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자원관리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stablishing of Mid-and Long-term Strategy by Analyzing the Storm and Flood Damage Management System (풍수해 관리 현황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전략 수립)

  • Ryu, Si saeng;Park, Ju-i;Park, Eun hee;Park,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2-362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재해 중에서도 태풍, 호우 등 풍수해의 발생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최근 곤파스(2010), 무이파(2011), 볼라벤(2012) 등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인명피해와 1조원 이상의 직접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자연재해 예측 및 피해저감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방재정책을 수립하고자, 안전관리 기본계획 및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 풍수해 관리를 위한 관련 정책들을 정비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법률구조상 효율적인 재난관리정책을 뒷받침할 법적 근거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풍수해 관리를 위하여 재난관리단계를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구분하고 관리 현황 분석을 진행하여 풍수해관리 중장기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풍수해 관련 법령 및 법 제도 체계를 검토하였고, 루사(2002)와 볼라벤의 피해사례 분석을 통해 풍수해 관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행 방재정책은 사후복구위주의 중앙정부 중심 체계이며, 피해규모가 대형화되고 복합재난이 발생하는 등 새로운 재해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풍수해 관리에 있어 (1)관련법 규정의 미흡, (2)재해정보의 부족 및 정보관리의 미흡, (3)대응체계의 복잡성, (4)방재산업에 대한 전략적 과학적 투자 미흡 등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풍수해관리 중장기 전략은 첫째, 법 제도 개선을 통한 풍수해 관리수준 고도화, 둘째, 재해연보 개선을 통한 풍수해정보관리 고도화, 셋째,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을 활용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체계 구축, 넷째, 풍수해 저감 핵심기술 확보와 국내 방재산업 활성화 체계 구축으로 제시하였다.

  • PDF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 김영혜;류동기;장대수;김종빈;김성태;김영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3-365
    • /
    • 2003
  • 개조개(Saxidomu purpura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고 있으며, 연평균 생산량은 약 약 7,300들 정도가 어획되어지며, 경남 남해안 생산량이 전국 생산량의 약 7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종은 2001년부터 TAC 실시 대상 어종으로 선정되어 자원이 관리되어지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개조개 자원을 보다 더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 자원에 대한 자원생물학적 특성치인 자연사망계수, 어획사망계수, 생잔율, 어획개시연령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만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관리 발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Analysis of Resource Mobilization in Inundation Area through Past Disaster Events (과거 재난사례를 통한 침수지역 자원동원 현황 분석)

  • Ha Young Jang;Yon Soo Kim;Dae Won Jang;Duck Gi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4-404
    • /
    • 2023
  •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침수피해의 위험성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녹지공간의 감소, 도시의 난개발 등 물순환 체계의 왜곡에 따른 침수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침수 발생 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재난초기에 재난관리자원의 신속한 확보와 동원은 피해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하고, 자원의 부족이나 동원의 지연으로 초기 대응이 늦어질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기에 침수발생 특성에 따른 필요 자원의 비축 및 동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되는 비축량이 많기에 모든 재난관리자원을 보유하고,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침수피해재난을 중심으로 최적 자원 비축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자원 운영 및 관리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2001년~2020년) 동안 발생한 침수피해 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사례를 통해 재난발생 시 동원된 자원현황을 분석하였다. 재해연보, 관련 백서 및 보고서, 침수흔적도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지자체 침수피해 현황을 분류하고, 침수재난과 관련된 자원의 비축 및 운용 사례 분석을 통해 장비 28종, 자재 6종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침수재난 발생 시 지자체별 침수피해 규모와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atabase Design for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using a Drone (드론을 이용한 산림자원 정보관리를 위한 DB 설계)

  • Oh, Sun 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3
    • /
    • pp.251-256
    • /
    • 2019
  •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 interests concerned about the significance of nature and environment become major issue nowadays. Especially, threats for our health due to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ine dusts become serious problem with the fast industrialization of our society, and extra attention is focused on interests about conservation of nature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Precious forest resources, however, are not properly managed and destroyed vainly due to frequent fire, damage by storms and floods, and unplanned land development. So systematic and scientific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re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efficiently. Furthermore, implementation of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database that contains information of trees, Topography, ecosystem of the forest is urgently need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location based forest resources and Topography using forest images taken by a drone, that enables us to manage forest resources efficiently, make decision for logging, and construct a future tree-planting project easily.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Based on Natural Resources (자연자원에 기반한 지역유형분류와 발전방안)

  • Park, Jong-Jun;Yoon, Ki-Ran;Park, Chang-Su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2
    • /
    • pp.10-17
    • /
    • 2011
  • The paradigm of the use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s changing.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their con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m a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It leads to an idea of pursuing regional development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paper, natural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living species resources, ecosystem and landscape resources, and non-living resources. Th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27 detailed analysis indic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165 municipalities in Korea were defined as spatial analysis units. Finally, a spatial database of natural resources was built. To classify the regional types, we conducted factor analyses with a detailed index of natural resources and a cluster analysis with the factor value.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duced as follows: forest resources, landscape resources, coastal ecology resources, inland water resources, landform resources, and ecology visit resource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points of the factors drawn. The final classification consists of nine groups,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ach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suggest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site selection and objective-set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atural resources.

An Evaluation on Use Suitability of Recreation Resource in Natural Parks (자연공원 휴양자원의 이용적합성 평가)

  • 배민기;신원섭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3
    • /
    • pp.285-2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useful knowledge for recreation management in natural park(NP) by evaluating use suitability of recreation resource. We had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385 visitors at 6 of the 73 NP in Korea in 2001, based on stratified sampling method.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method. We found that 1) in bivariate analysis,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 suitability and all the recreation resources are fairly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r the degree of recreation resources, the higher the degree of use suitability. 2) in multivariate analysis, topography, social resource(SR), cultural resource(CR), landscape, smell, color and sound(SCS) have bee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one percent level. 3)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opography, SR, CR, landscape, SCS and use suitability is same. 4) in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use suitability of recreation resource, level of topography has been turned out to have about 1.05, 1.56, 2.16 and 2.70 ti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SCS, SR, landscape, topography, respectively This results will be used for a criterion for recreation resource evaluation and a settlement of management priority and increasing user's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