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적 영향

Search Result 407,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HEC-6를 이용한 하천의 하상적응과정분석 (반변천을 중심으로)

  • Park, Hee-Young;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3-687
    • /
    • 2009
  • 하천의 하상은 장기간에 걸친 교란으로 변화를 겪으며 자연 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의 교란은 자연적인 교란과 인위적인 교란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적인 교란은 홍수, 태풍, 지진, 해충, 질병, 사태, 극고 저온, 한발 등을 포함하며 생태계의 안정성, 저항성 및 복원성에 의하여 자연 복원되는 경우이며, 인위적인 교란은 댐건설, 하도정비, 골재채취 기타 다른 하천 구조물의 축조 등으로 인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막대한 변화가 초래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란된 하천의 하상변동 경향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이 치수 구조물 축조에 반영하고 하천 생태계 교란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하천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위치한 반변천의 임하 역조정지댐 직하류부터 낙동강 합류점까지 10.92km 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HEC-6를 이용하여 댐 건설전과 건설 후에 대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처음 5년간은 하상이 $0.5{\sim}1.0m$정도 저하되었으나 10년이 지났을 때, 댐 건설전의 경우에는 $-0.4{\sim}2.2m$, 댐 건설 후에는 $-0.2{\sim}1.3m$정도로 하상이 변화되었다. 이는 댐이 없을 경우에는 처음 5년간은 하상이 심하게 저하되었다가 10년이 지나면서 하상 저하율이 감소되면서 평형상태를 이루는데 댐이 있을 경우에는 하상이 저하되는 감소율이 더 적어지면서 댐이 있을 때보다 하상저하가 적게 이루어진 것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Data Clustering Algorithm Adaptive to Data Forms (데이터 형태에 적응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Lee, K.H.;Lee, K.C.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433-1436
    • /
    • 2000
  • 클러스터링에 있어서 k-means[7], DBSCAN[2], CURE[4], ROCK[5], PAM[8], 같은 기존의 알고리즘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어느 고정된 모양에 의해 클러스터를 결정한다. 만약 클러스터 하려는 데이터의 분포가 우연히 알고리즘의 결정된 모양과 일치하면 정확한 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자연적인 데이터의 분포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 데이터의 형태를 추적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CHAMELEON[1] 알고리즘이 최근에 발표되었다. 하지만 모양에는 독립적이나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은 기존의 마이닝 데이터들이 대용량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현실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K-means[7]]를 이용한 대표를 선출하는 방법으로 CHAMELEON[1]의 문제점 개선(EF-CHAMELEON)을 시도하였으며 여러 자연적인 형태의 도형들은 아주 작은 원형들의 집합으로 구성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기본으로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은 초기 다수의 소형 클러스터를 K-mean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이를 다시 크러스터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다시 머지 하는 방법으로 모양에 의존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비교사 학습(unsupervised learning)에 충실하기 위해 임계값을 적용 적정 단계에서 알고리즘을 멈추게 한 ADF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실험 데이터는 기존의 여러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판별 할 수 없었던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있는 2차원 배열을 사용하여 ADF. CHAMELEON[1], EF-CHAMELEON,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산불확산예측 프로그램의 개발

  • 유상식;김응식;이시영;김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51-59
    • /
    • 1999
  • 산불발생 요인으로 캐나다와 미국의 경우에는 자연적인 현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입산 자들의 부주의, 농산폐기물소각 등에서 오는 인위적인 원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산불발생시 즉시 진화하기 어려운 이유는 우리나라의 지형특성상 구릉지가 많아 발견되기 어렵고, 산불의 진압을 위한 장비와 인력동원에서 오는 지연시간 및 산불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중략)

  • PDF

유향ㆍ유속의 변화에 따른 모형 정치망의 거동

  • 윤일부;김부영;이주희;권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3-26
    • /
    • 2003
  • 정치망은 어군의 자연적인 이동 경로를 길그물로써 차단하여 어군을 운동장으로 유도한 후, 비탈그물을 통해 원통으로 들어가게 하여 어획하는 소극적 어구이다. 정치망이 수중에 형성하고 있는 공간의 규모와 형태는 해면에 떠있는 뜸의 형상 및 각 부분의 부설 깊이와 침강 수심을 조사하여 추정하고 있으나, 정치망이 설치된 해역의 조류 방향과 유속에 따라 수중 형상의 크기나 형태가 변형되어 어획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강한조류나 악천후에 의한 파손 등으로 조업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중략)

  • PDF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에 의한 중금속 (Cd, Pb, Cu)의 생물축적에 관한 연구

  • 김성길;곽희상;강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9-240
    • /
    • 2000
  • 산업사회의 발달로 해양생물이 살아가는 생태계는 지역에 따라 자연적인 정화 능력 이상의 많은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있으며, 이는 연안 생태계 내에 살아가는 생물이나 그 생물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도 많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Johnston, 1976). 이러한 중금속의 악영향으로 인하여 중금속에 대한 생물축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생물을 biomonitor로 활용을 하며, 대형 수생식물, 이매패류, 다모류, 따개비류 및 어류 등을 이용하여 중금속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환경 평가의 기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Rainbow, 1995). (중략)

  • PDF

Trend Analysis of Climate Change Using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한반도 지표기온을 통한 기후변화 추세 분석)

  • 현명숙;오성남;방소영;이명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16-517
    • /
    • 2003
  • IPCC 2001 보고서에 따른 최근 연구에 의하면, 20세기에 전 지구적으로 대략 0.4$^{\circ}C$~0.8$^{\circ}C$의 기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지만 이 증가경향이 시ㆍ공간적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지표기온의 변동성은 자연적인 원인과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영향를 받을 수 있다. 한반도 온난화는 온실 기체와 도시화같은 원인에 의해 기온의 증가현상이 나타난다. 국지 혹은 지역적인 기후의 특성은 도시화와 같은 토지 이용도의 변화를 포함한 여러가지 인위적인 요소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Transport by the Tier 2-3 Method (Tier 2-3 수준의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2000))

  • 최상진;김호정;홍영실;장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17-218
    • /
    • 2003
  • 지구의 기후변화는 자연, 인위적인 요인 모두에 의해서 발생되지만 UN IPCC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온실가스가 자연적인 기후변화에 단독으로 미치는 영향보다도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현재보다 휠 씬 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하여 인위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부분은 에너지산업, 제조/건설업, 수송 등의 연료연소부문에서 기인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nd Formaldehyde(HCHO)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Furniture (가구에서 발생되는 VOCs와 Formaldehyde의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신도;서병량;윤중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3-164
    • /
    • 2001
  •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포름알데히드(HCHO)의 발생원은 매우 다양할 뿐만아니라 주변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VOCs와 포름알데히드의 발생원으로는 크게 인위적인 발생원, 자연적인 발생원, 실내에서의 발생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인들의 하루생활 중 80%이상이 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실내에서의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특성파악과 적절한 제어방안이 요구된다. VOCs와 포름알데히드의 발생원중에서 실내에서의 발생원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신축건물과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건축자재에서의 방출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인천 송도 신시가지 조성을 위한 갯벌매립이 해양저서동물 군집에 미친 영향 1.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및 군집구조의 변화

  • 홍재상;윤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66-368
    • /
    • 2000
  • 연안 매립을 포함하는 방파제의 건설이나 호안의 건설은 자연적인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인위적 교란으로 나타나며 그에 따른 수력학적 변화에 의해 퇴적학적 특성은 물론 지형학적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저서생물의 유생의 분포, 먹이입자의 퇴적작용, 그리고 퇴적상의 변화를 초래하고 결국 저서동물군집의 구조에 변화를 주게 된다(Seys et al., 1994). (중략)

  • PDF

울산 및 마산만연안에서 퇴적물중 중금속오염에 관한 연구

  • 김평중;최희구;이필용;김상수;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87-189
    • /
    • 2000
  • 최근 연안해역은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해서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산업화에 의해 생성되어 해역으로 유입된 중금속 원소들은 이온세기가 강한 해수와 혼합되면서 입자물질에 흡착되어 저층퇴적물로 침강 제거된다. 그러므로 산업화에 의한 영향을 받는 공단주변 해역의 퇴적물은 퇴적물의 자연적인 함량보다 높은 농도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산업화된 해역에서 중금속의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울산 및 마산만 일원의 해저퇴적물을 1999년 9월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