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색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19초

경색별인삼근(莖色別人蔘根)의 Ginsenoside 함량(含量) (Relationship Between Ginsenoside Content and Stem Color Intensity of Panax ginseng)

  • 박훈;박귀희;유기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11-217
    • /
    • 1982
  • 경색정도(莖色程度)가 다른 자경종인삼근동체(紫莖種人蔘根胴體)의 표피일주피(表皮一周皮)(외부(外部))와 도관일수(導管一隋)(내부(內部))의 진세노사이드를 조사하였다. 진세노사이드의 양상(樣相), 다이올계와 트리올계의 비(比)(PT/PD) 및 총(總)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두 부위간(部位間)에만 유의성(有意性) 있는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경색도(莖色度)와는 관계(關係)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자색도(紫色度) 감소에 따른 총(總) 진세노사이드 함량(含量)의 증가경향(增加傾向)은 시료수(試料數)를 증대(增大)하여 조사(調査)할 필요(必要)가 있다. 진세노사이드의 함량(含量) 순서는 외부(外部)에서 $R_{b1}>R_{g1}>R_{e}>R_{c}>R_{g2}>R_{b2}>R_{f}>R_{d}$였고 내부(內部)에서는 $R_{g1}>R_{b1}>R_{g2}>R_{e}>R_{b2}>R_{c}>R_{f}>R_{d}$였다. PT/PD는 외부(外部)에서 1.08 내부(內部)에서 1.95였다. 총(總) 진세노사이드 함량(含量)은 외부(外部)가 내부(內部)보다 3배(倍) 높고 두 부위(部位)의 무게는 비슷하므로 동체(胴體)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외부(外部)의 함량에 의존된다.

  • PDF

참깨의 종자전염성 진균과 그 병원성 : Corynespora cussiicola를 중심으로 (Significance of Semame Seedborne Fungi, with special Reference to Corynespora cassiicola)

  • 유승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3-190
    • /
    • 1981
  • 작물시험장, 충남농촌진흥원 및 일반농가에서 수집한 40개 참깨종자표본의 종자전염진균을 Blotter 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Alternari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A. longissima, Cercospora sesami, Cephalosporium sp., Corynespora cassiicola,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oxysporum, F. semitectum, Macrophomina phoseolina 그리고 Myrothecium roridum이 검출되었다. 그 중 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C. cassiicola가 많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참깨 종자내의 감염부위를 알아본 결과, C. cassiicola가 가장 깊숙이 배에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며 Chlorine으로 종자표면소독을 하였을 경우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이균에 이병된 종자를 살균토양에 파종하였을 경우 심한 발아저해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C. cassiicola의 종자상에서의 생육상과 배양기상에서의 배양적성질 및 포자의 형태를 기술하였다.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균의 포자현탁액을 참깨에 분무접종한 결과, C. cassiicola는 참깨의 잎과 줄기에 또는 자색의 병반을 나타내며 이것이 급격히 확대되어 고사하였다. A. sesami, A. sesamicola, A. longissima, C. sesami도 참깨 잎에 반점 또는 blight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A. tenuis은 병원성이 없었다. 토양접종실험의 결과, F. oxysporum과 M. phaseolina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심한 종자부패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 PDF

솔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 유지현;차재영;정영기;정경태;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63-867
    • /
    • 2004
  •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DPPH법, thiocyanate법, TBA법 및 microsome 생 체 막 지 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TBARS법으로 측정 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61%이었으며, DPPH 측정법에서는 짙은 자색의 탈색되는 정도로 나타내는 전자 공여능이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농도에서 BHT와 비슷한 수준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간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67.7%)>0.05% (63.1%)>0.01%(28.2%) 순으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한 thiocyanate법에서는 0.01%, 0.05%, 0.1%의 농도에서 모두 반응 7일째까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TBA법에서는 반응 6일째까지 는 0.1%>0.05%>0.01%의 순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 수용성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스펀지케이크의 저장기간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Depending on Various Shelf-Life)

  • 김종희;이근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58-569
    • /
    • 2014
  • Th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sponge cake were studied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proportions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depending on storage period The pHs, heights, and weights of doughs were in the ranges of 6.3~6.5, 4.8~4.4 cm and 397~418 g, respectively. The sponge cake groups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proportions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ccording to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difference in color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with purple sweet potato revealed that L-value and b-value were significantly reduced but a-value especi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nsit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ma size of purple sweet potato sponge cake become smaller and the stoma wall became thicker in proportion to the contents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which could result in an increased level of water content after a long period pf storage. According with the observations, water content remarkably increased after 4~6 days of storage and the ability to keep water content seemed to contribute to extention the shef-life of sponge cakes. In sensory evaluation, sponge cakes with high contents of purple sweet potato were preferred and cakes with the addition of 25% and 30% purple sweet potato powder was most preferred. It was expected that the shelf-life of purple sweet potato sponge cake was 4 days under the normal temperature.

자색 고구마가루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Purple Colored Sweetpotato Powder)

  • 고승혜;서은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2-278
    • /
    • 2010
  • Various quality attributes were determined in muffins prepared using purple-colored sweet potato flour. Height of control muffins was 5.8 cm lease clarify. Height de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y of sweet potato powder. Muffin volume was not appreciably affected. Moisture of control muffins was 21.84. The moisture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y of sweet potato pow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xamination revealed thick cell wall and rough stoma in muffins prepared with purple-colored sweet potato powder. The amount of gluten decreased as the quantity of purple-colored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Brightness L values significantly changed as the amount of powder increased, indicative of a progressively darker product. Red index a values decreased as the quantity of purple-colored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Yellow index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ontrol group as powder quantity increase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of powd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ident between 6% and 9% amended sample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g in samples containing 3% and 6% powder but 9% powder produc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hesiveness did not differ in unamended samples and samples amended with 3% and 9% powder,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ident in samples prepared with 6% powder.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s the quantity of purple-colored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Color did not differ appreciably in sample prepared with 3% and 9% Sample prepared with 3% additives showed the highest What? Color score? Something else? Please clarify with 6.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lavor in samples prepared with 3% and 6% powder, or in taste among samples prepared 3%, 6%, and 9% powd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xture were evident in any sample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st (7.2) in samples prepared with 3% of purple-colored sweet potato.

자색고구마로부터 붉은 색소 농축물의 추출 및 그 색소 분말의 제조 특성 (Extraction of Natural Red Color Pigment Concentrate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Pigment Powder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 구본순;송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29
    • /
    • 2010
  • Pigment concentrates with violet-red color and sweet taste were obtained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PFSP) using ethyl alcohol and water. Extract from general potato(GP) were used as a control. The relative stability of PFSP pigment concentrate(PFSPPC) in a storage test over 15 days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dark > fluorescence > sun-light irradiation. The relative stability of GP pigment concentrate(GPPC) in a storage test over 15 days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sun-light > fluorescence > dark storage. The RRP of PFSPPC was higher than that of GPPC, but the color strength of GPPC was 1/2 that of PFSPPC. Treatment of PFSPPC with aluminum potassium sulfate(0.2~0.3%, w/w) best improved its stability. The improved RRPs of PFSPPC were 45.16~47.31% in sun light irradiation, 55.91~60.22% in fluorescence irradiation, and 76.34~75.97% in dark storage conditions. In substitut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for chitosan, an amount of 0.2~0.3%(w/w) was suitable, giving similar results in improving pigment stability for all concentrates tested. Also, freeze-dried PFSPPC powder was manufactured as a substitute for dextrin, and also as a substitute for chitosan to the extent of 0.25%(w/w). The results of storage stabilite for freeze-dried PFSPPC and GPPC powder over 15 days, irradiation were, PRRs of 74.47~89.36% and 61.54~76.92%, respectively. The stability improving effect of freeze dried PFSPPC powder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storage experiments at various conditions. The use of freeze-dried PFSPPC powder was therefore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general foods.

상태(狀態)벡터 모형(模型)에 의한 하천유출(河川流出)의 실시간(實時間) 예측(豫測)에 관한 연구(研究) (Real-Time Prediction of Streamflows by the State-Vector Model)

  • 서병하;윤용남;강관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43-56
    • /
    • 1982
  • 상태공간(狀態空間) 개념(槪念)에 기초(基礎)를 두어 시스템의 동적(動的) 거동(擧動)을 나타낸 Kalman filter와 자기공진(自己共振) 예측자(豫測子)의 순환(循還) 알고리즘에 의한 예측방법(豫測方法)을 연구(硏究)하여 하천유출(河川流出) 예측(豫測)에의 적용성(適用性)을 검토(檢討)하고 그 결과(結果)를 제시하였다. 강우(降雨)-유출과정(流出過程)의 동적(動的) 거동(擧動)을 자색(白色) Gaussian 잡음(雜音)이 있는 선형(線型), 이산형(離散型)시스템으로 보아서 낮은 차수(次數)의 ARMA 과정(過程)으로 나타내었으며 예측모형(豫測模型)의 상태(狀態)벡터를 random walk로 나타내었다. 예측오차(豫測誤差)에 대한 통계적(統計的)인 분석(分析)으로 모형구조(模型構造)를 결정하였으며 적용(適用)된 예측(豫測)알고리즘의 검정(檢正)을 위하여 시우량(時雨量)과 시유량(時流量)의 과거(過去) 기록치(記錄値)를 사용하였다. 예측결과(豫測結果)를 분석(分析)하나 Kalman filter에 의한 알고리즘이 자기공진(自己共振) 예측자(豫測子)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주요(主要) 밭잡초종자(雜草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광(光)의 영향(影響) (The Effect of Light on Germination of the Major Weed Seeds in Upland Fields)

  • 우인식;최각삼;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5-311
    • /
    • 1990
  • 잡초종자(雜草種子) 발아(發芽)에 미치는 광(光)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왕바랭이, 냉이, 털비름, 개비름, 쇠비름, 명아주, 까마중, 강아지풀, 바랭이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1. 대부분의 공시잡종(供試草種)은 $25^{\circ}C$ 이상(以上)에서 강(强)한 광발아성(光發芽性)을 보였으며 낮은 온도하(溫度下)에서는 발아(發芽)가 저조(低調)하였다. 그러나 피, 강아지풀, 바랭이는 대체적으로 발아율(發芽率)이 떨어진 반면, 털비름, 개비름, 쇠비름은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유지(維持)하였다. 2 개비름, 쇠비름, 털비름은 적색광하(赤色光下)에서 발아(發芽)가 촉지(促進)되었으며 원적색광(遠赤色光)에서는 발아(發芽)가 현저히 억제(抑制)되었다.3. 털비름, 개비름, 쇠비름은 red/far-red 광(光)에 의한 가역반응(可逆反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종자발아시(種子發芽時) Phytochrome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피, 왕바랭이는 적색광(赤色光) 및 자색광(白色光)과 청색광(靑色光) 연속조사하(連續照射下)에 관여하는청색광(靑色光) 색소(色素) (HIR 색소(色素))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제주도 해산 히드라충류(자포동물 문: 히드라충 강: 히드라충 목) (Marine Hydroids(Cnidaria: Hydrozoa: Hydroida) from Cheju Island, Korea)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61-280
    • /
    • 1993
  • 1993년 6월 28일부터 7월 3일 까지 문섬, 범섬 및 숲섬에서 채집된 히드라충류는 10과 25속 46종/아종으로 동정, 분류되었다. 이 중 뿌리히드라(Rhizocaulus chinenesis), 쌍뾰족혹히드라(Obelia bicuspidata), 사슬화관히드라(Sertularia desmoides), 가시깃히드라(Plumularia spinulosa)의 4종은 제주 미기록종이고, 기생털히들(Hebella parastica), 그린란드종히들 (Campanularia groelandica), 나팔종히드라(Campanularia everta), 나탈테히드라(Sertularella natalensis)의 4종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문헌기록에 의하면 제주도 해산 히드라충류는 12과 41속 91종/아종이 된다. 제주해역의 우점종은 자색깃히드라(Aglaophenia suensonii)이다. 채집기별 종의 분포를 서귀포에 71종(78%)이 분포하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고 그 다음이 문섬 43종(47%), 숲섬 26종(29%), 위미리 13종(14%), 범섬 11종(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해역에만 분포하는 종은 30종(33%)으로 밝혀졌다.

  • PDF

선택이온 측정법에 의한 십자화과 채소중의 Sulforahane 함량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in cruciferous vegetables by SIM)

  • 김미리;이근종;김진희;석대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2-887
    • /
    • 1997
  • 한국인이 흔히 섭취하는 십자화과 채소와 백합과 채소중의 S-methylsulfinylbutyl isothiocyanate, 즉, sulforaphane 함량을 GC/MS로 분석하여 가장 많이 함유된 채소를 선별하고, 십자화과 및 백합과 채소에 속하는 20여종의 채소 용매추출물을 GC/MS에 주입하여 sulforaphane 표준품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을 근거로 선택이온 측정법 GC/MS (SIM)에 의해 정량하였다. 그 결과, 브로콜리에 $80.2{\sim}631.4\;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순무, 무청, 자색 양배추, 무, 케일, 흰색 양배추, 콜리플라워, 배추, 청경채의 순이었으며, 갓, 돌산갓, 무순 및 부추 그리고 달래, 골파, 양파 및 마늘 등 백합과 채소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브로콜리 품종 중에서 sulforaphane이 가장 많은 품종은 'Pilgrim'과 '1243'이었다. 브로콜리는 식용부위별로 품종 간에 sulforaphane 함량이 달랐는데, 꽃에 가장 많이 함유된 품종은 'Pilgrim' 이었고, 대에 가장 많이 함유된 품종은 '1243'으로 700 ppm 이상의 sulforaphane이 존재하였다.

  • PDF