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배출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study on the emission rates of natural VOC from pine trees in summer (여름철 소나무로부터 배출되는 자연 VOC(NVOC)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조천;홍지형;장영기;선우영;주명칠;조규탁;한진석;강창희;김득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93-94
    • /
    • 2002
  • 식생은 자연 VOC의 배출원으로써 대부분을 차지한다. 미국의 경우 자연 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1.5배에서 많게는 10배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자연적 VOC에 대한 직접적 배출량 산정은 한번도 이루어진 적이 없다.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약 65%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NVOC가 인위적인 VOC의 양을 훨씬 초과 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중략)

  • PDF

Spontaneous Passage of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in Children (소아에서 위장관 이물의 자연 배출에 대한 경험적 고찰)

  • Lee, Ji-Hyuk;Nam, Suk-Hyun;Lee, Jee-Hyun;Lee, Hae-Jeong;Choe, Yon-H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10 no.2
    • /
    • pp.157-165
    • /
    • 2007
  • Purpose: Ingested foreign bodies are removed by endoscopy, surgery or spontaneous passage, however, the decision of therapeutic modality chosen depends on the type, size, shape and location of the ingested foreign bod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ate and characteristics of foreign bodies that were passed spontaneously out of the intestine.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 patients who visited Samsung Medical Center for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between January 2001 to July 200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lated data was collet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proven foreign bodies retrospectively, as well as by conducting phone interviews with the parents of the patients. All cas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nature and location of the ingested foreign body, as well as whether it was treated by spontaneous passage. Results: Of the 160 cases involving the passage of foreign bodies in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95 boys and 65 girls), endoscopic removals, operative removals or spontaneous passages were conducted in 80, 3 and 77 patients, respectively. The spontaneous passage rates for each type of object were as follows; coins (36.5%), bead and baduk stones (83.3%), long and sharp materials (52.6%), magnets (69.2%) and disc batteries (50.0%). In cases involving round-shaped foreign bodies, such as coins, the diverse spontaneous passage rates were more diverse. When foreign bodies were stuck below esophagus, similar sized coins and baduk stones had spontaneous passage rates greater than 80% regardless of age. Conclusion: It is better for clinicians to wait for spontaneous passage to occur in cases involving coins or round-shaped foreign bodies that are located at or below the stomach.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VOC emissions from pine trees in spring (봄철 소나무로부터 배출되는 자연 VOC(NVOC)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조천;임준호;홍지형;장영기;주명칠;조규탁;강창희;선우영;전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7-228
    • /
    • 2002
  • 식생은 자연 VOC(NVOC)의 배출원으로써 상당부분(>90%)을 차지한다. 미국의 경우에는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1.5배-5배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국토의 약 65%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 VOC가 인위적인 VOC의 양을 훨씬 초과 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배출량 산정에 사용된 NVOC 배출계수는 주로 외국의 자료에 의존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신뢰성에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VOC emissions from Oak trees in spring and summer (봄, 여름철 참나무로부터 배출되는 자연 VOC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조천;임수길;홍지형;장영기;주명칠;강창희;조규탁;한진석;김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9-230
    • /
    • 2002
  • 식생은 자연 VOC(NVOC)의 가장 주요한 배출원이며, 대기중으로 유입되는 반응성이 강한 탄소의 주요한 배출원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7배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 국토의 2/3이상이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NVOC가 인위적인 VOC의 양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중략)

  • PDF

충남지역 폐기물문제 현황과 개선방안

  • Lee, Jin;Song, Seok-Du;Choe, Jin-Ha;Park,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16
    • /
    • 2001
  • 인간은 생활을 영유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쓰레기를 배출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60년대까지는 주요산업이 1차 산업에 의존하고 있어 쓰레기 배출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었습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에는 우리들의 일상 생활용품들이 대부분 인위적으로 개발한 새로운 물질이 아닌 자연에서 그대로 구했기 때문에 배출쓰레기를 일정장소에 적당히 처리하여도 자연의 물질순환계에 의하여 원상태로 돌아갔으며 또한 물질이 귀한 시절이어서 대부분 재사용, 재활용되어 특별히 버릴 것이 없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70년대 이후 경제발전에 따라 고도산업 사회에 접어들고 인구 도시 집중화 및 자연상태에서 좀처럼 분해되지 않는 새로운 화학물질 소재들이 다량 생산되고 생활수중 향상 등에 의하여 많은 양의 물질이 소모되면서 배출되는 쓰레기도 인간에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됨은 물론 배출향도 엄청나게 증가하여 처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이에 우리도의 당면한 생활쓰레기 처리실태 및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VOC emissions from Oak trees in species (참나무 수종별 자연 VOC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조천;김기준;임수길;임용재;홍지형;강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87-288
    • /
    • 2003
  • 식물은 자연 VOC(NVOC)의 가장 주요한 배출원이며, 대기중으로 유입되는 반응성이 강한 탄화수소의 배출원이다. 이러한 NVOC는 다소 늦게 알려진바 1970년대부터 그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Dimitriades, 1981). 전 세계적으로는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7배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전 국토의 65%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국적인 규모로 볼때 NVOC의 양이 인위적인 VOC의 양을 휠씬 초과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NVOC에 대한 정량적인 배출량 산출이 거의 없어 배출량 산정에 어려움이 많고, 외국 자료를 인용한 배출량 산출로 인해 자료의 신뢰성에도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중략)

  • PDF

Study on the estimation of NVOC emission (자연 VOC 배출량 산정에 대한 연구)

  • 김조천;홍지형;장영기;주명칠;전의찬;조규탁;한진석;강창희;김득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60-361
    • /
    • 2001
  • VOCs 배출원은 크게 인위적인 배출원과 자연적인 배출원으로 나눌 수 있다. 식물은 자연 발생적 VOCs(NVOCs)의 가장 주요한 배출원이며,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반응성이 강한 탄소의 주요한 배출원이다. 이소프린, terpene, 알콜, 카르보닐화합물, 에스테르 등은 식물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탄화수소화합물들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에어로졸의 형성 등 전지구적 대기화학반응, 광역적 광화학산화제 (특히 오존)의 형성, 탄소순환의 수지균형 비도시지역의 산성침적에 기여하는 유기산의 생성 등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noterprene emissions from Coniferous trees (침엽수로부터 배출되는 Monoterprene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조천;임준호;홍지형;선우영;강창희;신원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3-54
    • /
    • 2003
  • 식생은 자연 VOC(NVOC)의 가장 주요한 배출원이며, 대기중으로 유입되는 반응성이 강한 탄화수소의 주요한 배출원이다. 이러한 NVOC의 연구가 외국의 경우 상당 부분 이루어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VOC의 약 7배정도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2/3이상이 삼림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NVOC에 대한 직접적인 배출량 산정은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우리나라의 배출량 산정에 사용된 NVOC 배출계수는 주로 외국의 자료에만 의존하여 사용되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VOC Emissions from Pine Trees in Season (계절별 소나무로부터 배출되는 자연 VOC(NVOC)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조천;임준호;홍지형;전의찬;주명칠;조규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93-94
    • /
    • 2003
  •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위해한 영향을 준다는 보건학적인 측면과 광화학스모그 생성에 관여한다는 이유 등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있다. 식생은 자연 VOC(NVOC)의 가장 주요한 배출원이며, 대기중으로 유입되는 반응성이 강한 탄소의 주요한 배출원이며, 전 세계적으로는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7배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 국토의 2/3이상이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NVOC가 인위적인 VOC의 양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중략)

  • PDF

A comparison study on Isoprene emission rates from various Oak trees (참나무 수종별 Isoprene 배출속도 비교)

  • 김조천;임용재;선우영;김기준;홍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94-95
    • /
    • 2003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생성되고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들의 대기화학적 역할과 그 중요성은 최근 많은 나라에서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산림은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자연 VOC(NVOC)의 주요 배출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림과 농경지가 각각 전국토의 65%, 20%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산림이 NVOC의 주요 배출원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반응성이 강한 탄화수소의 배출원이란 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전 세계적으로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7배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