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지향적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6초

자연지향적 집단의 생태관광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수도권지역의 자연지향적 단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Ecotourism in Nature-Oriented Groups-Focus on Nature-Oriented Groups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

  • 유기준;최인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7-175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지향적 집단의 생태관광 행동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5개 지역 지향적 집단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여행객의 행동특성,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소들, 그리고 행동특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와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는데, 이를 위해서 행동특성에 대한 요인분석과 독립변수들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절대환경론자 및 정태형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들은 계절과 방문빈도에 민감했으며 조화론자 및 모험형의 사람들은 동기부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장애요소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의 잠재적인 생태관광 시장의 효과적인 홍보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자료의 이용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생활양식적 차이와 다양성 요구에 의한 심리적 유형의 차이 및 개인의 환경관 등이 행동에 작용하는 범주와 영향의 구체적 원인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향후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학교 학생의 환경적 세계관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Worldview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
    • /
    • 2024
  •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의 기술지향, 생태지향 및 지속가능발전 환경적 세계관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중학교 학생의 환경적 세계관은 자연 환경 영역 자연에서의 사람의 가치, 자연 환경의 가치, 사람의 자연 지배, 환경 생태계의 평형 유지 능력의 4개 범주, 사람의 행동과 환경 영역은 에너지 및 자원 고갈, 기술 개발, 경제 성장, 환경 문제의 심각성의 4개 범주 등 2개 영역, 총 8개 범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10개 중학교 남학생 152명, 여학생 224명 등 총 356명이었으며, 온라인 설문 조사 사이트에 자발적으로 접속하여 리커르트 4점 척도(1~4)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중학교 학생들은 기술지향 환경적 세계관 보다는 지속가능발전 환경적 세계관과 생태지향 환경적 세계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여학생이 남학생에서 비해 지속가능발전 환경적 세계관에 대한 높은 경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학생이 지속가능발전 환경적 세계관을 유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실천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미래지향적인 관광동굴 관리방안 - 관광동굴 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 홍충렬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7-73
    • /
    • 2001
  • 자연동굴은 다른 자연관광자원과 비교하여 볼 때 특수성과 자원가치면에서 매우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자연학습장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뿐만 아니라 지역홍보수단으로 많은 동굴이 개발되어 관광객을 유치하거나 개발여부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관련 지역단체 역시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삶은 곧 자연이다(Life is Nature) - 인류의 건강한 풍요로움을 지향하다 -

  • 이경헌
    • 월간양계
    • /
    • 제40권12호
    • /
    • pp.126-129
    • /
    • 2008
  • 경부고속도로 천안휴게소에 서면 도로 너머로 화려한 원색의 기다란 건물이 보인다. 장난감을 만드는 회사인가 싶을 정도로 알록달록한 이곳은 외관의 느낌과 달리, 면역체계 증진을 위한 사료첨가제와 AI 예방제, 다약제내성병원체(MDRP)치료제를 개발 판매하고 있으며, 각종 친환경 유기농 제품군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친환경 바이오 전문 기업 (주)리스나(대표 이종화, 이혁기, 정태호)의 본사이다. 리스나(Liisna)는 'Life is Nature'의 약자로 '삶은 곧 자연이다. 생명의 원천은 자연이다. 생명과 자연은 하나다.' 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리스나의 전신인 구 오보바이오는 2005년 단국대학교 내 창업센터에서 시작해 2007년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그리고 순환적 발전 모델을 추구하고자 2008년 8월 '(주)리스나'로 사명과 CI를 변경했다. 사명과 CI 변경을 통해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사업 부문과 유기농 사업 부문이 순환적으로 결합되어 친환경 바이오 전문기업으로서의 시너지 효과를 꾀하고 있다. 아울러 '인류의 건강한 행복을 지향하는 기업' 이라는 비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PDF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위한 Nature-Study 교육방법 고찰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Nature-Study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 박상민;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5-5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Nature-Study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Nature-Study의 교육방법을 도출하고 이 교육방법이 오늘날 과학교육에 주는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Nature-Study의 역사적 연구를 발전시켜 Nature-Study의 교육관점을 도출하고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출판된 Nature-Study 관련 문헌을 수집 분석하여 각 교육관점에 따른 교육방법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한 교육방법을 바탕으로 Nature-Study가 오늘날 과학교육에 주는 의의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Nature-Study는 자연에 대한 학습이라는 관점에서 학생과 자연의 교감을 강조하고, 교과 통합적 학습을 중시하며, 비형식적 학습을 학교 수업에 포함시키는 교육방법을 지향한다. 또 직접 경험을 통한 학습이라는 관점에서 야외 활동을 지향하고, 교재보다 경험이 선행될 것을 강조하며, 기초적인 관찰을 중시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라는 관점에서 학생의 흥미를 중요시하고,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을 지향하며, 조력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와 같은 Nature-Study 사상은 오늘날 과학교육에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으로의 관점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심미성이 Street Fernutur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휴식공간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Street Furniture (on Recess Space))

  • 형성은;양종열;홍정표;김태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49
    • /
    • 2000
  • 인류는 현재의 인위적인 환경의 탈피와 문명의 진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자연환경의 복귀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된 환경 속에서도 인공환경은 자연환경을 압도하고 있다. 이것을 학문적 영역인 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인간과 자연은 정신 선험적인 관계를 갖고 있어서 자연의 부재는 인간에게 정신적인 불안감을 생기게 한다. (중략)

  • PDF

정철 시조에 나타난 현실 지향과 풍류의 성격 (A study on the pursuit of reality and elegance expressed in Jungchull's Sijo)

  • 전재강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1집
    • /
    • pp.207-239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정철 시조에 나타난 현실 지향과 풍류의 성격을 논의했다. 정철은 일반 유자들이 가지는 현실지향의 근본적 성격을 바탕에 가지면서도 근기 지역의 기호 사림의 일원으로서 주기적 세계관-을 가짐으로써 더 현실지향성을 가졌고 유년에 행복한 궁중 생활을 체험함으로써 그의 현실 지향은 구체적으로는 궁중 지향으로 나타났다. 시조에서 군주와 단절된 상황일 때에 절대적 지향성을 가지고 단절을 극복하지 위한 갖가지 노력을 했고 자아의 정체성을 역설적으로 드러내어 군주를 향한 절대적 지향의 당위성을 드러냈다. 군주와 관계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작자는 궁중에서의 관직 생활을 행복한 추억으로 기억하였고 지방관으로 나가 있을 때에는 현직에 복무하면서도 군주가 있는 궁중 지향을 그치지 않았다. 현실 지향성과 관련하여 자연과 음주는 정철에게 있어 풍류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자연과의 관계에서 정철이 군주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때에는 유흥과 호방함의 정서를 드러냈고 군주와 부정적 관계 속에 처했을 때에는 자연을 통하여 자신의 결백함을 드러내거나 자연과 단절된 자신의 모습을 표현했다. 물러나 자연과 친화하며 심성을 연마하고 후진을 양성하던 일반 유자들과는 달랐다. 음주에 있어서 정철은 군주와의 우호적 관계에서는 술을 통하여 여유와 유흥을 주된 내용으로 표현했고 군주와 단절된 상황에서는 고뇌와 근심을 씻기 위하여 통음에 자신을 내맡기는 감성적 행동을 시조에 표현했다. 술을 통하여 고뇌를 이기려는 성향은 그의 스승 김인후 한시나 그의 후배인 신흠의 시조에서도 확인되어 음주 풍류의 한 전통을 형성하고 있었다.

  • PDF

사무환경에서 아트리움의 환경친화적 특성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of Atrium in the Office Environment)

  • 김경남;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4-148
    • /
    • 2001
  • The structures built carelessly become the origin of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from the urbanization. To solve this problem, I hav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trium as an environment-friendly factor to the office environment. The result is that Atrium protects the insiders health and contributes to the energy saving as it enables the use of natural lights and solar heat first. Second, it gives the office environment liveliness, makes a clean environment and helps the insiders health for introduction of green field. Third, it plays a role of a place for rest, a place for meeting, and a small park by attracting people to the organic space where the inside and outside are connected with a huge glass.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we should try to prepar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mutually through its active introduction in the space.

  • PDF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Exploring the nature an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조부경;서현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07-418
    • /
    • 2018
  • 인류의 발전을 주도해 온 과학기술이 만들어낸 자연고갈과 기후변화, 이로 야기되는 경제적 불평등과 빈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는 과학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교육의 본질과 유아과학교육의 실천방향에 대해 고찰하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관련 전문가 18명과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실천방향에 대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과학교육은 '유아-교사-생명체간 상호존중', '개별 탐구 기반 공동체 의식 함양', '유아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기', '관심 주제에 대한 심화와 확장', '지속적 탐구와 몰입', '대화와 공유 중심 탐구'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과학교육은 유아가 관심 있는 주제로부터 출발하여 상호 존중의 탐구 경험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자연에 대해 지속적으로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