxing. 8. Health concer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sunscreen/parasol use.

  • PDF

자외선 차단 의복에 대한 소비자 조사 -아웃도어 스포츠웨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UV Protective Clothing - An Emphasis on Outdoor Sports Consumers -)

  • 성희원;전양진;박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1136-1145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un protective behavior and intention to buy UV protective clothing among outdoor sport persons in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ountain climbers, bikers and in-line skaters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wo theoretical frameworks, health belief(HB) model and diffusion theory(DT) were used for the study. Based on HB model, sun protection behaviors(SPBs) were associated with cancer perception, perceived benefits, behavioral barriers and cues to actions based on the HB model. Based on DT model, intention to buy (ITB) was determined by an individual's perceived attributes of UV protective shirt. Appearance concern variables were added to the extended HB model. The extended DT model was proposed by adding the variables in the HB model and variables of appearance concer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benefits, behavioral barriers, cues to action, and all three appearance concern variables as well as gender and ag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SPB for Korean outdoor consumers. Secon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friability, behavioral barriers and cues to action with some appearance concern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affecting intention to buy UV protective clothes. Extended HB model and extended DT model were useful to understand SPBs of Korean outdoor consumers.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피부 관련 생활습관 및 피부건강행동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kin-related Habits and Skin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 김용연;박신준;박시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7-1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피부 관련 생활 습관 및 피부건강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설문은 일반적 사항, 피부 관련 생활습관, 화장품 사용 실태 및 피부 관리 습관에 대한 4가지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피부 관련 생활습관에서는 흡연(χ2=19.58, p=0.000) 및 운동(χ2=17.59, p=0.001) 습관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화장품 사용 실태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외선차단제를 제외한 기능성화장품, 에센스, 영양크림, 아이크림, 마스크팩 및 딥클렌징 항목에서 남·여 대학생 모두 '사용하지 않음' 및 '주 1회 미만 사용' 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31.20, p=0.000). 본 연구 결과, 조사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피부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smeceuticals Usage Actual Cond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Female Undergraduates)

  • 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9-356
    • /
    • 2012
  • 기능성화장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시장 세분화를 통하여 더 많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기능성화장품의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4년제 여자대학교 2곳을 선정하여 34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300명의 실증자료를 얻어 SPSS WIN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다수의 여대생들이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고민 해결방안으로 주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화장품의 구매 장소로는 백화점이 가장 많았고, 구매 시 고려사항으로는 제품의 효능 및 효과가 가장 많았다. 기능성화장품 중에는 자외선차단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제품유형과 구매속성 중요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Channels)

  • 박철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5-163
    • /
    • 2001
  • 최근 인터넷 상거래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기업의 경쟁이 실물세계와 가상세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 전개되고 있다. 즉, 유통경로의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물리적 세계에 존재하는 전통적인(오프라인) 유통경로와 사이버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온라인) 유통경로가 서로 경쟁하는 형국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유통경로간 경쟁의 중심부에는 고객이 자리잡고 있다. 어떤 경로든 소비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에게 최상의 유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는 생존·번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논의들과 현상들을 볼 때, 어느 한 유통경로가 다른 유통경로를 완전히 대체하는 제로섬 게임의 양상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즉, 상당기간 두 유통경로는 상호 병존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두 경로가 자신들만의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가지고 생존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 두 경로상에서 소비자의 구매(쇼핑)행동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유통경로와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제품유형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매속성중요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 검증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캐주얼의류, 여행상품, 음악CD를 가지고 인터넷 사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매속성 중요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매장이 어떻게 차별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계육내 CLAisomer는 1, 2, 3% 급여구에서 각각 12.23, 18.74, 25.67 mg/g으로 처리구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CLA의 급여는 SBO와 CT에 비하여 증체량을 개선하고 혈중HDL을 높여주는 경향을 보였지만 ND항체가는 개선되지 못하였다.으며, 그 효과는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고콜레스테롤 투여군(HC)의 분변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농도는 정상대조군(C)에 비해 다소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뽕잎첨가군(HC5M과 HC10M)의 총 지질,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 투여군(HC)에 비해 분변으로 배설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뽕잎 분말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하는 경우 혈청과 간장의 지질수준은 떨어뜨리고, 분변중 지질배설량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보인다.둘째.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제품군별. 산업범주별 로 상이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패션제품군별로 보 면, 한국의 경우는 가장 높은 '여행용가방(r = 0.707)' 에서 가장 낮은 '자외선 차단화장품(r = -0.58)'까지, 그리고 미국 패션제품군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팬티 스타킹'의 0.820에서 '남성용 런닝슈즈'의 -0.472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알 경우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이득 을 추산한 결과 패션제품시장에서 완전한 품질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현명한 사람'은, 최고가격의 제품만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