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의 모방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mimicry Architectur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자연모방 건축과 시대적 배경의 관계성 고찰)

  • Lee, Jungwon;Kim, Daeun;Byun, Nahyang;Kang, Junekyung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3
    • /
    • pp.1-17
    • /
    • 2016
  • Nature-mimetic architecture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in the West. There we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nature, the pursuit of nature-mimet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mimetic architecture. It can be inferred that it was influenced by various happenings in each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knowledge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mimetic architecture up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through the timeline of historical events. First, the study inquire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mimetic architecture by timeline. Seek the perception and attitude, characteristics of nature-mimetic architecture and the value of it through cases of Ancient Greek, Medieval, Renaissance, Early Modern and Modern. Secondly, understand the important historical issues that influenced nature-mimetic architecture such as view of nature, social aspect, religion and scientific technology. Finally,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mimetic architectur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A Study of Complexity in the Interior Space by Nigel Coats (Nigel Coats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복잡성에 관한 연구)

  • 문정묵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18
    • /
    • pp.110-116
    • /
    • 1999
  •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인간의 창조는 자연의 모방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이루어져 왔다. 신의 작품이 위대한 자연이라면, 인간의 작품은 극히 단순한 그것의 모방에 불과한 것인데, 인간은 인간의 제한된 두뇌 활동으로 이해하기가 불가능한 복잡한 자연을 인식하기 위하여 단순화(simplification)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기하학(geometry)은 극도로 발전하게 되며, 인간의 자연 인식을 위한 보편적인 수단으로 자리잡게 된다. 중요한 사실은 기하학이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에 의한 창조의 목표로서 위치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즉 기하학은 자연의 모방이전에 이미 인간의 상상력을 지배해왔고, 그것은 가장 보편적인 창조원리가 되어왔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 특히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그 복잡한 자연은 단순화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복잡한(complex) 상태로 인간에게 이해되어지기 시작했다. 그중 하나가 19세기에 시작된 복잡성(chaos)이론인데 실내공간의 디자인에 있어서도 이러한 자연의 복잡성(complexity)이 새로운 창조 원리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대표적인 실내 공간 다지이너로서 Nigel Coats를 꼽을 수 가 있는데 그의 무정부적인 (anarchism) 디자인 성향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있는 특징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추구한 복잡성(complexity)은 일본의 동경과 같은 고 밀도(high density)의 적극적 소비 도시(active consuming city)에서 발견되는 지극히 인간적인 도시생활을 만들기 위한 software의 제작이며, 이는 자연이라는 신의 창조물에 근접한 모방이 된다. 본 연구는 Nigel Coats의 작품에서 발견될 수 있는 이러한 무정부주의적 성향이 어떻게 자연의 본질적인 복잡한 (complex) 모습과 관련이 되는가를 통하여 현대 실내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이 이 시대의 과학적 발견에 따른 복잡성(complexity)과 유관함을 보여준다.

  • PDF

특집:자연모사 그린테크놀로지 - 생체모방 경량 소재 기술

  • Kim, Hyeong-Sun;Kim, Yeong-Hui;Kim, Do-Gyeong
    • 기계와재료
    • /
    • v.23 no.4
    • /
    • pp.36-44
    • /
    • 2011
  • 생체모방 경량 나노복합 에코소재기술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질의 구조를 모방하여 저온 저에너지 소모공정을 통하여 고경량 및 고강도를 갖는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친환경 신소재 기술이다. 고효율 저공해 성능에 초점을 맞추어 $CO_2$ 배출 및 지구온난화를 억제하고 웰빙사회에 적합한 차량을 개발하는 것이 현재 전세계 자동차회사들의 주된 관심사이다. 이러한 상황에 생체모방기술은 에너지 환경산업분야의 소재로 응용하는 원천기술로 기대된다. 이 생체모방기술은 자연 친화적 재료를 개발하여 하이브리드/전기 자동차의 내/외장재, 고효율 건축자재, 첨단 항공우주 신소재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최근에 보고된 생체모방 경량 나노 복합 에코소재 기술을 조사하였다.

  • PDF

Moving Control of Snake Robot Using PDA (PDA를 이용한 스네이크 로봇의 동작 제어)

  • 박광식;유영선;주영훈;두평수;박현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418-421
    • /
    • 2004
  • 생체 모방 공학이란 자연의 생명체가 보여 주는 행동이나 구조, 그들이 만들어 내는 물질등을 연구해 모방함으로써 인간 생활에 적용하려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방 공학에서 비롯되어 생물학적 뱀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자유로운 이동 모션이나 좁은 공간을 유연하게 통과하는 성질을 로봇에 응용한다. 연구 목표로서 먼저 뱀의 가장 큰 특징인 사인 파형의 이동모션 원리와 동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천 가능성을 검증한다 또한 자율 이동시 센서를 이용 장애물을 회피하며 PDA를 제어기로 사용하여 Snake Robot를 제어한다.

  • PDF

특집:자연모사 그린테크놀로지 - 홍합모사 표면개질 그린테크놀로지

  • Hong, Seon-Gi;Lee, Hae-Shin
    • 기계와재료
    • /
    • v.23 no.4
    • /
    • pp.46-58
    • /
    • 2011
  • 홍합은 수중 환경에서 다양한 표면에 강하게 붙어서 자라는 수중 생물이며, 이러한 홍합의 특이적인 접착능력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홍합의 접착력에 관여하는 화학적 작용기를 모방한 폴리도파민/폴리노르에피네프린 표면 개질 기술은 자연의 홍합이 가지는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수용액 상의 조건에서 표면의 성질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표면에 뛰어난 접착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자연 모방 표면 개질 기술은 다양한 생체/에너지 재료, 신소재 복합 재료 등의 개발에 응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생물학과 기계공학의 만남

  • Lee, Sang-Im;Choe, Hae-Cheon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4
    • /
    • pp.30-33
    • /
    • 2012
  • 자연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생체모방 연구가 기계공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보다 효율적으로 성공적인 생체모방 연구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여기에서는 효율적인 생체모방적 노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생물학과 기계공학의 만남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문화속의 과학 - 카멜레온 섬유의 등장

  • An, Yeong-Su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9 s.364
    • /
    • pp.21-21
    • /
    • 1999
  • 누에는 4천8백년이나 거슬러 올라간 옛날부터 뽕나무잎의 셀룰로오스를 소화하여 가느다란 명주실을 토해냈다. 유럽의 과학자들은 금세기 초 실크를 모방한 인조견사를 얻어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석탄ㆍ물과 공기로부터 나일론을 얻었다. 섬유의 발달은 자연모방으로부터 이루어져 최근에는 색깔이 때때로 변하는 카멜레온 섬유가 등장하여 패션소재로 인기를 끌고 있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lotus leaf effect using the scanning probe microscopes (나노 측정기를 이용한 연잎효과 규명)

  • Lee, Ju-Hee;Lee, Dong-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9
    • /
    • pp.5756-5762
    • /
    • 2015
  • This paper has studied the lotus effect of the biomimetic engineering that is inspired from the nature. The biomimetic engineering has been improved with the nanotechnology. This paper has observed the hydrophobic property of the surface of the lotus leaf by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tomic force microscope (AFM). The nano-scale of the hydrophobic lotus leaves are maximized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The general grass leaf has been compared with the lotus leaf through the SEM and AFM - in the viewpoint of the 2D and 3D morphology. Also, The pre-existing of the hydrophobic theory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for the lotus leaf.

A study on the cultural symbolic representation of animal imitation in Korean traditional dance (한국전통춤에서 동물모방의 문화기호학적 표상에 관한 연구)

  • Kim, Ji Won
    • 기호학연구
    • /
    • no.54
    • /
    • pp.37-63
    • /
    • 2018
  • In this study, we tried to represent representative animals in traditional dance and study about cultural symbolic representations that symbolize them, thus meaning Korean worship of animal worship and philosophy of life and discuss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art. This is to ask fundamental questions about Korean culture and art, and to express the cultural philosophical reason for the representation of animal imitation. Therefore, Korean animal imitation dance was able to get a glimpse of Koreans' recognition of artistic value which is reflected in dance beyond simple cultural cod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not only magic and sexual metaphors but also the adaptive attitude through natural friendly life and the ethical practice in reality were inspired by artistic aesth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