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의 권리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Liability of Artificial Person(Natural Persons) with a Disregard of the Corporate Fiction in ESG (ESG측면에서의 법인격 부인과 법인관계인(자연인)의 책임에 관한 연구)

  • Kim, Dong-han;Kwon, Yong-man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4 no.3
    • /
    • pp.141-150
    • /
    • 2021
  • Although management decisions centered on the board of directors and directors must be made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ESG management, the company's management is not obligated to make decisions considering ESG factors. A Korean corporation(company) is an established organization for commercial or other profit, and the purpose of treating a legal organization as a corporation is to easily handle the legal relationship of a group (corporate's property) and individual property of a group member, but legal person such as rights to "harm public rights" or "defend fraud". Criminal liability for illegal acts of a corporation, but the liability of a corporation (natural person) for illegal acts of a corporation is recognized within a limited range, but the criminal liability of a corporation (natural person) is limited. A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corporation is great, limiting the responsibility of a corporation-related person (natural person) to civil responsibility will halve its effectiveness if considering the impact on the corporation's national economy. Objective requirements such as the completeness of control, hybridization of property, infringement of creditors' rights, and small-capitalization, and the subjective intention of abusing the company system to avoid legal application to controlling shareholders should be denied. Despite the increasing influence on corporate society, such as large-scale projects and astronomical business profits, corporate officials (natural persons) are forced to be held liable for negligence and intentional liability within a limited range. In such cas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riminal responsibility separately from civil responsibility to legal persons (natural persons) in consideration of the maturity of capitalism in Korean society and the economic status of the world. In Korea, the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of corporate denial are strict, but the United States says that it is sufficient to have control or fraud. Therefore, it is not about civil responsibility, but about criminal responsibility of a legal person (natural person), so if fraud is recognized, it can strength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organization of Water Rights Data Based on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MIS)을 기초로 한 유역 수리권 자료 재구성)

  • Kim, Jung Ho;Kim, Ta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2-282
    • /
    • 2015
  • 도시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구증가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은 새로운 저수지 건설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개발이 불가능한 현 상황에서 더욱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한된 물 사용에 대한 효율적인 배분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물에 대한 권리, 즉 수리권(water rights)에 대한 자료 및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수리권에 대한 자료는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에서 특정년도에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에 대하여 정보가 권역, 시도 및 하천등급별로 구성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텍사스 수자원 관리 모델인 Water Availability Model(WAM) 시스템의 구성 요소 모델인 Water Rights Analysis Package (WRAP) 모델에 적용하기 위하여 권역별로 구성되어 있는 수리권 정보를 물 사용자의 지정학적 위치 및 점용년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한강유역의 수리권 정보를 중점으로 수행되었으며 재구성 수리권 정보는 자연 순위 (natural order) 및 우선 순위 (priority order) 수리권의 두가지 형태의 입력값으로 WRAP 모델에 활용되었다.

  • PDF

Rawls' Liberal Theory of Justice and Ecological Justice (롤즈의 자유주의적 정의론과 생태적 정의)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4
    • /
    • pp.476-496
    • /
    • 2005
  • This paper considers som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in application of Rawls' liberal theory of justice to conceptualiz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justice. It first reviews Rawls' liberal theory of justice, then examines how his theory of justice considers natural resources and can be applied to develop distributive theory of environmental justice, and finally explores what kinds of problems would be generated when Rawls' theory of justice is to be extended to animals and other natural components. In Rawls' theory of justice the status of natural resources is described as a objective condition for justice, but it is argued that natural resources should be seen as a substantial component of jus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t also can be stressed that his theory of justice does not secure a just result of resource distribution, even though it has a great significance for just procedure of distribution. Finally, it seems hardly possible to extend Rawls' theory of justice to animals and other natural components to develop a Rawlsian theory of ecological justice, because liberalism and Western tradition of science on the basis of which Rawls' theory of justice has developed presuppose an ontological dualism of human beings and other natural components, and hence cannot recognize the inherent value of nature.

  • PDF

The study of automatism in illustration -Focusing on the work of Joan Miro-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오토마티즘 기법 -호안미로의 작품을 중심으로-)

  • Kim, jeong-eun;Oh, chi-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3-145
    • /
    • 2010
  • 초현실주의 운동이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 끼친 영향은 미술사의 그 어떠한 운동보다 강하다. 일러스트레이션에 현대 사람들이 요구하는 풍부한 감성, 상상력, 표현의 목적에 잘 부합하는 이유에서이다. 오토마티즘은 외적인 자극과는 무관하게 이성의 통제가 없이 인간 내면의 목소리를 옮겨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렇게 표출된 선과 형태, 또는 말과 글은 자연히 인간의 무의식 세계를 반영하고 보는 사람에게 있어서 또 다른 나의 실존을 느끼게 한다. 오토마티즘은 무의식의 권리를 밝혀내고자 하는 초현실주의 회화의 가장 중요한 대명사이다. 초현실주의의 창의적 작품세계로 당대에 강렬한 영향을 미친 호안미로의 작품에 나타난 오토마티즘적 요소를 분석하고, 이 기법이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발견해 보고자 한다.

  • PDF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ater Security (지속가능개발과 물 안보)

  • Park, Jihy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6-76
    • /
    • 2016
  • 2015년은 국제사회 거버넌스 및 정책 패러다임에 있어 전환점(tipping point)을 맞는다. 2000년 국제사회가 인류의 빈곤 퇴치라는 삶에 가장 절대적인 개발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빈곤, 의료, 교육 등 사회 환경 현안에서 해결해야 할 단순명료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5년 9월 UN 지속가능 세계정상 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가 경제성장, 기후 변화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인간정주환경을 조성하자는데 합의를 마쳤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와 부속적으로 169개의 타겟이 설정되었으며, SDGs 안에서는 MDGs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권리 구현과 성평등, 여성과 어린이의 권리 신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예측이 불확실한 다양한 자연재난, 특히 물과 물 관련 재해가 빈곤 경감, 기후변화 대응, 인간정주의 모든 삶의 영역에 연계요소로 녹아 있다. 기후변화 적응과 물 안보, 특히 위기관리의 맥락이 내재되어 있는 2030년을 목표로 하는 국제사회의 Post-2015 개발의제에서 물 분야는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 분야로 부각이 되어 있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 SDG6을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Ensure availability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and sanitation for all)"으로 하고 수자원관리 및 물과 위생 분야의 중요성을 전세계가 공감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물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6번째 목표뿐만 아니라, 빈곤의 근절(SDG1), 기아근절과 지속가능한 농업의 증진(SDG2)을 비롯한 다양한 목표들에서 물 분야가 직접?간접적으로 연계 되어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심각해진 물관련 재해로부터 리질리언스 확보 등,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전반적인 기조에서 물안보 확보를 읽을 수 있다. 물 분야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을 위한 노력은 국제사회의 물 문제 해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동반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Expansion of Coffee Pla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 Case study of Dak Lak Province in Vietnam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재배지역의 확대와 토지소유관행의 제도화: 닥락성(省)을 사례로)

  • Kim, Doo-Chul;Truong, Quang Hoang;Joh, Young Ku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 /
    • pp.378-398
    • /
    • 2016
  •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along with the expansion of coffee plantation in Dak Lak Province, Vietnam. Vietnam is the second-largest coffee exporter in the world. Most of the coffee areas are concentrated in Dak Lak-a province of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ion. The expansion of coffee plantation in Dak Lak have brought a severe competition of land resources, and resulted in the transition of land ownership scheme from customary commons by ethnic minorities to those of exculsive private assets which is secured by the state.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in Dak Lak, however, was differently happened according to the geography from the center of state power as well as the value of land resourc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rgue that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in Dak Lak was a result of compromising between statemaking process in the frontiers and "everyday resistance" of ethnic minorities, comparing 3 geographically different ethnic minorities' communities.

  • PDF

Critical Analysi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nd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 Focusing on Eugen C. Hargrove's 'Weak Anthropocentrism' - (조경의 환경윤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도덕적 위치 - 유진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중심으로 -)

  • Oh, Chang-S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2
    • /
    • pp.105-113
    • /
    • 2015
  • The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pplies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secure an ecological status. However, environmental ethics that focus on nature conservation excludes landscape architecture as artifacts. In the process, it is hard to identify what landscape architecture insists on as the middle posi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Rather, landscape architecture pretends to be an 'agent of nature' and pushes the traditional moral values 'for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anthropocentrism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critical analysis. Hargrove's weak anthropocentrism' of several environmental ethics branches accepts natural aesthetics(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as an ethical virtue. But environmental ethics makes landscape architecture a critical target. For that reason, this study looked into critical contents and objects that in a position to moral, aesthetic and landscape architecture. Critical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nature is an absolute as an aesthetic and moral value, but landscape architecture is an imitation and takes a relaxed attitude about nature. Second, nature is full of aesthetic substance because it is self-creative, but landscape architecture is designed nature covered human flaws through imagination. Third, environmental management granting techniques in nature generate a moral nihilism. As an argument, environmental ethics overlooked the moral practi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beyond nature another moral aspect of creation and the imagination-and moral aspec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s 'care' because they rule out 'moral autonomy' and simplify what is considered 'good.' As a result, conservation cannot be the only virtue why the problem of nature in reality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The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ased on a 'good life' is more appropriate under anthropocentrism than as a middle position.

Collection of Location Data and Human Rights to Information projected onto the Apple Inc.'s Case (애플사(社)의 위치정보 수집과 정보인권)

  • LEE, Min-Yeo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9 no.1
    • /
    • pp.74-90
    • /
    • 2012
  • This thesis analyzes the Apple Inc.'s case from the viewpoint of the necessity for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privacy related to location data as for information society and ubiquitous community. Meanwhile, the regulatory conformity to equilibrium of contradictional value between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is debated from the fundamental right as for constitutional law concept to the commercial and technological structure in terms of economic and business point. Therefore, this pape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the legislative system should form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legal protection and lawful utilization to reappraise the present condition of legalization on personal data protection from guaranteeing rights and interests of information subject in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to information guarantee consequently.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revaluate the lawfulness of the fine on the violation of administrative duty levied by KCC(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 PDF

A Review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awa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Comservation and Ecology from Sandscape Architectural Point (조경적 측면에서의 환경보전 및 생태학 관련 국내, 외 법규에 관한 고찰)

  • 신익순;김용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18-36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ext relating to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among the text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collect the domestic laws(40 statutes, 1 guide, 1 leading case) and the foreign laws(1 constitution, 34 statutes, 2 ordinances, 3 leading cases). To make the text of the collected domestic and foreign law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ceptual principle, plan establishment and project operation, types, policy and allied projects, rights and duties, allowed and restricted a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dministration procedure and system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by items, it was considered to the mutual relation with lots of laws which are scattered with the various laws and studied to how to set the many foreign countries on their laws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from the other department and carry out the advanced environmental works.

  • PDF

Prediction of Variations for Instream Flow with Considerations of Water Rights (수리권을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변화 예측연구)

  • Kim, Se Min;Lee, Jin Gyu;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5-375
    • /
    • 2022
  • 수리권(水利權, Water Right)은 특정인이 하천의 물을 계속적,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권리로서, 국내에서는 민법 제231조 "공유하천의 연안에서 농, 공업을 경영하는 자는 이에 이용하기 위하여 타인의 용수를 방해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인수를 할 수 있다." 라는 규정을 통해 공유하천 용수권을 인정하면서, 동법 제234조 "전 3조의 규정은 다른 관습이 있으면 그 관습에 의한다." 라는 조항을 통해 관습에 의한 즉, 관행 수리권을 인정하고 있다. 또한, 하천법 제50조 "생활·공업·농업·환경개선·발전·주운(舟運) 등의 용도로 하천수를 사용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라는 규정을 통해 허가 수리권을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의 경우 수리권에 대하여 공용하천 용수권, 관행수리권 및 허가수리권이 혼재되어 있어 지역 간의 물 분쟁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수리권의 정립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지만, 제도적 연구와 더불어 이를 뒷받침 해줄 수문학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정 3단 TANK 모형을 적용하여 자연하천유량 산정하였고, 수리권 분석모형인 WRAP(Water Rights Analysis Package, WRAP)을 이용하여 수리권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섬진강댐의 방류조건 및 유역내 물 이용조건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하천유지유량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대표지점의 조절하천유량을 모의한 결과 시나리오3, 시나리오4, 시나리오5(비관개기기간 동안 용수 추가확보를 통한 증가방류)에서 하천유지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또한, 시나리오1, 시나리오2(유역내 저수지 방류량을 연중 일정량 공급)방안도 관개기와·비관개기 기간에 대표지점의 하천유지유량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대상기간의 대부분은 수리권 목표량을 만족하였지만, 갈수년에 해당하는 2017년의 경우에는 용수 확보량이 가장 많은 시나리오5를 적용한 경우에도 수리권 전환량 및 하천유지유량의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유역내 수리권 우선순위의 변경을 통한 유량의 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2017년을 대상년도로 모의해본 결과 연구대상지역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농업용보에서의 수리권을 후순위로 두었을 때, 대표지점에서 가장 많은 양의 유량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