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적 영향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5초

2001년 서울지역 에어러솔의 물리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Physical Characteristics in Aerosol at Seoul in 2001)

  • 박기준;최병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9-440
    • /
    • 2001
  • 대기 중의 에어러솔 입자들은 직접적으로는 빛의 산란, 흡수 등 복사 평형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는 구름 응결핵(CCN)으로 작용함으로써 알베도와 구름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연적인 에어러솔은 인위적 활동에 따른 황 화합물, 질소 화합물, 유기물. 매연 그리고 토양 먼지의 증가에 의해 사실상 교란되어 왔다. 인위적인 에어러솔에 의한 복사 강제력(radiative forcing)은 현재 전 지구적 평균이 -0.3~-3.5Wm$^{-2}$ 정도로 추정되며, 이것은 온실 기체에 의한 강제력인 +2.0~+2.8Wm$^{-2}$ 와 비교될 만 하다(IPCC, 1995). (중략)

  • PDF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포집된 PM10 필터의 색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image of PM10 filter using WebCam)

  • 정상진;곽재환;심순섭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9-340
    • /
    • 2002
  • PM10 대기 미세먼지는 자연적이고 인위적인 발생원에 의해 다양한 미량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대기질 관리나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대기관측시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인되어 있고 신뢰성이 있는 측정방법이 있어야 한다. (중략)

  • PDF

대학 무용전공자의 셀프리더십과 인지적 유연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Danc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the Cognitive Flexibility)

  • 성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1-18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전공자의 셀프리더십과 인지적 유연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를 무용지도 현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4년제 대학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들이며, 최종분석에는 256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였으며, 유의수준은 ${\alpha}$=.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건설적 사고패턴 셀프리더십은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다양성선호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행위중심, 자연적 보상 셀프리더십은 다양성선호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연적 보상과 건설적 사고패턴 셀프리더십은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복잡성선호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건설적 사고패턴 유연성이 매우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위중심 셀프리더십은 복잡성선호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 및 조직혁신행동의 관계 (Relation of Self Leadership and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Innovation Action in Private Security Guard)

  • 김경식;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77-38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 및 조직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1년 서울소재 민간경비회사에서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비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293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831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친다. 즉, 행위 중심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이 잘 이루어질수록 영향력과 의미성은 증대된다. 또한 건설적 사고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이 잘 이루어질수록 역량/자기결정력은 증대된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은 조직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행위 중심 전략이 잘 이루어질수록 혁신행동은 증대된다. 또한, 건설적 사고 전략, 행위 중심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이 잘 이루어질수록 조직의 혁신성과는 증대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임파워먼트는 조직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영향력, 의미성이 증대될 경우 혁신행동, 혁신성과는 높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은 임파워먼트 및 조직혁신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임파워먼트는 셀프리더십과 조직혁신행동을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GIS 자료와 일조모델을 이용한 자연적 및 인공적 지형에 의한 일조차단 평가 (Assessment of Blocking Effect of Natural and Artificial Topography on Sunshine Duration Using GIS Data and Sunshine Model)

  • 김도용;김재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7-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의도 남쪽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자연적 및 인공적 지형에 의한 일조차단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지형공간자료를 생산하고,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기반으로 3차원 일조환경평가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주간시간대에는 대상지역의 약 80~90% 이상의 영역에서 일조가 형성되었으며, 특히 하지(여름철)의 경우가 일조환경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악지형에 의한 일조차단의 영향은 일몰에 가까운 늦은 오후 시간대에 북쪽 주거지역에서 나타났다. 성토건설에 따라 형성되는 인공지형의 경우,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남쪽 주거지역의 일조환경에 영향을 미쳤으며, 늦은 오후 시간대에는 염전의 남서쪽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Their Burnout)

  • 오진경;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83-9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 및 소진 간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51명이다. 연구대상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 및 소진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자료분석에서 소진과 회복탄력성은 총점을 사용했으며, 정서노동은 하위요인(자연적행동, 내면적행동, 표면적행동) 점수를 사용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보육교사의 자연적행동과 내면적행동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이고, 표면적행동은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표면적행동은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계 결합 가능성 기반 구역설정 최적화 모델 (An Optimization Model Based on Combining Possibility of Boundaries for Districting Problems)

  • 김감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23-437
    • /
    • 2014
  • 구획화는 인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지역적 틀을 만들어내는 공간 의사결정 과정이다. 그러나 구역 내 포함되어 있는 자연적 장애물은 재조직화된 구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활동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는 구획화 과정에서 경계의 특성, 즉 고도와 같은 자연적 특성, 상호작용과 같은 관계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경계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구획모델을 고안하는 것이다. 경계를 '결합' 혹은 '분리'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인접한 두 공간 단위 사이의 길이, 고도 편차, 상호작용과 같은 여러 경계 특성을 바탕으로 평가된 결합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연속적 함수로 간주하고 목적함수 형태로 모델에 반영한다. 모델은 인구, 면적과 같은 수요 균형을 부여하는 제약조건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연접성 제약조건을 갖는다. 경계 속성을 자연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으로 구분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에 대하여 적합도 분석을 수행하여 인접한 두 기본 공간 단위 사이의 결합 가능성을 평가한다. 행정구역 재설정문제에 고안된 모델 및 경계 특성 분석 방법을 적용한다. 분석 결과는 혼합정수계획법의 틀로 다양한 경계 특성을 고려한 구획화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 PDF

국내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특성 분석: 2016~2018년 예찰데이터를 기반으로 (Analysis of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Pine Wilt Disease in Korea based on Monitoring Data from 2016 to 2018)

  • 심상택;이성희;이차영;남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80-288
    • /
    • 2021
  •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 및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제전략 수립을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 요인, 지리적 요인, 그리고 인위적 요인과 같은 환경 조건과 소나무재선충병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16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자료와 자연적, 인위적 요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조건의 공간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소나무재선충병에 의한 고사목 발생 본 수에 대한 환경 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총 17개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 중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한 결과 자연적 요인은 고도와 5~8월 기온이, 인위적 요인은 도로와 건물과의 거리가 소나무재선충병 감염고사목 발생본수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광역시 도심하천의 수리화학적 및 동위원소 특성

  • 문병진;정찬호;이광식;신형선
    • 대한지질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질공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9-136
    • /
    • 2002
  • 대전광역시의 도심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을 대상으로 하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과 동위원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의 수리화학적 특성은 상류에서는 $Ca(Mg)-HCO_3$ 유형을 보이다가 도심권을 통과하면서 $Ca(Mg)-SO_4(Cl)$유형으로 전환되고 하류에서는 $Na(Ca)-HCO_3(Cl,{\;}SO_4)$ 유형으로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화학적 유형의 변화는 자연적 영향보다는 인위적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천수의 전기전도도와 수리화학적 유형으로 보면 대전천보다는 유등천과 갑천이 비교적 좋은 수질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가 합류되는 갑천하류부터는 수질이 급격하게 나빠진다. 하천수의 pH는 상류에서 중성을 보이다가 도심권을 지나면서 최고 pH 9.8정도의 알카리성을 보인다. 이는 아파트의 우수관을 통한세제 유입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천수의 ${\delta}^{13}l3C-HCO_3$ 관계에서 중탄산 함량의 증가에 따른 ${\delta}^{13}C$ 값의 증가는 하천수내 $CO_2$의 기원이 유기물에서 무기물의 영향이 커짐을 의미한다. ${\delta}^{34}S-SO_4$의 함량관계는 황산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delta}^{34}S$ 값은 낮아진다. 갑천, 유등천, 대전천의 순으로 황산염의 농도가 증가하고 ${\delta}^{34}S$ 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갑천 중상류의 경우에는 황산염의 기원이 자연적 반응외 비료 등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대전천의 경우에는 유기오염에 의한 황산염의 유입이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갑천하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대전시 도심하천수의 수리화학적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 기준의 강화, 아파트단지에서의 세제의 유입의 차단, 그리고 부분적인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대구지역 일반주택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 Analysis and Source Assessment of Household Dust in Daegu, Korea)

  • 도화석;송희봉;정연욱;윤호석;곽진희;한정욱;강혜정;피영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9-78
    • /
    • 2010
  • 일반주택의 먼지오염실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9년 1월부터 2월까지 대구지역내의 도시지역(24곳) 및 농촌지역(24곳)의 일반주택 48가구를 대상으로 진공청소기에 포집된 먼지를 수거한 뒤 100 ${\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에 발암물질로 알려진 Cd과 Ni을 포함한 모두 14개 원소(Al, Ca, Cd, Cr, Cu, Fe, K, Mg, Mn, Na, Ni, Pb, V, Zn)를 ICP로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발생원을 평가한 결과, Ca, Fe, K, Mg, Mn, Na, V 성분은 암석풍화, 토양의 재비산 등과 관련된 자연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받았고, Cd, Cr, Cu, Ni, Pb, Zn 성분은 연료의 연소, 폐기물소각 등과 관련된 인위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량원소성분의 농도는 자연적인 발생원성분에서 유래되는 성분이 높았고,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유래되는 성분이 낮았다. 인위적인 발생원의 기여도는 도시지역(2.5%)의 먼지가 농촌지역(2.0%)의 먼지에 비해 높았다. 오염지수를 이용한 중금속성분의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도시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1.8배정도 높게 오염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역별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이 공통적으로 자연적-자연적 발생원 성분간(Al-Mg, Al-Mn, Fe-Mn), 자연적-인위적 성분간(Al-V, Fe-Cr, V-Mn)이 유의하게 양호하였다. 그리고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유의한 상관성이 많았다. 또한 유해 중금속성분과 영향인자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난방연료로 기름을 사용하는곳이 가스나 전기를 사용하는 곳보다, 어린이가 있는 곳이 없는 곳보다, 주택과 대도로 사이가 10 m 미만인 곳이 이상인 곳보다, 주택연수가 10년 이상인 곳이 미만인 곳보다 상대적으로 중금속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