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정화기법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Removal of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Causing of Green Algae in System of Sheet Flow (박층류 모형에서의 고농도 녹조 원인물질 제거)

  • Kim, Myounghwan;Lee, Du Han;Eom, J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8-418
    • /
    • 2019
  • 낮은 수심, 저 유속의 수로 자갈층에 형성된 생물막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박층류 자연정화기법의 효율적인 설계와 운영지침을 얻기 위하여 경기도 용인시 오산천 일부 구간에 현장적용을 위한 Test-bed를 조성하여 박층류 자연정화수로에서의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오염물질은 녹조발생의 주요 원인물질인 인과 질소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조건은 일반적인 하천수에서의 오염 조건과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된 오염조건의 두 가지 조건을 가정하여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조건에서 박층류 수로를 통과할 때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T-P 3 mg/L 이상, T-N 20 mg/L 이상의 고농도의 오염물질 유입시에 박층류 자연정화수로는 평상시보다 높은 60% 이상의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는데, 이를 통하여 박층류 자연정화기법이 고농도의 오염물질 제거에서도 제한적이지 않고 오히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of Wastewater Treatment by Contructed Wetland (축조된 습지(wetland)를 이용한 폐수처리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Yoon, Chun-Gyeong;Chung, Jae-Ch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4 no.1
    • /
    • pp.61-72
    • /
    • 1996
  • Recently, significant attention is given to the wastewater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 This is because the wetland system is a kind of natural taeatment system, simple to maintain and it has relatively fewer technical difficulty. Thus, it would be a practical method to employ especially in rural area in Korea. In this paper, the authors dscuss the design criteria of construted wetland developed in USA as an initial feasibility study to adopt it in Korea. We discuss about especially types of vegetation, natural succession and management, planting techniques, seeding teckniques and management after censtruction.

  • PDF

A Study on the Cleanup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Micro-Bubble Soil Washing Process (미세기포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의 디젤 오염토양 정화에 관한 연구)

  • 조장환;정민정;민경석;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04a
    • /
    • pp.97-9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알칼리제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토양세척기법에 대하여 일련의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알칼리제인 NaOH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pH를 상승시켜, 강알칼리 상태에서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면 미세기포가 발생되며, 이 미세기포에 의해 토양에 흡착되어 있는 유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탈착.부상된다. #60(0.25mm) 이하의 자연토양을 6,500 mg TPH/kg dry soil로 오염시켜 사용하였으며, 세척수의 pH, 진탕비(토양 중량 : 세척용액 부피), 과산화수소 주입량, 세척시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세척수의 pH는 12, 진탕비는 1:5, 과산화수소 주입량은 1%, 세척시간은 1시간으로 적용한 결과 최대효율(60%)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Revetment in Gwangju Stream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Park, Nam-Hee;Kim, Yun-Hwan;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98-1107
    • /
    • 2007
  •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많은 하천에 다양한 자연형 호안공법이 시공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 하천이 지니는 특성에 적합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적용 호안이 시공 이후 하천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광주천을 대상으로 하여 호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하천인 광주천은 광주시를 관통하는 도시하천으로, 현재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광주천의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리적 안정성, 식생의 건전성과 경관/심미성 및 생태성을 포함한 평가방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광주천에 적용하여 하천공사 전후의 호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호안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Unsaturated Soil II : Numerical Analysis (불포화토의 동전기 정화 특성 II : 수치 해석적 연구)

  • Kim, Byung Il;Han, Sang Jae;Kim, Soo Sam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C
    • /
    • pp.9-17
    • /
    • 2006
  • The numerical analysis to predicting the electrokinetic remediation behavior on unsaturated soil is carried out by aiding HERO, Hanyang Unversity Electrokinetic Remediation program, developed from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in the VISUAL FORTRAN environment. The analysis for the pure kaolinite under saturated conditions is perform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of Acar (1997). Also the predictions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on unsaturated conditions are performed and the conclusion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 of the electrolyte in the reservoirs is not different with the degree of saturation resulted from the changes in electrical efficiency. But the advance of acid front is increased dependent on the degree of saturation in contrary to the transportation of base front. Second, below the degree of saturation of 83%, which is equivalent to the optimum water content, the removal effect increased with the decreasing of degree of saturation. But it have no effect on the efficiency of removal over the degree of saturation of 83%.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 Kim, Sung-Won;Choi, I-Song;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using Bivalves in Lake Suwa (Japan) (조개를 이용한 일본 수와호의 수질개선과 지역발전의 역사)

  • Okino, Toki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7 no.spc
    • /
    • pp.1-9
    • /
    • 2014
  • Lake Suwa is a natural lake which is well-known for sightseeing and fisheries. It had suffered severe eutrophication during 1960s and 1970s with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l blooms and the extinction of some benthic animals. Since 1980 water quality has been improved due to efforts of local government, scientists, and citizens. Of various methods that were attempt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Lake Suwa biological methods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it can improve the lake ecosystem integrity and fisheries in addition to the water qua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biological metho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that had been employed in Lake Suwa, Japan,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benefit of local residents. Until now a significant restoration of water quality has been achieved, but there are insufficient recovery of the sediment and biota due to anoxic hypolimnion of the lake. This study proposed suspended cage culture of bivalves as a feasible method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creased grazing by bivalve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fisheries production, which will contribute both to the ecological restoration and economy of local residents.

Oxidative-Coupling Reaction of Aromatic Compounds by Mn Oxide and Its Application for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망간산화물에 의한 방향족 유기화합물의 산화-공유결합반응 및 이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기법)

  • Kang, Ki-Hoon;Shin, Hyun-Sang;Nam, Kyoung-Phil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5
    • /
    • pp.115-123
    • /
    • 2007
  • Immobilization of contaminants in subsurface environment is one of the major processes that determine their fate. Especially, immobilization by oxidative-coupling reactions, which is irreversible in the bio-chemical reactions and results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toxicity, can be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more effectively than conventional degradation. As a catalyst of this oxidative-coupling reaction, manganese oxide has many advantages in practical aspects as compared to microorganisms or oxidoreductive enzymes extracted from microorganisms, fungi, or plants. This paper is to present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treatment mechanisms of various organic contaminants by manganese oxide. Especially, treatment methods of non-reactive organic compounds to Mn oxide are the main focus; i.e., application of reaction mediator, PAHs treatment method, combination with an appropriate pretreatment such as reduction using $Fe^0$, which suggests the potential of a wide range of engineering application. Concerning the natural carbon cycle processes, immobilization and stabilization by oxidative coupling reac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as a environmentally-friend remediation method especially for aromatic contaminants which possess a high resistance to degradation.

Critical Review of Redox Processes in Aquifers Contaminated with Landfill Leachate (매립지 침출수에 의해 오염된 대수층 내에서의 산화-환원 과정에 대한 고찰)

  • Kang, Kihoon;Park, Heek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2
    • /
    • pp.385-399
    • /
    • 2000
  • Ground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landfill leachate leads to various changes in aquife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coming contaminants and aquifer geochemistry. These changes in aquifer environment are known to contribute to the natural attenuation phenomena of contaminants. The knowledge on changes in aquifer environmen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xtent of groundwater pollution, to assess risk of the pollution, and to develop an appropriate remediation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aquifer environment caused by landfill leachate development of various redox zones-and the natural attenuation phenomena occurred in each redox zone are reviewed. From this review, an appropriate research direction and control action is presented for the groundwater pollutions caused by unsanitary landfills scattered across the nation.

  • PDF

Wastewater Treatment Eco-pond by Using Energy Circulation System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이용한 생태연못의 수질개선)

  • Kim, Min-Young;No, Hwang-Won;Lee, Seung-Yo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27-2131
    • /
    • 2008
  • 본 연구는 자연생태하에서 지속가능한 태양에너지와 생태계작용에 의한 수질개선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생태연못을 설치하여 수질부하가 발생함에 따라 생태연못에 에너지를 순환시켜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생태연못(Eco-Pond) 시스템의 수질개선 원리는 수중(유입수)의 침전, 유기산 생성, 메탄 발효, 호기성 산화, 광합성 산소배출 및 병원균 제거 등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축산농가 및 마을단위의 축산 및 생활하수 유입부에서 생태연못을 두어 수질을 개선하는 공법 즉, 산화조(Oxidation Pond)에 SolaBee 시스템을 결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에너지 순환장치를 이용한 수질개선 방안으로는 태양열 연못 내에 물순환장치를 만들어 수체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고 공기를 혼합시켜 부영양화가 진행되는 연못이 수질을 자연친화적으로 개선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태양에너지는 다른 자연에너지(풍력 등)에 비해서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지역의존성이 적고 그 양이 방대하여 21세기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에너지 순환구조를 가진 생태연못 시스템은 우리나라 중소규모의 농촌 및 축산농가에 보급 될 수 있는 수질개선 시스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