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물

검색결과 2,527건 처리시간 0.032초

유아를 위한 자연물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Developing the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Natural Objects)

  • 손혜경;손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08-12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우위한 자연물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항목을 개발하고 적합성을 검증하데 있다. 이를 위해 자연물 미술활동에 대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과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자연물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에게 12주 동안 총 24회 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를 위한 자연물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를 위한 자연물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자연물을 활용한 미술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로서 제공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고화 피막층 형성이 있는 노심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

  • 박래준;김상백;김희동;최상민;조재선;정창현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683-688
    • /
    • 1997
  •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시 형성될수 있는 노심용융물의 고화피막층을 동반하는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절달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정밀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대상 실험은 종횡비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에 대하여 용융물을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로서 냉각하는 조건에서 경계조건에 따른 용융물의 피막층 두께를 측정하였고, 피막층 주변의 열전달량을 측정ㆍ분석한 것이다. 실험결과를 정밀 분석한 결과, 용융물의 고화 피막층 형성이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양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종횡비가 큰 경우는 냉각 조건도 자연대류 열전달 양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화층 두께 증가에 따른 종횡비 감소는 자연대류 열전달양 감소율을 작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막층 형성이 있는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 해석 결과, 실험에서의 열손실 때문에 용융물의 고화 피막층 두께가 실험결과보다 다소 작게 나타났으며, 자연대류 열전달 흐름이 피막층 형성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연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기법 (Th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s based on natural objects in Information Design)

  • 정현정;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3권2호
    • /
    • pp.20-28
    • /
    • 2014
  • 정보디자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정보의 생성, 전달, 처리하는 문제는 인류의 발전 과정과 함께 진화해오고 있다 현대에는 빅데이터 등과 같이 방대하고 복잡하며 인위적인 형태의 정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같은 정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지각하고 인지 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자연물을 모티브로 한 시각화 기법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로부터 자연은 인간의 많은 조형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자연물은 시각적으로 최적화된 형상을 지니며 제품디자인, 건축디자인 등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분야에서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감과 감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자연 물을 정보디자인에서 활용하기 위한 원리로서 '자연물의 구조적 원리'와 '자연물에 대한 관찰 및 분석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2가지 원리를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재현요소'와 연결시켜서 자연 물을 모티브로 한 정보디자인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정적제빙형인 관외 제빙기내에서의 물의 자연대류현상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about Natural Convection of Water in the Ice-on-coil as a Static Ice Making Type)

  • 유직수;김명준;김성영;장현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323
    • /
    • 2011
  • 본 연구는 냉각점이 중간에 위치하는 정적제빙형인 관외 제빙기내에서의 물의 자연대류 현상에 대해 수치적으로 다루고 있다. 자연대류현상과 열전도에 의해 조절되는 물에 이동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해 2차원적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물의 온도가 4[$^{\circ}C$]에서 밀도역전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수치해석의 결과와 비교한다. 자연대류의 변화에 따른 결과는 수치해석을 통해 등온선과 유선형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물의 온도와 밀도의 관계에 따라 자연대류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수치해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탄천을 통해 살펴본 도시유역의 물순환 (Water cycle of an urbanized catchment, taking the case of Tancheon)

  • 유상현;백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3-123
    • /
    • 2022
  • 자연유역 내에 도시가 자리잡고 발달해 나가면 유역의 특성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도시유역은 자연유역과는 상이한 수문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 동안 도시수문학의 주된 관심사는 도심지 홍수예방, 상수관망 등에 주어졌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시유역의 물순환에 대한 정량화는 별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급격하게 도시화가 이루어진 탄천 유역에 대해 도시유역의 장기적인 물순환에 대해 정량화하고 자연유역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 상수공급량, 하수처리량 등의 가용한 자료를 동원하여 탄천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탄천유역은 유역 외부에서 상수를 공급받고 사용된 용수는 하수처리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출 특성이 자연유역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PDF

유역통합관리의 구현을 위한 과제

  • 박두호;윤석영
    • 물과 미래
    • /
    • 제37권3호
    • /
    • pp.16-20
    • /
    • 2004
  •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대부분의 문제들은 시대적인 산물일 것이다. 인간들은 경제행위를 하기위해 주변의 자연과 환경을 그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인 발전단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시켜 왔다. 처음에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간은 강이나 하천 또는 해안가와 같이 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정주공간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인간은 그 같은 자연자원의 단순한 사용자로부터 그 자연자원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키는 지배자가 되었다.(중략)

  • PDF

지도.독도요령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14호
    • /
    • pp.24-29
    • /
    • 1980
  • 지도는 지구표면의 입체적인 지형을 일부 또는 전부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자연물과 인조물을 규정된 기호로써 지면에 그린 것을 말하며, 등산 계획 및 산행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지도는 등산중에 언제나 손쉽게 펴 볼 수 있도록 휴대하여 등산중에 자기 위치를 알아보고 다음 목적지의 지형을 지도상에서 미리 연구한 후에 행동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지도는 산을 찾는 등산객의 눈이 되며 안내자가 되어 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도법 훈련은 평소부터 가까이 하여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 PDF

자연삼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 (Skin lightening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 이효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5-292
    • /
    • 2019
  • 인삼은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활성은 사포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 중 주사포닌이 분해된 부사포닌이 주사포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부사포닌의 함량은 발효를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자연삼을 발효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멜라닌 합성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과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임상시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기존 미백 원료인 Kojic acid나 Arbutin과 비교하여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능이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도 낮게 나타났으며 임상평가를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세포생물학과 임상학적 융합연구이며 이를 통하여 개발된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안전하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품 원료로 평가된다.

대구의 도시 발달과 물의 사회적 순환 (Urban Development and Social Circulation of Water in Daegu)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96
    • /
    • 2013
  • 물은 단순히 자연 자체라기보다 사회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물에 관한 연구는 자연/사회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근대 과학적 접근에서 '사회적 자연'으로 이해하는 구성주의적 및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특히 도시의 물은 자연적 순환과는 다른 인위적 생산-유통-소비-배출-처리 과정, 즉 사회적 순환과정을 통해 흐른다. 도시에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도시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발전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자연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고 도시 물의 사회적 순환을 개념화하고, 대구시를 사례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 즉 물의 근대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구시의 물의 근대화 과정에 따른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4 단계, 물의 근대화 도입 시기, 물의 본격적 근대화 시기, 물의 성찰적 근대화 시기, 물의 신자유주의화 시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대구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도시의 공간적 팽창과 도시적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면서 도시 인구의 증가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현재 대구의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취수장 이전, 정수시설의 과잉, 수돗물에 대한 불신, 물 이용의 불평등, 물 요금의 현실화, 도시 내 공단 폐수, 물 환경의 창조적 파괴, 물의 민영화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 PDF

잡영 영상에서의 선택적 주의 기반 목표물 탐지 시스템 (A Selective Attention Based Target Detection System in Noisy Images)

  • 최경주;이일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622-62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선택적 주의에 기반한 잡영 영상에서의 목표물 탐지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특히 제안하는 방법은 목표물에 대한 아무런 지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입력되는 영상의 상향식 단서만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탐지해냄으로써 여러 다양한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몇 가지 기본 특징들이 입력된 영상에서 바로 추출되며, 이러한 특징들이 서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에서 목표물 탐지에 유용하지 않은 정보는 자연스럽게 걸러지며, 유용한 정보는 추가되고 부각되어진다. 간단한 영상부터 복잡한 자연영상에 이르는 다양한 잡영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