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속

Search Result 1,3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iagnosis of stator fault using flux sensor in induction motor drive (인버터 구동 유도전동기의 고정자 권선 단락 시 자속센서를 이용한 고장진단)

  • Son, Dong-Hyeok;Kim, Do-Sun;Hwang, Don-Ha;Cho, Yun-Hy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10a
    • /
    • pp.88-9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도전동기에서 발생되는 고장들 중에서 고정자 권선 단락 고장 특성 해석과 고장 판별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고정자 권선 단락을 판별하기 위해서 단락상태의 고정자를 모델링하여 3상 전류 불평형과 공극자속밀도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해석으로 얻어진 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을 통하여 전류와 공극자속에 대한 유기기전력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공극자속의 유기기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정자 슬롯에 자속센서를 취부하였다. 고정자 권선 단락 시 3상 전류는 불평형을 이루고 공극자속밀도가 감소되어 유도전동기의 고정자 고장을 판별하는 기초자료가 된다.

  • PDF

Improved Adaptive Full-order Observer for Speed Sensorless Control of Induction Motor (개선된 적응 자속 관측기 기반 유도 전동기 속도 센서리스 제어)

  • Moon, Jooyoung;Hong, Chanook;Yoo, Anno;Yoon, Young-D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247-248
    • /
    • 2014
  • 유도 전동기의 센서리스 방법 중 적응 자속 관측기 기반의 센서리스 제어는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전압과 전류로부터 정지 좌표계 상의 고정자 전류와 회전자 자속을 추정하고, 추정된 회전자 자속과 고정자 전류 추정 오차로부터 회전자 속도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유도 전동기 속도 센서리스 제어 방식 중 하나이다. 기존의 적응 자속 관측기는 중/고속에서의 전류 추정 성능이 저하되어 중/고속에서의 제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된 적응 자속 관측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3.7kW 유도 전동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Sensorless Control of Variable Flux Permanent Magnetic Synchronous Motor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

  • Yang, Hyeon-Seok;Lee, Kwang-Woon;Shin, Duck-Shick;Cho, Ju-Hee;Kim, Guen-Ye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582-583
    • /
    • 2012
  •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자속의 변화에 따라 전동기의 제정수도 변화하므로, 수학적 모델 기반의 역기전력 추정 센서리스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 제정수 오차로 인해 센서리스 제어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3kW급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대해서 자속 가변에 따른 전동기 제정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적합한 센서리스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Imaging Magnetic Flux Leakage based Steel Plate Damage for Steel Structure Diagnosis (강구조물 진단을 위한 누설자속 기반 강판 손상의 이미지화)

  • Kim, Hansun;Kim, Ju-Won;Yu, Byoungjoon;Kim, Wonkyu;Park,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7
    • /
    • pp.129-136
    • /
    • 2019
  • In this study, the magnetic flux leakage technique was applied to diagnose steel plate damage, imaging technique was applied through those signals. Steel plate specimens with different thicknesses were prepared for the imaging the magnetic flux leakage signal, and 6 different depths of damage were artificially processed at the same locations on each specimen. The sensor head consist hall sensor and magnetization yoke was fabricated to magnetize the steel plate specimen and measure the magnetic flux leakage signal. In order to remove the noise and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image in the signal collected from the hall sensor, various of signal processing was performed. P-P value was analyzed for each channel to analyze the magnetic flux leakage signals measured from each damaged part. Based on the above processed signals and analysis, it was converted into heatmap imag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damage on the steel plate at glance by imaging magnetic flux leakage signal.

Permeability of Magnetic Flux of PS Steel for Variation of Stress and Temperature (긴장재의 응력 및 온도변화에 따른 자속투과율)

  • Park, Jin Su;Kim, Byeong Hwa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3
    • /
    • pp.323-331
    • /
    • 2022
  •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ied tensile force and temperature on the permeability of magnetic flux in prestressing steel. The permeability of magnetic flux is the ratio at which the magnetic flux between two points passes. The prestressing steel used in these experiments included a 7-mm PS wire mainly used for cable-stayed bridges and a 12.7-mm PS strand for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The experiments to extract the permeability of the magnetic flux of steel wire and strand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tensile levels and temperature condition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permeability of magnetic flux of the PS tension material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applied tensile stress level,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If the experimental relationship among the magnetic permeability, temperature, and prestressing ratio of a PS tension material is known in advance, the current tension stress level on PS members can be evaluated by measuring solely the magnetic permeability and temperatur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olar Radiation and PPF, and Transmittance in Greenhouse at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기상조건에 따른 온실의 전천일사량 및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상관관계 및 투과율)

  • 이현우;이석건;이상호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1 no.2
    • /
    • pp.56-60
    • /
    • 2002
  • Since the transmittance of solar radiation directly affected by the structural frames of greenhous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atio of diffuse to direct radiati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ransmittance of greenhouse at the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We can easily get the data of total solar radiation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but we have to personally measure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olar radiation and PPF is established, the PPF can be simply acquired from the relationship. Sol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equation to calculate PPF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ransmittance of PPF at canopy level in glasshous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solar radiation and PPF at clear and cloudy days. The variation phase of greenhouse transmittance at clear day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at cloudy day.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er transmittance,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 should be adopted to calculate the accurate total solar radiation and PPF in greenhouse. The transmittance of solar radiation was the same as that of PPF in greenho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PPF to total radiation increased as the amount of cloud increas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urly total solar radiation and PPF was derived.

Characteristic Analysis of a Hybrid Excited Flux Switching PM Motor by Using the Equivalent Magnetic.Electric Circuit Method (가변자속형 FSPM 전동기의 등가 전.자기회로를 이용한 특성해석)

  • Jang, Jin-Seok;Lee, Jae-Gwang;Kim, Byung-Ta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818-819
    • /
    • 2011
  • 본 논문은 가변자속 기능을 가지는 Flux Switching Permanent Magnet (FSPM) 전동기의 전 자기적 등가회로를 이용한 특성해석방법을 다룬다. 우선 가변자속 기능을 갖는 FSPM 전동기의 구조와 동작원리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오버행을 고려한 2-D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역기전력, 인덕턴스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등가회로 해석을 통해 가변자속 운전 시 FSPM 전동기의 특성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Electromagnetic Field of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Using 3D FEM Program (3차원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한 농형 유도전동기의 전자계해석)

  • Lee, Suk-Won;Shin, Pan-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a
    • /
    • pp.327-329
    • /
    • 1999
  • 본 논문은 3차원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한 농형 유도전동기의 정자장을 해석한 것이다. 2차원영역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누설 인덕턴스를 3차원으로 해석하여 설계 파라미터 선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유도전동기의 공극 자속밀도 분포와 누설 자속밀도 분포를 고찰하고 1[turn]의 coil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량과 전동기 내부로 통과하는 자속의 량을 비교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강자성 배관의 racetrack 형 결함깊이와 응력이 누설자속에 미치는 영향

  • ;;;D.L. Atherton;L. Claph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Magnestics Society Conference
    • /
    • 2002.12a
    • /
    • pp.118-119
    • /
    • 2002
  • 실시간으로 매설된 송유관이나 가스관의 내부에 누설자속 (Magnetic Flux Leakage: MFL) 탐지용 피그를 통과시킴으로서 부식을 모니터한다[1]. NdFeB 자석과 같은 강한 영구자석으로 배관을 자화시키면 부식에 의한 결함 근처에서 자속이 누설되고, 그 MFL은 Hall 프로브나 유도코일에 의해 탐지된다. 자기이방성을 이용하여 응력에 의만 누설자속신호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MFL 신호를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측정프로브의 측정속도와 내부압력응력과 같은 운용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2]. (중략)

  • PDF

CASK, BUGLE80, BUGLE93을 이용한 원자로 압력용기 중성자 조사량 분포 비교

  • 문복자;이성희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2
    • /
    • pp.248-259
    • /
    • 1995
  • 고리 3호기 원자로를 대상으로 압력용기에서의 고속중성자 집적량을 계산하였다. 수송계산에는 2차원 각분할 수송코드인 DOT 4.3을 사용하였고 핵단면적 라이브러리는 ENDF /B-II와 ENDF /B-III를 근거로 한 CASK와 ENDF /B-IV를 근거로 한 BUGLE80, 고리고 ENDF /B-Ⅵ를 근거로 한BUGLE93 등이다. 사용한 핵단면적에 따른 압력용기에서의 고속중성자속 분포를 살펴보고 최근에 배포된 BUGLE93 라이브러리의 Dosimeter File을 사용하여 1, 2차 감시시험에서 측정된 중성자 측정시료의 방사능으로부터 계산된 고속중성자속 측정치를 계산된 고속중성자속과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통하여 압력용기에서의 고속중성자속과 수명기간동안의 고속중성자 집적량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