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색상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Clustering Representative Color of Natural 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 for Optimal Camouflage Pattern Design (최적 위장무늬 디자인을 위한 한반도 자연환경 대표 색상 군집화 연구)

  • Chun, Sungkuk;Kim, Hoemin;Yoon, Seon Kyu;Yun, Jeongrok;Kim, Un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15-316
    • /
    • 2019
  • 전투복, 군용 천막 등에 사용되는 위장무늬는 군 작전 수행 시 주변 환경의 색상, 패턴을 모사하여 개인병사 및 무기체계의 위장 기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아군의 생명과 시설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최근 들어 군의 작전환경과 임무가 복잡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작전환경에 대한 데이터의 취득 및 정량적 분석을 통해 전장 환경에 최적화된 위장무늬 패턴 및 색상 추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자연환경 영상에 대한 자기 조직화 지도(SOM, Self-organizing Map) 기반의 한반도 자연환경 대표 색상 군집화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 내 위도를 고려한 장소에서 시간별, 계절별 자연환경 영상 수집을 진행하며, 수집된 영상 내 다수의 화소의 군집화를 위해 2차원 SOM을 활용한다. 영상 내 각 화소의 색상 값에 대한 SOM의 학습 시, RGB공간상의 색차/색상 인지 왜곡을 피하기 위하여 CIEDE2000 색차 식을 통해 군집화를 진행한다. 실험결과에서는 온라인상으로 수집한 여름 및 가을철 대표 색상 군집화 결과와, 현재까지 수집된 계절별 자연환경 사진 내 6억 7648개 화소에 대한 대표 색상 군집화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색상 분석, 보정을 이용한 안개 제거 알고리즘

  • Eom, Tae-Ha;Lee, Geun-Min;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9-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Intensity와 색상의 채도 분석을 통한 안개 강도 측정과 제거, 그리고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상에서 안개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을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안개 강도 맵을 만들어 안개의 양에 따라 안개를 제거한다. 안개로 인하여 악화된 영상의 색상은 HSI 공간에서 분석하여, 안개 강도에 따른 보정을 한다. 색상뿐만 아니라 전달량에 따른 Intensity를 보정하여 영상의 전체적인 밝기와 Contrast를 향상시킨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하여 색상의 편향성을 보정하여 가시성뿐만 아니라 영상 내에 색상이 자연스럽게 조화된 결과를 얻었다.

  • PDF

Three-Level Color Clustering Algorithm for Binarizing Scene Text Images (자연영상 텍스트 이진화를 위한 3단계 색상 군집화 알고리즘)

  • Kim Ji-Soo;Kim Soo-Hy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7 s.103
    • /
    • pp.737-744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ee-level color clustering algerian for the binarization of text regions extracted from natural scene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ree phases of color segmentation. First, the ordinary images in which the texts are well separated from the background, are binarized. Then, in the second phase, the input image is passed through a high pass filter to deal with those affected by natural or artificial light. Finally, the image Is passed through a low pass filter to deal with the texture in texts and/or background. W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more effective used gray-information binarization algorith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use a commercial OCR software ARMI 6.0 to observe the recognition accuracies on the binarized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word and character recognition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methods by over $35\%$.

색상 보정을 이용한 안개 제거 알고리즘

  • Eom, Tae-Ha;Lee, Geun-Min;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9-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한 안개 강도 측정과 제거, 그리고 HSI채널에서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상에서 안개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을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안개 강도 맵을 만들어 안개의 양에 따라 안개를 제거한다. 안개로 인하여 악화된 영상의 색상은 HSI 공간에서 분석하여, 안개 강도에 따른 보정을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하여 색상의 편향성을 보정하여 가시성뿐만 아니라 영상 내에 색상이 자연스럽게 조화된 결과를 얻었다.

  • PDF

Natural Image Segmentation Considering The Cyclic Property Of Hue Component (색상의 주기성을 고려한 자연영상 분할방법)

  • Nam, Hye-Young;Kim, Wook-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6
    • /
    • pp.16-2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block based image segmentation method using the cyclic properties of hue components in HSI color model. In proposed method we use center point instead of hue mean values as the hue representatives for regions in image segmentation considering hue cyclic properties and we also use directed distance for the hue difference among regions. Furthermore we devise the simple and effective method to get critical values through control parameter to reduce the complexity in the calculation of those in the conventional metho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the segmented regions in the proposed method is more natural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method especially in texture and red tone regions. In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in the in the evaluation of the human segmentation dataset presented Berkely Segmentation Database.

The Effect of the Climate Conditions on the Color Emotion SE Sensibility (풍토조건이 색채감성에 미치는 영향)

  • 김경인;김창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3-188
    • /
    • 1998
  •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사람들의 색채감성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색채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의 요소로는 생태조건, 기후조건, 자연광조건 등으로 나뉘며, 자연광조건은 자연광의 세기와 색온도, 생태조건은 토양과 식생, 기후조건은 온도와 습도, 쾌청지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인간이 지각하는 색의 색상·명도·채도와 관련을 갖고 있다. 각 지역의 풍토조건의 차이로 생기는 색채감성의 구조를 자연광의 세기에 따른 명도 변화, 대기중의 습도에 따른 채도변화, 온도차에 따른 색상변화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을 사례로 풍토색과 도시환경색채를 통해 색채감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그 주원인을 파악하여 지역별 색채 감성을 분석하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colorization of Reactive Dyes by Using Ozone Treatment (오존에 의한 반응성 염료의 탈색에 관한 연구)

  • Lee, Mun-Soo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9 no.1
    • /
    • pp.9-17
    • /
    • 1997
  • We studied on the decoloring efficiency of a dying and finishing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reactive dyes in the ozone treatment system. The wastewater containing reactive dyes improved the decolorization by the ozone oxid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cal conditions for ozonation, various operation factors such as initial wastewater concentrations, pH, temperature, and ozone dose were evaluated. Ozone utilization rate was improved in general with the increase of initial concentration of wastewater. And the decolorization speed or reactive dyes was more decreased in deep color of blue series than in light color such as yellow series. The colorization of wastewater containing reactive dyes was changed step through midle color depending upon increasing of ozone treated time. The efficiency of decolorization for wastewater was improved with the pH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of ozone treatment system decreased.

  • PDF

UV-Vis and ED-XRF Analyses of Natural Black Colored Pearls from Freshwater Cultured Shells (UV-Vis와 ED-XRF를 이용한 자연 색상의 담수 흑 양식진주 분석)

  • Kim, Hea-Yeon;Park, Jong-Wan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4 no.3
    • /
    • pp.243-251
    • /
    • 2008
  • Analyses of UV-Vis spectrum and reflectance are useful tools to identify pearls of which color was naturally made or chemically changed. Contents of some trace elements of pearls by using ED-XRF may give us the information that the pearls were originated from marine shells or freshwater shells, and may give us whether the pearls were chemically treated or not. Three types of chemically untreated pearls, freshwater cultured, Akoya cultured and Tahitian cultured, were treated with silver nitrate. UV-Vis absorbance spectrum of Ag was changed after treatment, and reflectance of pearls was decreased. Absorbance of natural black colored Tahitian cultured pearls at 400, 500 and 700 nm was observed. Natural black colored freshwater cultured pearls showed two characteristic absorption patterns in UV-Vis spectra at 380-400, 480-500 nm. Unlike naturally black colored Tahitian cultured pearls, the absorption spectrum at 700 nm could not be found from black freshwater cultured pearls. Manganese was not detected in the pearls from marine shells, and strontium content of the pearls from marine cultured shells was higher than that from freshwater cultured shells. According to ED-XRF analysis, Ag contents of silver nitrate treated pearls increased as more time passed, because silver ion invaded to nacre layer of the pearls. Since Ag content of the black pearls known as untreated ranged under 0.1%, analysis of Ag content may used to distinguish the black pearls are treated or not in marketplace.

  • PDF

Salient Region Detection by Distinctive Color Channel Selection (분별력 있는 색상 채널의 선택을 통한 두드러진 영역 검출)

  • Chae, Young-Soo;Kim, Hyun-Cheol;Kim, Whoi-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428-4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분별력 있는 색상 채널 선택을 통한 두드러진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우선 분별력 있는 색상 채널의 선택을 위해 입력영상을 10개의 색상 채널로 변경하고, 각 채널을 NxN 블록으로 나눈다. 그리고 각 채널에서 나누어진 N 블록을 외각 블록, 중앙 블록으로 선정하고 중앙-외각 블록간의 대비와 외각 블록의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 채널 경쟁을 한다. 색상 채널 경쟁을 통해 선별된 K개의 색상 채널을 이용하여 특징맵을 만들고 이를 조합하여 두드러진 맵을 얻는다. 실험에서는 제안된 방법을 총 1000장의 자연 영상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83%의 평균 정확도를 보임으로써 기존 방법들보다 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 PDF

Color reproduction algorithm based on constant Munsell hue (Munsell 계의 등색상을 고려한 색재현 알고리듬)

  • 김희철;김성수;이동하;김은수;송규익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2347-23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재현에 있어서 인간의 시각 특성에 의해 얻어진 Munsell 계의 등색상 및 등채도 궤적을 고려한 색 재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TV 신호 상에서 등위상의 색에 대한 궤적과 인간의 시각 특성에 의해 얻어진 Munsell 계의 등색상 궤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표준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영역이 표준 디스플레이의 것과 다를 때도 W표준 신호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색 좌표를 Munsell 계의 등색상 궤적상에서 구하여 이 색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표준 디스플레이와 다른 색재현 영역을 가지는 일반 디스플레이에서도 표준의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는 등색상 재현이 가능하다. 색 재현 성능을 평가를 위해 Macbeth colorchecker colors의 18 종류의 컬러를 사용한 결과. 색 재현 오차 ΔE'/sub uv/가 기존 방법의 오차보다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평가에서도 보다 자연스런 색 재현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