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변이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tudies on the Ploidy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수성에 관한 연구)

  • 조상호;심상국;정동효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14 no.4
    • /
    • pp.299-304
    • /
    • 1986
  • The cell volume, cell surface, cell concentration, dry cell weight, frequence of respiratory deficient mutation, resistance against ultraviolet irradiation, fermentation power, DNA contents of haploid diploid, triploid and tetraploid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were investigated. Respiratory deficient mutants by spontaneous mutation were absolved more frequently in the haploid than in the diploid, triploid and tetraploid. And cell volume, cell surface, cell concentration, dry cell weight, resistance against ultraviolet irradiation, fermentation power, and DNA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ploidy increased.

  • PDF

Life Table Statistics of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L.)(Coleoptera: Curculionidae) on the Degree-Day Scale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한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

  • 류문일;조기종;유춘권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7 no.1
    • /
    • pp.14-20
    • /
    • 1988
  •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을 정온 조건과 실온 조건에서 산출하였다. 온일도를 단위로 하였을 때 $20^{\circ}$~ $30^{\circ}$ 범위내 정온 조건에서의 통계량은 실온 조건에서의 통계량과 유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온도간의 변이는 실온에서의 간 변이와 유사하였다. 이 결과는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할 때 쌀바구미의 생화사가 표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쌀바구미는 $368pm$41.2DD에서 산란을 시작하여 $1391.0\pm$38.7DD에서 멈추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외적 자연회가졸 밀도 음가 기간과 평균세대 기간은 각각$ 0.0052\pm$0.0006/DD, $134.7\pm$15.0 DD 그리고 $715.2\pm$53.6 DD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Intraspecific Variation of Glycine max According to the Ratio of Mannose to Galactose in the Seeds (콩(Glycine max)의 종자 함유 Mannose와 Galactose 함량비에 따른 종내변이)

  • Kim, Cha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3
    • /
    • pp.295-301
    • /
    • 201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variation of Glycine max distributed in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 19 local strains(Goseng, Pyeongchang, Ganghwa, Pocheon, Geumsan, Seocheon, Jincheon, Danyang, Tongyeong, Sancheong, Gumneung, Wolseong, Woolneung, Wando, Naju, Gochang, Jangsu, Jeju, Bukjeju), which located from $33^{\circ}15'N$ to $38^{\circ}11'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latitudes and geographical distances. The seeds of these strains were collected and their contents of mannose and galactose were investigated. Mannose contents in the seeds were variable in the range between the highest 12.207mg/g(Gochang) and the lowest 6.648mg/g(Geumsan). The contents of galactose were represented remarkable differences from 9.967mg/g(Danyang) to 16.949mg/g(Bukjeju) also. The local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4 variation types such as the inland type I(Wolseong, Jangsu, Danyang), the coastal type I(Gochang, Naju, Jeju, Goseng, Woolneung, Bukjeju, Ganghwa, Seocheon, Tongyeong), the inland type II(Geumsan, Pocheon, Pyeongchang) and the coastal type II(Wando, Jincheon) and 2 strange strains(Gumneung, Sancheong)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climatic type and the ratio of mannose/galactose, which indicate the hardness of seeds in Leguminosae, ranged from 0.63 to 0.78. The variation types are very significant genecologically as an evidence for microevolution related to speciation in cultivated plants.

Analysis of Korean Spontaneous Speech Characteristics for Spoken Dialogue Recognition (대화체 연속음성 인식을 위한 한국어 대화음성 특성 분석)

  • 박영희;정민화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3
    • /
    • pp.330-338
    • /
    • 2002
  • Spontaneous speech is ungrammatical as well as serious phonological variations, which make recognition extremely difficult, compared with read speech. In this paper,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we analyze the transcriptions of the real conversational speech, and then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speech in the speech recognition aspect. Reflecting these features, we obtain the baseline system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The classification consists of long duration of silence, disfluencies and phonological variations; each of them is classified with similar features. To deal with these characteristics, first, we update silence model and append a filled pause model, a garbage model; second, we append multiple phonetic transcriptions to lexicon for most frequent phonological variations. In our experiments, our baseline morpheme error rate (WER) is 31.65%; we obtain MER reductions such as 2.08% for silence and garbage model, 0.73% for filled pause model, and 0.73% for phonological variations. Finally, we obtain 27.92% MER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which will be used as a baseline for further study.

Intraspecific Variations of Rubus oldhami (덩굴딸기(Rubus oldhami)의 종내변이)

  • Kim Mi-Na;Jang Su-Kil;Yoo Ki-Ou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8 no.2
    • /
    • pp.260-269
    • /
    • 2005
  • Taxonomic studies on morphologic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lynological, RAPD and PCR-RELP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traspecific relationships of Rubus oldhami.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based on the flower characters such as petal length and number were used in this study. Among the 14 morphological characters, perianth length, calyx lobe length, apical leaflet shape and leaflet length were used to distinguish for each type. The pollen characters such as shape, aperture number, surface sculpture were showed very similar among three types. Eight primers out of 20 arbitrary primers were screened for three types, and were revealed 33 ($60\%$) polymorphic bands. The phonogram by RAPD data showed incongruent with morphological analysis. Even though ten restriction endonucleases produced 20 restriction sites, polymorphic bands were not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divided well by morphological characters, but pollen and DNA data were not supported. Therefore, type 1 and 2 which different from type 3 by flower characters considered as a temporary hybrid or ecotype because of their similar habitats.

Experimental Study on Accelerating Phase Change Heat Transfer (상변화 물질의 상변이 촉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박설현;오율권;차경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6 no.1
    • /
    • pp.23-29
    • /
    • 2002
  • Solid-liquid phase change (i.e. melting or solidification) occurs in a number of situations of practical interest. Some common examples include the melting of edible oil, metallurgical process such as casting and welding, and materials science applications such as crystal growth. Therefore, due to the practical importance of the subject, there have been a large number o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f problems involving phase change during the past few decades. Also, this study presented the effective way to enhance phase change heat transfer.

Allophonic Information Necessary for Speech Technology (음성공학을 위한 변이음 정보)

  • Lee, Ho-Young;Zhi, Min-Je;Kim, Young-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131-139
    • /
    • 1993
  • 하나의 음소는 보통 음성환경에 따라 여러 변이음으로 실현된다. 음성합성기로 한국어의 문장을 자연스럽게 합성해 내려고 할 때나 음성인식기가 한국어의 문장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개발하고자 할 때 변이음에 관한 정보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음성공학에 필요한 변이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음성공학에 필요한 한국어의 주오 변이음 규칙들을 간단히 논의하고 몇몇 중요한 변이음들의 음향적 특징을 논의한다.

  • PDF

랫트를 이용한 최기형시험에 있어서 효율적인 독성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정문구;한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68-168
    • /
    • 1993
  • 신의약품의 생식독성 평가를 위해서는 타독성시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의 범위를 확립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은 정상치(control values), 자연발생소견 (spontaneous findings)등과 비교함으로서 가능하다. SPF 동물을 이용한 독성실험은 선진국에 비해 역사가 짧을 뿐만 아니라 아직 풍부한 기초자료가 확립되지 않아 외국의 자료들을 인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랫트를 이용한 최기형 시험결과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 생식독성 검사항목의 기초 데이타를 확립하였다. 이를 위해 화학연구소 실험동물육종실에서 입수한 SPF: Sprague- Dawley 랫트를 이용해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실시한 생식독성 시험의 대조준 데이타 (체중, 사료소비량, 장기중량, 제왕절개성적,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검사성적, 자연분만군 시험성적 등)를 분석하였다. 요늑의 발현율, 견인력 시험결과 및 피모발생 일평이 외국의 타 연구기판 데이타와 다소 차이를 나타냈을 뿐 기타 항목들은 거의 일치하는 정상치를 보였다. 아울러 기형, 변이, 골화지연 등으로 구분되는 골격소견의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랫트 골격소견 평가기준을 정했고 최기형 시험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의 통계처리 방법을 보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prague-Dawley 계통 랫트외 생물학적 정외는 물론 효율적인 생식독성 평가를 위한 소중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OMDP based Dialogue Management System for Train Reservation Service (열차 예약을 위한 POMDP 기반의 대화 관리 시스템)

  • Sung, Joo Won;Eun, Jihyun;Kim, Hyunjeong;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167-1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열차 예약 영역에 통계적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오류에 강인한 서비스 제공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훈련용 코퍼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시스템 행동 유형, 상태 변이 확률을 추출하여 정책을 도출하고, 성능분석용 코퍼스 기반 사용자 모델로 그 성능을 실험하였다. 방대한 시나리오의 반영을 위해 대량의 코퍼스 수집이 필요한 예제 기반 대화 정책, 혹은 인식기에 의한 오류나 노이즈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현실의 불확실성을 자연스럽게 반영하지 못하는 MDP 대화 정책에 비해 POMDP 정책은 효율적이고 빠른 훈련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나간다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강인한 대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istribution of Strain Types and Function of P Transposable Element in Natural Popul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초파리 자연집단의 P 전이인자에 대한 계통형 분포와 기능에 관한 연구)

  • 김지식;권도형추종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177-185
    • /
    • 1995
  • 두 지역에서 채집한 초파리 자연집단에 대하여 난소발생이상 실험에 의한 P 인자 활성과 세포질형을 분석하여 P 전이인자의 계통형을 조사하였다 전체 238 isofemale line을 조사한 결과 strong P와 true M은 존재하지 않았고, 0(weak P)와 M'(pseudo M) strain이 전체의 98.74%를 차지하여 가장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P$\pi$25.1 probe를 이용한 in situ hybridization을 행하여 P 전이인자의 copy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42.12개로 나타났으며, 0와 M'의 계통형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염색체 firm당 COPy수는 X염색체가 상염색체의 좌 우 각 arm보다 다소 높게 분포하고 있었고. 염색체상 P 전이인자의 삽입부위에 대한 특이적 좌위는 존재하지 않았다 P 전이인자의 분자구조에 대한 변이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행한 결과 2.9kb의 완전한 크기의 분자를 포함하여 여러종류의 단편들이 확인되었다 조사한 모든 isofemale line에서 KP(1. 15kb)인자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들 KP인자가 P-M System의 난소발생이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억제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