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물

Search Result 2,5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쟁점으로 읽는 '97년의 지성사-자연과학

  • Lee, Ho-Ye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6
    • /
    • pp.12-12
    • /
    • 1997
  • 최근의 자연과학 책들은 몇가지 특징을 보인다. 우선 양적인 팽창과 내용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또 국내 저술이 늘고 있는 가운데 정보과학.환경문제에 관한 책에도 관심이 높았다. 학제간 연구의 결과물도 여러 분야의 학자들에게 의미있는 일이었다.

  • PDF

Neoliberalizing Water: Commodification Debate and their Making in Korea (물의 신자유주의화 - 상품화 논쟁과 한국에서의 발전 -)

  • Kwon, Sang-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3
    • /
    • pp.358-375
    • /
    • 2012
  • Neoliberalizing nature spreads widely across diverse fields and areas. Commodifying water is the most frequent case conflicting with the stance, water as commons. This paper reviews the commodity versus commons debate in other countries leading to the importance of wider perspective considering regional contexts, and then examines the case of Jeju with that regard entirely depending freshwater on underground acquifer. In Jeju, the sale of bottled water by private corporation has been in confrontation with the declaration of water as commons by Jeju government. But, the commodity versus commons conflict over water hinders more important concerns such as the abundant use by tourism related hotels and golf courses, the free largest agricultural use, and the production and sale of bottled water by Jeju government itself. The real focus of concern should be given to the constraints on increasing water rate for tourism businesses, charging fees on agriculture, and the local development imperatives. The dual stance of Jeju government in promoting water as commodity as well as promulgating water as commons seems to be a case adding diversity to the geography of neoliberalizing nature.

  • PDF

An Energy-Dissipation-Ratio 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에너지소산률을 이용한 구조물의 건전도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 Heo, Gwang-Hee;Shin, Heung-Chul;Shin,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8 no.1
    • /
    • pp.165-174
    • /
    • 2004
  • This research develops a technique which uses energy dissipation ratio in order to monitor the structural health on real time basis. For real-time monitoring, we employ the NExT and the ERA which enable us to obtain real-time data. Energy dissipation ratio is calculated from those data only with the damping and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and from the calculated values we develop an algorithm (Energy dissipation method) which decides the damage degree of structure. The Energy dissip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proved to be valid by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like the eigenparameter method and the MAC. Especially this method enables us to save measuring time and data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real-time monitoring, and its use of the ambient vibration also makes it easy to monitor the whole structure and its damage points.

Natural Hazard Research in Geography (지리학 측면에서의 자연재해연구)

  • 김욱중
    • Water for future
    • /
    • v.22 no.4
    • /
    • pp.415-415
    • /
    • 1989
  • 자연재해연구는 인간.자연환경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금세기초 환경결정론, 환경가능주의, 그리고 인지에 의한 행동과학주의로 연구 Paradigm이 변화.발전되어 오며서 지리학에서도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의 바탕위에 인간-자연환경 관계를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1920년대 초 Barrow가 인간생태학 개념을 발표, 1950, 1960년대 이에 영향받은 White, Kate와 Burton 같은 미국의 자연재해지리학자들은 미국에서 홍수재해문제를 인간적응, 특히 "인식"의 역할에 중점을 두어 재해지역에서 자원이용과 이의 관리문제를 연구하였다. 1970년대 들어오면서 재해의 양상, 적응방법등이 연구되고, 또한 적응의 여러 비교연구가 있었으며, 사회성과 관련 사회학적 연구 접근과 다양한 레벨의 케이스 Study 또한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자연재해연구는 일반재해연구로 발전하여 핵반응, 각종산업.교통재해,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문제, 각종 소음공해, 폭발물 사고 등 참으로 여러 종류의 사회문제가 재해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근래에는 약물중독, 성폭행, 그리고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정신질환까지 일종의 재해문제로 다루어 지리학내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와같이 연구의 많은 변환.발전과 함께 처음 Academic한 연구로 시작된 재해문제 연구가 이에 관심을 같는 여러분야 즉, 경제.사회, 심리학자, 토지이용개발자, 보험, 은행, 부동산업자 재해와 관련있는 민간단체, 정부기관, 정책실행기관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가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자연재해 감소 10개년 계획"이라는 Program을 미국이 주동이 되어 국제적인 기구로 만들어 관심있는 여러국가의 과학자, 재해연구가, Engineer, 정부관계자들이 참여 서로 정보와 지식의 교환, 세계의 개발.재개발에 대한 계획, 재해감소의 교육훈련등 다채로운 Project을 가지고 세계 자연재해 감소를 위하여 공동연구의 노력을 하려는 움직임이다. 세계의 권위있는 재해통계에 의하면 한국이 매년 자연재해로 인하여 100만명당 1,000명이 희생되는 나라로 방글라대시, 이란, 중남미와 페루, 과태말라, 동남아시아의 뉴기니와 나란히 중진개발도상국으로 몇안되는 나라의 하나로 들어있는 것을 볼 때 유감이 아닐수 없다. 우리나라는 하루빨리 이러한 자연재해로부터 아까운 생명과 재산을 잃어버리고 있는 고통과 문제를 해결하려는 민간.정부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우선 기본적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제도적 장치와 분위기가 아쉽다고 않을 수 없다.와 분위기가 아쉽다고 않을 수 없다.

  • PDF

Antioxidant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quisetum hyemale Extract (속새(Equisetum hyemale) 추출물의 항산화 및 Elastase 저해 효과)

  • Song, Jin Hwa;Song, Hyun Sook;Lee, Geo Lyong
    • Journal of Naturopathy
    • /
    • v.10 no.2
    • /
    • pp.86-92
    • /
    • 2021
  • Background: The presence of antioxidants was not confirmed in the medicinal plant Equisetum hyamale grass. Purpose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nd elastase inhibition effects of extracts of E. hyemale. Methods: Antioxidant functions of E. hyemale stems and roots were measured and extracted with hot water (HW) and ethyl alcohol (70EOH, 100EOH). Results: The extraction yield of stems was higher in HW extraction than in ethyl alcohol extraction. The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oot extract than in the stem. Total flavonoid content of 70EOH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oot extract than in stem. The elastase inhibitory function of the extract was 46% in the root and 49% in the stem at 100 ppm of the extract. The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function was in the order of HW<70EOH<100E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